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이 지니는 의미는 그냥 단순한 사랑이 아니라네. 지켜봐 주는 누군가가 옆에 있다는 사실을 상대방에게 알려 주는거지.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내가 가장 안타까워했던 게 바로 그거였어. 정신적인 안정감을 드리지 못한 게 가장 안타깝고 아쉽더군, 가족이 거기에서 자신을 지켜봐 주고 있으리라는 걸 느끼는 게 바로 정신적인 안정감이야. 가족 말고는 세상의 그 무엇도 그걸 줄 수는 없어. 돈도, 명예도."
교수님은 나를 뚫어지게 쳐다보며 덧붙였다.
"그리고 일도."

모리 교수님은 큰아들의 사진을 보면서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이 자식을 낳아야 되느냐, 낳지 말아야 되느냐 물을때마다 나는 어떻게 하라곤 말하지 않네. ‘자식을 갖는 것과같은 경험은 이 세상 어떤 것과도 다르지요.‘라고만 간단하게말하, 정말로 그렇다네. 그 경험을 대신할 만한 것은 이 세상에 없어, 친구와도 그런 경험은 할 수가 없지. 애인과도 마찬가지야. 타인에 대해 완벽한 책임감을 경험하고 싶다면, 그리고 사랑하는 법과 가장 깊이 서로 엮이는 법을 배우고 싶다면자식을 가져야 해"

그런 이유 때문에 경영내와 법대 교수들은 모리 교수님의 헌신적인 강의를 멍청할 정도로 순진한 짓으로 보았을지도 모른다.
그들에겐 그저 그의 제자들이 얼마나 돈을 많이 벌었는지, 큰소송에서 몇 차례나 이겼는지가 중요했을 테니까 말이다.
그런데 경영대나 법대 졸업생들은 졸업 후 자신들의 노은사를 몇 번이나 찾아갈까? 모리 교수님의 제자들은 늘 그를 찾아왔다. 그리고 세상을 떠나기 전 몇 달 동안 수백 명도 넘는 제자가 보스턴, 뉴욕, 캘리포니아, 런던, 스위스 등지에서 찾아왔다.

그들은 전화를 걸었고 편지를 썼다. 그리고 교수님을 한 번이라도 뵙기 위해서 수백 마일을 운전해서 찾아왔다. 고작 한마디의 말과 한 번의 미소를 나누기 위해서였다.
"여태 제게 선생님 같은 분은 없었어요."
모두들 모리 교수님에게 그렇게 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리 교수님이 이야기한 것처럼 ‘어떻게 죽어야 할지 알면어떻게 살아야 할지 알게 된다. 라는 조언이 바로 이 책의 주제입니다. 삶이 영원히 계속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야만삶을 소중히 여기게 되지요. 세상에서 보낼 날이 정해져 있다.

이 모든 것들에 대해서 제가 얼마나 감사하고 있는지 그리고 모리 교수님께 제가 얼마나 자랑하고 싶은지 여러분은 아마 모를 것입니다. 그의 지혜는 세상의 모든 거리에서 눈꽃처럼 떨어지고 있습니다. 저는 이제 교수님의 말씀에 동의합니다. 모든 것을 우연이라 믿기에 이 우주는 너무 조화롭고 웅장하고 압도적이라는 것을요.

‘내가 어떻게 된 걸까?‘
스스로에게 물었다. 귀에 익은 모리 교수님의 목소리는 날대학 시절로 데려가 주었다. 그 시절 나는 부자는 모두 나쁜사람이며 와이셔츠와 넥타이는 죄수복이라고 생각했다. 잠에서 깨서 어디로든 떠나갈 자유, 오토바이를 몰고 바람을 맞으며 파리 뒷골목을 누비거나 티베트에 들어갈 자유가 없는 것은 행복한 삶이 아니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랬던 내가 어떻게 된 걸까?

"밀고 당김의 긴장이요?"
"그래, 인생은 밀고 당김의 연속이네. 자넨 이것이 되고 싶지만 다른 것을 해야만 하지. 이런 것이 자네 마음을 상하게 하지만 상처받지 말아야 한다는 것을 자넨 너무나 잘 알아 또어떤 것들은 당연하게 받아들이기도 하지. 그걸 당연시하면안 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말이야. 밀고 당김의 긴장은 팽팽하게 당긴 고무줄과 비슷해. 그리고 우리 대부분은 그 중간에서 살지."
"무슨 레슬링 경기 같네요."
"레슬링 경기라……. 그래, 인생을 그런 식으로 묘사해도 좋겠지."
교수님은 웃음을 터뜨린다.
"어느 쪽이 이기나요?"
난 어린 학생처럼 묻는다. 그는 그 주름진 눈과 약간 틀어진 이를 드러내고서 내게 미소 짓는다.
"사랑이 이기지. 언제나 사랑이 이긴다네."

"여러분이 본 것처럼 이 학생은 눈을 감았어요. 그것이 여러분과 다른 점이에요. 눈에 보이는 것을 믿을 수 없을 때에는 느껴지는 것을 믿어야 합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을 믿게 만들려면 여러분 역시 그들을 믿고 있음을 느껴야합니다. 여러분이 어둠 속에 있을 때에나 뒤로 넘어지고 있을때조차도 말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도체의 부가가치를 올리는 패키지와 테스트
서민석 지음 / 한올출판사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주목받고 있는 반도체 패키징과 관련한 기술적인 이야기들을 하고 있는 도서.
흠.. 전공자가 아니라면, 읽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지 않나 싶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부의 인문학 - 슈퍼리치의 서재에서 찾아낸 부자의 길
브라운스톤 지음 / 오픈마인드 / 2019년 10월
평점 :
품절


필자는 '인문학'을 참 좋아한다. 특히, 주식시장이나 금융시장과 인문학을 연관짓는 것을 참 좋아하는 데, 이렇게까지 인문학과 연관짓는 것을 좋아하는 이유는 잘 모르겠다. 음.. 무언가 평소에도 익숙해서 그런 것인지, 아니면, 인문학은 없어져야 할 존재 혹은 무 쓸모한 존재라는 것이 아니라 존재가치가 있다는 것이 증명되는 것에서 느끼는 희열인지는 잘 모르겠다. 


여하간 그런 점에서 이 도서는 제목부터 필자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다. '부의 인문학'이라. 부자가 되기 위해서는 인문학이 반드시 필요할 것처럼 느껴지는 제목은 필자의 흥미를 끌기에 충분했다. 


도서의 내용은 경제학 구루들이 이야기하는 경제학 이론을 바탕으로 어떻게 전망을 하는지에 대해서 이야기 하고 있다. 

부동산 가격이라든가. 필자의 전망 에측 적중율은 매우 높았다고 한다.. 


경기 사이클을 만드는 주요 주체인 정부 주도향 인플레이션 그리고 경기부양책들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구조조정에 처할 수 밖에 없는 굴뚝 산업들에 대한 평가를 다시 보게 해주 었다. 물론, 10년 정도의 시간으로 본다면 여전히 상승 여력이 부치는 기업들이지만, 그럼에도 충분히 하락한 기간에서는 투자하기에 적합한 '턴어라운드 기업' 이었음을 보여주었다. 


사이클 사이클.

개인적으로 투자를 하면서, 사이클이 있는 주식투자에 대해서는 매우 낮은 선호도를 보였었다. 이번 코로나 위기가 오기 전까지 그런 종류의 기업들의 성과가 매우 부진했던 것이 아무래도 나의 지적 흥미를 끌지 못 했었나 보다. 아이러니하게도 테슬라도 10배정도의 수익률을 올렸다면, 코로나 이후, HMM이라는 기업도 10배 가까운 수익률을 기록했다. 


=> 예전에 드레먼의 '역발상 투자'에서 말했던 뛰어난 성과를 보인 기업들이 나 조차도 관심이 없었던 기업들에서 나타났었다는 점에서 나 자신의 금융시장에 대한 안목이 부족했음을 또, 이론으로는 알고 있었지만 현실에 적용하기에는 기업과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낮았음을 알게 된 계기가 되었다. 


사실이 바뀌면, 전략도 바뀐다. 그동안 OLD라고 공부하지 않았던 것이 안목의 부족함은 아니 였을지 생각하게 만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vestor우기ya 2021-03-21 14: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도서정리 : https://blog.naver.com/pjw1307/222275133551
 
습관의 힘 - 반복되는 행동이 만드는 극적인 변화
찰스 두히그 지음, 강주헌 옮김 / 갤리온 / 201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의 행동에서 무의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90%까지 된다는 이야기를 어디선가 들어본 적 있다. 거기서 말하는 무의식은 단순히 '잠재의식' 등으로 표현되는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의식적인 행위가 아닌, 어떤 신념과 가치관과 같은 것이라고만 생각해왔었는데, 그것이 '습관'이라고 불리는 행동양식일 수도 있다는 생각을 일깨워 준 도서이다. 


이 책을 읽으면서 깨달았었던 놀라운 점은 우리의 행동 중에서 '습관으로 고착화 된 것'은 우리가 의식하지 않아도 그대로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도서에서는 건망증 ? 혹은 기억상실증에 걸린 환자 이야기가 나오는데, 그는 하루하루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을 기억하지는 못 할지라도 산책을 하고, 딸이 인사를 하면 포옹을 하는 등의 행동을 하는 것에 있어서는 무리가 없었다는 사례를 들어준다 그리고 딸이 자신에게 인사를 하고 가지 않으면, 무의식적으로 화가 나있는 상태에 그가 들어간다는 것까지도.... (우리가 언젠가 이유없이 화가난다면, 이런 비슷한 이유들이 작용하는 것은 아닐까... )

우리가 의식하고 있지는 않지만, 눈근육은 스스로 움직여서 우리의 시야를 밝혀주듯이 습관이라는 것도 마치 우리의 근육철머 작용한다. 이는 우리가 아침마다 무기력하게 일어나지 못 하는 것도 습관이 되었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그날그날의 컨디션과 상관없이) 밤 늦게 무언가 잠에 들지 못 하는 것도 습관이 될 수도 있다는 점이다. 

처음에는 우리가 습관을 만들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습관이 우리를 지배한다는 무서운 말의 의미를 오롯이 알려주고 있는 도서라고 할까... 처음에 '아주 작은 사소한 습관의 힘'을 통해서 알게되서 읽게된 도서인데, 두 도서 모두 읽어볼만 하다.

'습관의 힘'이 어떻게 습관이 우리 삶을 지배하는 지에 촛점이 맞추어져 있다면, '아주 작은 습관의 힘'은 어떻게 하면 나쁜 습관을 없애고 좋은 습관을 우리 일상에 들일 수 있는지에 대해 좀 더 촛점이 맞추어진 도서이다.

시간이 된다면, 두 권 모두 읽어 보시길르 추천드린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Investor우기ya 2021-03-21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습관의 힘 내용 정리 :https://blog.naver.com/pjw1307/222275388763
아주 작은 습관의 힘 내용 정리 : https://blog.naver.com/pjw1307/222251092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