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탐정의 규칙
히가시노 게이고 지음, 이혁재 옮김 / 재인 / 201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좀 더 연구하고 더 고민해서 쓰면 안 될까?"

 

[명탐정의 규칙]을 읽는 내내 킥킥거리며 새나오는 웃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이게 추리소설이 맞기는 맞는데 뭐랄까 추리 소설을 비판하는 추리소설이랄까, 그것도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형사와 탐정이 죽이 맞아 낄낄대며 비판한다. 등장인물이 자신이 등장하는 소설에 대해 독자에게 혹은 다른 등장인물에게 이야기 하는 방식이 ‘코믹’ 코드의 작품에서 결코 신선하다고는 할 수 없겠지만, [명탐정의 규칙]에서 ‘오가와라 반조’ 형사와 ‘덴카이치 다이고로’ 탐정이 소설에서 잠깐씩 벗어나 혹은 낄낄거리며 혹은 투덜거리며 자신들이 등장하는 소설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천박하지 않은 것은 그들이 하는 말에 공감이 가기 때문이며 그 안에 담겨있는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의 추리에 대한 깊은 이해와 애정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첫 번째 이야기 ‘밀실 선언’부터 마지막 ‘명탐정의 최후’까지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제외한 총 13개의 단편을 통해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는 전형적인 트릭과 안일한 구성의 한심한 추리 소설에 대해 냉소를 던지고 있다. 매 편마다 한가지씩의 트릭을 소재로 이야기를 진행해 나감과 동시에 트릭에 대한 분석과 비판을 함께 하고 있다. 그러니까 이런 식이다.  

 

“이 나이에 밀실, 밀실 하며 떠들어 대는 것도 민망해. 자네에게 맡기지. 어차피 마지막엔 자네가 해결할 것 아닌가.”
“별 수 없지요. 결국은 제가 해결해야 할 일이니까요. 하지만 그때까지는 분위기를 띄워 주셔야 하는 것 아닙니까? 경감님이 이렇게 나오면 저도 힘들어져요.”
“그 마음이야 알지. 하지만 요즘 세상에 밀실로 소설의 분위기를 띄우라는 건 한심한 요구야.”
“불평도 많으시네. 고생은 제가 제일 많이 하잖아요.”
“그렇게 힘들어?”
당연하지요. 밀실의 수수께끼를 푼다는 건, 정말이지 내키지 않는 일이에요. 또 미스터리 마니아와 평론가들에게 바보 취급당하겠네.”
덴카이치가 훌쩍거리며 울기 시작했다.
“이봐, 울지 마. 알았어, 알았다니깐. 에이 자네 말대로 하지.”
나는 자세를 바로잡고 말투를 바꿨다.
“음, 물론 밀실에 대해서는 이제부터 생각해 볼 작정이야. 하여간, 뭐랄까. 밀실은 엄청난 수수께끼 덩어리지.”
너무나 쑥스러워서 온몸에 식은땀이 줄줄 흘렀다.
“그렇습니다. 엄청난 수수께끼 입니다.”
  ……

 

이런 식이다. 결국 참다못한 ‘덴카이치’는 “트릭 따위로 독자의 관심을 끌겠다는 생각 자체가 시대착오 적이에요. 밀실의 비밀? 흥, 너무 진부해서 웃음도 안 나오네.”라며 불평을 터뜨린다.

 

[명탐정의 규칙]이 그저 농담이나 저급한 냉소나 쏟아놓는 코믹 소설이 아닌 추리 소설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는 그 ‘웃음’ 뒤에 있는 작가의 이해와 애정에 더해 매 편마다 준비되어 있는 작은 반전 때문일 것이다. 물론 우리들의 유쾌한 두 주인공 ‘오가와라 반조’ 형사와 ‘덴카이치 다이고로’ 탐정의 공도 빼 놓을 수는 없으겠지만...ㅎㅎ

 

[명탐정의 규칙]을 읽으면서 느꼈던 또 하나의 감정은 ‘향수’다. 작가 ‘히가시노 게이고’는 매 편의 이야기마다 한가지씩의 전형적인 트릭을 소개하는데, 전형적이라는 것은 바꿔 말하면 전통적 이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언젠가 한번쯤은 본 듯한 트릭을 만날 때마다 필자가 좋아하는 ‘셜록 홈즈’ ‘애거서 크리스티’ 시리즈들, 그 고전 추리 소설. 전통 추리 소설들이 떠오르는 것이다. 작가는 ‘흉기 이야기 - 살인의 도구’편에서 이런 이야기를 한다.

 

“명탐정이 수수께끼를 풀어 가는 장면 따위는 앞으로 점점 줄어들 거예요. 뭐, 어쨌건 우리 같은 사람들은 소설의 재미를 유지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는 수밖에 없겠지요.”

 

과학 기술이 발달하고 수사 기법과 환경이 전문화 되면서 명탐정이 활약할 여지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그도 그럴 것이 [명탐정의 규칙]에서도 몇 번이나 ‘오가와라’ 형사가 이야기 하지만 현실 세계에서 경찰이 탐정에게 시시콜콜 사건 정황을 이야기하고 공유하는 일 따위는 없는 것이다. 현실에서는 이제 ‘셜록 홈즈’나 ‘에르큘 포와로’같은 명탐정을 만날 수 없다는 이야기이다. 그렇다는 것은 현대 소설에서 또한 그들을 만나기는 힘들다는 이야기가 되리라. 명탐정의 시대는 아련한 추억으로만 남게 된다는 것이다. [밀레니엄], [쓰리 세컨즈] 같은 극 사실주의 미스터리를 불과 얼마 전에 신나게 읽은 주제에 고전 ‘명탐정’에 대한 ‘향수’를 이야기하기에 다소 민망한 것은 사실이지만, 그래도 그리움은 그리움이고 아쉬운 것은 아쉬운 것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카스피 2012-05-09 19: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일본에서 히가시노 게이고가 명탐정의 규칙을 쓴 가장 큰 이유는 기본적으로 서구에서 발달된 본격 추리 소설에 사용된 트릭이 고갈되었기 때문이죠.서구의 경우 30~40년대의 본격 추리소설의 황금시기를 보내면서 트릭이 고갈된 측면과 그에 대한 반동으로 하드보일드 소설이 성행하게 됩니다.일본의 경우도 서구의 수많은 본격추리 소설이 거의 번역되고 일본 작가들역시 본격 추리 소설을 쓰면서 트릭이 고갈되죠.그러한 과정에서 명탐정의 규칙이 나오게 된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는 이른바 본격 추리 소설이 도일과 크리스티,퀸및 체스터턴의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거의 소개되지 않고 부웅 떠서 일본의 추리 소설및 현대 영미 사실주의 미스터리로 넘어가 경향이 있습니다.그래선지 미스터리 트릭의 고갈 운운하는 것이 가슴에 와닿진 않지요.황금시대의 본격추리소설이 다 번역되고 그런 소리가 나오는 것이 정말 소원입니다ㅜ.ㅜ

휘오름 2012-05-09 20:15   좋아요 0 | URL
음..그런 사정이 있었군요. 트릭의 고갈이라.. 어찌보면 행복한 일이군요. 그정도로 하나의 장르가 활성화 됐다는 것은 그만큼 팬에게는 즐거운 일일테니 말입니다. 국내 추리소설 시장이 그렇게 활발한 편은 아니라고 느껴왔지만요.
하지만 다르게 생각해보면 저같이 소프트한 독자의 입장에서는 황금시대의 작품들이 출간되어 나오는데로 고민없이 구해 봐도 항상 신선한 작품을 만날 수 있다는 장점도 있지 않을까요...물론 좀 억지일지도 모르겠지만요..ㅎㅎ
아무튼 저는 이렇게 새로운 작가와 작품을 만날 수 있어 즐겁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