베껴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 - 모두가 인정하는 베껴 쓰기 책의 원조!
명로진 지음 / 리마커블 / 2016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쓰레기다. 어지간해서 출간한 책에 이런 평은 안하지만, 이 책은 실용서로도 이론서로도 쓰레기다. 초등학교 정도에 배우는 내용을 대충 모양만 이쁘게 짜집기 해놨다. 초등학교에서 배우는 내용을 폄하하는 게 아니다. 우리는 초중등학교에서 아주 중요한 내용을 배운다. 문제는 이 책이다. 가볍게 다룰 수 없는 내용을 깊은 고찰도 없이 그저 가볍게만 다루고 있다. 각 장이 끝날 때마다 나오는 베껴 쓰기용 예문도 형편없다. 문장의 흐름도 별로고 우리말의 맛이 딱히 살아나는 글도 아니다. 그저 적당히 지적 허세를 부리기 좋은 느낌이 드는 글뿐이다. 가장 큰 문제는 각 장에서 어떤 이슈를 다뤘다면 그다음에 나오는 베껴 쓰기 예문은 다뤘던 내용과 관련 있는 글이어야 한다. 그래야 베껴 쓰면서 복습이 되지 않는가 말이다. 그런 것과는 전혀 상관 없다. 이 책의 제목이 '베껴 쓰기로 연습하는 글쓰기 책'인데 이 책으로 베껴 쓰기 했다가는 글만 버린다.

번역을 배우는 입장에서 우리말에 어려움을 느껴 도움을 받을까 구매했다. 꾹꾹 참으며 반쯤 따라 왔는데 도저히 못 참고 쓰레기장에 버렸다. 글쓰기를 공부하겠다면 차라리 무협지나 만화책을 읽는 게 낫다.


사람들이 문학으로는 그렇게 무시하는 무협지나 추리 소설, SF 소설들이 여기 소개한 예문보다 백 배는 낫다.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많은 주제를 이른바 장르 문학은 아주 재미있고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고 있다. 만화는 어떤가? 생각지도 못했던 소재를 다양한 방식으로 다루는 데다가, 만화에서 다루는 소재에 대한 깊은 이해가 뒷받침 되어 있다. '창의력' 따위 문구가 들어간 실용서의 탈을 쓴 겉만 번지르르한 책보다 이런 소설과 만화를 읽는 것이 백배는 더 배움이 된다.


별점에 감점이 없어 아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악마 기자 정의 사제 - 함세웅 주진우의 '속 시원한 현대사'
함세웅.주진우 지음 / 시사IN북 / 2016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재미있다. 악마 기자 주진우와 정의 사제 함세웅 신부님의 합이 잘 맞는다. 토크 콘서트에 가봤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부제처럼 '속 시원한 현대사'는 아니다. 암울하고 먹먹하다. 지금도 그렇다. 이에 대해 함세웅 신부님은 오늘을 살지 말고 미래를 살라 하신다. 2030년에 살며 오늘을 돌아보라 하신다. '그 여인네'에 대한 2030년의 일기를 적어보라 하신다.


  내 좁은 소견으로 보면, 다방면에서 자본주의, 시장경제가 말기에 이르렀다는 느낌이 든다. 세상을 정의하는 체계의 말기에는 이상한 일이 벌어진다. 생각지도 못한 일이 벌어질 수 있다. 혼란이라는 말은 정상 상태가 아니라는 말이다. 거대한 비정상 상태라는 말은 무슨 일이 벌어져도 이상하지 않다는 말이다.

  

  하나의 패러다임이 한계에 달했다는 말은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전환이 이루어질 시점이라는 말이 되겠지만, 좁은 소견 탓인지 나에게는 새로운 패러다임이 보이지 않는다. 자본주의의 한계라는 말은 들리지만 새로운 대안에 대한 말은 들리지 않는다. 기본 소득도 체제로서의 대안은 아니다. 그나마도 우리나라에서는 논의조차 어렵지만.


  이런 시기, 한 체제의 끝에서는, 어이없게도 과거 체제로 회귀할 수도 있다. 찬란한 문명 끝에 암흑기가 도래한 유럽처럼... 그래서 한때는 이명박그네 정권이 이러한 회귀에 경각심을 불러 일으킬 수도 있지 않겠나 하는 자기 위안을 해봤던 때도 있다.


  지금은 그나마도 말이 안 된다. 한쪽은 한쪽의 말만 듣고 그쪽의 말만 들린다. 이쪽이든 저쪽이든, 자신의 쪽이 아니면 무조건 비논리로 취급한다.


  난리는, 제발 내 수명이 다한 뒤에 벌어져 달라고 빌고 있지만, 그 난리란 놈이 내 소망을 들어줄 이유도 없거니와, 사실, 이미 그놈이 도래했는지도 모른다. 그러니 적어도 난리를 맞을 마음의 준비 정도는 해야 하지 않겠나 싶다.


  그런 의미에서 2030년을 살라는, 내가 어디에 서 있는지 자문하라는 함세웅 신부님 말씀, 쪽팔리게 살지 말자는 주진우 악마 기자의 말씀을 담아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3D 영화를 볼 때 우스꽝스러운 안경이 필요 없는 신기술

By Charles Q. Choi, Live Science Contributor | August 2, 2016 04:05pm ET


영화 애호가들에게는 고맙게도, 새로운 스크린 기술 덕분에 극장에서 3D 안경을 쓰지 않고 3D 영화를 감상할 수 있는 날이 곧 올 것이다.


시네마 3D라고 부르는 신기술은 무안경 3D 영상을 커다란 화면으로 구현하는 데 걸림돌이 되던 문제를 극복했다. 하지만 연구자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기술을 설명하면서, 아직 상업성은 없다고 말했다.


3D 영화는 독특한 영상을 경험할 수 있지만, 관객이 무겁고 번거로운 안경을 써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이미 무안경 3D 기술이 있지만, 현재 이 기술은 영화관 규모에 적용이 어렵다. [10 Technologies That Will Transform Your Life]


대체로 시차 방벽(parallax barrier)으로 알려진, 일정 간격으로 세로의 긴 틈이 있는 막을 액정 앞에 설치하는 방식이 적용된 무안경 3D 방식의 TV가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세로 틈으로 양쪽 눈에 다른 영상을 보여주어 입체감을 주게 된다.


하지만, 시차 방벽 방식은 관람자가 화면과 일정한 거리에 있어야 한다. 이런 문제 때문에 시차 방벽을 영화관 같은 커다란 공간에서 적용하기 어렵다. 관람자와 화면 간 거리와 시야각이 모두 다르기 때문이다.


추가로, 무안경 3D 방식은 각각 다른 관람자의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즉, 제한된 수의 픽셀을 각 관람자가 어느 곳에서 바라보든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도록 나누어 영사해야 한다고 연구자들은 말했다.


"현재의 무안경 3D 방식은 엄청난 해상도의 화면이 필요하며, 때문에 완전히 비실용적이죠." 연구 공동 저자인 MIT의 전기 및 컴퓨터 공학 부교수인 요이치 마츠시크는 말했다.


하지만 새 방식에서, 연구자들은 모든 위치의 관람자에게 맞춤형 시차 방벽을 제공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거울과 렌즈를 사용했다. 


광학 요소들을 신중하게 설계하여 안경을 사용하지 않고도 고품질 3D 영상을 만들어 냈습니다." 연구 공동 저자인 독일의 막스 플랑크 정보학 연구소 및 자를란트 대학의 연구원인 표트르 다이디크는 라이브 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커다란 규모에 적용 가능한 최초의 무안경 3D 기술입니다."고 마츠시크는 발표에서 말했다.


이를 위해, 과학자들은 화면을 극장의 모든 위치에 영사하는 대신, 관객석을 몇 개의 작은 구역으로 나누어 영사하는 방식을 고안했다.


"저희는 극장 내 관람자의 배치를 활용하여 문제를 해결했습니다."고 다이디크는 말했다.


과학자들은 200 픽셀 화상의 단순형 극장 3D 시제품을 개발했다. 작은 극장에서 한 시험 상영에서, 각기 다른 자리에 앉은 자원자들은 픽셀화된 3D 영상을 볼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이 극장 3D는 아직 상업성에는 문제가 있다고 강조했다. 예를 들어, 시제품에서는 50쌍의 거울과 렌즈가 사용되었지만, 극장에서 상영하기 위해서는 수백쌍이 필요하다. 연구자들은 더 높은 해상도와 큰 규모의 화면을 만들고 싶어 한다.


"이 방식이 본격적인 상영관 규모에서 사용할 만큼 상업성이 있을지는 두고 봐야 하겠지만, 저희는 저희가 극장이나 강당과 같은 대규모 공간에서의 무안경 3D 상영에 중요한 한 걸음을 내딛었다고 생각합니다."고 마츠시크는 발표에서 말했다.


과학자들은 자신들이 개발한 내용을 캘리포니아 애너하임의 SIGGRAPH 컴퓨터 그래픽 학회에서 발표했다.


Original article on Live Science.


기사 원문: http://www.livescience.com/55628-glasses-free-3d-movie-screens.html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 부족'으로 멸종한 털매머드

By Rebecca Morelle

Science Correspondent, BBC News


과학자들은, 알려진 마지막 털매머드 무리 가운데 한 무리는 마실 물이 부족해서 멸종했다고 생각한다.


이 매머드 무리는 알래스카 해변에서 떨어진 섬에서 살고 있었으며, 약 5,600년 전에 멸종했다고 과학자들은 말한다.


과학자들은 따듯한 기후 때문에 호수가 점점 말라 갔고, 동물들이 갈증에 시달렸다고 생각한다.


털매머드는 대부분 약 10,500년 전에 멸종했다.


기후 변화와 계속된 인간의 수렵이 털매머드 멸종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과학자들은 생각한다.


하지만 베링 해의 세인트폴 섬에 살던 무리는 5,000년을 더 살아남았다.


미국 국립 과학원 회보에 실린 이 논문에서, 세인트폴 섬의 매머드 무리가 대륙에 살던 자신의 친척들과는 다른 위협에 직면했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빙하기 이후 지구가 따듯해지자 해수면이 높아져 매머드가 살던 섬의 면적이 줄어들었다.


즉, 일부 호수가 바다와 합해지고, 소금물이 남아 있던 저수지로 넘쳐 들어와 신선한 물이 점점 더 줄어든 것이다.


이 털북숭이 거인은 부족한 물웅덩이를 공유해야 했지만, 여전히 그들은 막대한 양의 물을 소모했다.



모여드는 매머드


논문의 주 저자인 펜실베니아 주립대의 러셀 그레이엄 교수는 말했다.


"호수가 줄어들자 동물들이 물 웅덩이 주변에 모여들었습니다. 그리고 현대의 코끼리가 그러하듯, 매머드들은 웅덩이 주변의 식물을 초토화 시켰습니다. 여기서 나온 침전물이 호수를 침식했고 호수가 얕아지면서 신선한 물은 점점 더 줄어들었죠. 스스로를 멸종으로 몰아넣었던 거죠."


교수는 산 위의 눈이 녹은 물과 충분한 비가 없었다면, 그들이 매우 빠르게 멸종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현대의 코끼리는 하루에 70에서 200리터의 물이 필요하고, 매머드도 이와 비슷했으리라고 추정합니다. 물 웅덩이는 금새 말라버렸겠죠. 웅덩이가 마르는 데 한 달이 걸렸다고 해도 매우 치명적이었을 겁니다."고 그레이엄 교수는 말했다.


연구자들은 오늘날 일어나는 기후 변화로 인해 작은 섬에서 같은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고 말한다. 신선한 물의 부족은 동물뿐 아니라 인간에게도 위협이 되고 있다.



'멸종에 대한 최고의 연구'


스위스 자연사 박물관의 진화 유전학 교수 러브 댈런은 연구에 대해 언급하면서, "세인트폴 섬 매머드 수에 대한 연구는 선사 시대의 멸종을 가장 잘 설명하고 가장 잘 이해한 논문입니다."고 말했다.


"시야를 더 넓혀보면, 이 연구는 작은 인구 집단이 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다는 사실을 보여줍니다."


가장 마지막까지 생존한 매머드는 북극해의 랭겔 섬에 살던 매머드로, 약 4,000년 전까지 생존했다고 추정된다.


기사 원문: http://www.bbc.com/news/science-environment-3694590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AP 통신, 엘렌 닉마이어 기자


지붕 위에 빛나는 태양 전지판과 빙빙 도는 풍력 터빈이 안전에 대한 공포와 높은 운영 비용을 양산하는 미국 원자력 발전소의 종말을 재촉하는 듯하다.


최근의 본보기는 캘리포니아 디아블로 협곡의 쌍둥이 원자로이다.


캘리포니아 최대의 공공시설 및 환경 단체는 화요일, 캘리포니아의 마지막 원자력 발전소 폐쇄 소식을 발표했다.


이러한 움직임은 노후 원전을 운영하는 미국 회사들이 겪는 비용 문제 때문이다.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 자원의 비용은 감소하는 데 반해 원전 수리비용은 매번 증가한 것이다.


천연가스의 공급 과잉과 태양광 및 풍력 발전 생산량의 급증 또한 원자력 발전에 대한 유럽의 열정에 찬물을 끼얹었다. 2011년 지진과 쓰나미로 원자로 붕괴와 방사능 유출이 발생한 일본 후쿠시마의 재난 또한 그렇다.


하지만 중국은 여전히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 중이며, 미국 산업계는 캘리포니아의 결정에도 불구하고 원자력은 여전히 필수적인 전력 자원이라고 말한다.


로스앤젤레스와 샌프란시스코 사이에 놓인 디아블로 협곡의 원전은 31살로, 2025년까지 폐쇄될 예정이다. 이 원전은, 해안 절벽의 지진 단층 위에 세워지고서 수십 년 후, 반원자력 운동의 불쏘시개가 됐었다. 태평양 가스 및 전기 회사(PG&E: Pacific Gas & Electric Co.)는 1960년대 원전 계획을 발표했었다.


환경 보호 활동가들은 성공적인 디아블로 협곡 합의가 상업적으로 운영 중인 미국의 30년 이상 된 다른 60개 원전이 나아갈 길을 보여줬다고 말한다. 그들은 이것이 원자력과 기후 변화의 원인이 되는 화석 연료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가 아니라는 사실을 보여준다고도 말했다.


PG&E 사와 협상했던 환경 단체 가운데 하나인, 천연자원 보호 위원회(Natural Resources Defense Council)의 대표 레아 수는 말했다. "수년간, 저희는 원자력이 없다면 기후 변화를 막을 수 없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물론 그 말은 틀렸습니다. 저희는 옳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번 합의는 미국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의 원자력 발전 종식을 뜻하는데, 원자력은 한때 늘어나는 전력 사용량을 충족시키기 위해 필수적인 전력원으로 받아들여지기도 했었다. 캘리포니아 남부는 여전히 애리조나의 원자력 발전소로부터 주 경계를 넘어 얼마간의 전기를 공급받지만, 캘리포니아 해안을 따라 80Km마다 원자력 발전소가 놓여 있던 때와 비교할 수는 없다.


캘리포니아에서 더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과 재생 가능 에너지에 중점을 두고 있으므로, "곧 원자력 발전소를 운영해야 할 필요가 없어질 것입니다."라고 PG&E사 대표 토니 얼리는 화요일 기자들에게 말했습니다.


2044년까지 디아블로 협곡의 원전을 2044년까지 가동하는 것 보다 폐쇄하는 것이 더 이익이라고 얼리는 말했다. 원전은 현재 캘리포니아 전력의 9%를 공급한다.


환경 운동가들은 원자력 규제 위원회(NRC: Nuclear Regulatory Commission)에 지진이 발생하기 쉬운 지진 단층에 인접한 디아블로 협곡 원전을 폐쇄하도록 압력을 넣어 왔다. 어떤 단층은 원전의 쌍둥이 반응로에서 600m 떨어진 장소에서 위치한다.


PG&E사는 해당 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가장 큰 규모의 지진에도 원전은 안전하다고 오랫동안 말해 왔다. 그러나 새로운 조사에 따라 단층 인근 지역에서 발생 가능한 진동 크기 및 이를 회사가 어떻게 평가했는가에 대한 더 많은 의구심이 발생했다.


산타크루즈 소재 캘리포니아 대학, 환경 및 원자력 정책 프로그램의 이사인 다니엘 허쉬는 말한다. "이런 위험이 2025년이면 끝난다니 정말 멋진 일이 아닐 수 없습니다. 문제는, 2025년까지 이 위험이 지속된다는 점입니다."


이번 합의에는 캘리포니아 주 정부의 승인이 필요하다. 얼리와 환경 단체는 주 정부도 연방 정부도 참여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주지사 제리 브라운은 별다른 언급을 하지 않았다. 


전국 원자력 산업 단체는 이번 화요일의 합의는 브라운 주지사가 기후 변화를 초래하는 화석 연료 사용을 멀리하도록 애써 왔던 캘리포니아였기에 가능했다고 말했다.


다른 주에서는 여전히 "원자력 에너지가 균형 잡힌 에너지 공급에 있어 핵심 역할을 담당합니다."라고 원자력 에너지 연구소는 성명을 통해 말했다.


미국 남부에 새로운 원자력 발전소를 설립하려는 계획은 국내 어디에서도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아서 큰 비용 손실만 내고 연기됐다.


캘리포니아 남부 산디에고와 로스앤젤레스 사이에 있던 에디슨의 산 오노프리 원자력 발전소는 6억7천만 달러의 장비 교체에 실패한 후인 2013년 문을 닫았다. 같은 해, 듀크 에너지는 서툰 수리 작업 때문에 추가 작업에 수십억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되는 플로리다의 크리스털 강의 원자력 발전소를 폐쇄하겠다고 발표했다.


캘리포니아는 연방 정부가 영구적인 방사물 폐기장을 찾을 때까지 새로운 원전 건설을 금지했다.


기사 원문: http://hosted.ap.org/dynamic/stories/U/US_CALIFORNIA_NUCLEAR_PLANT_CLOSURE?SITE=AP&SECTION=HOME&TEMPLATE=DEFAULT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