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어렸을 때 들은 베시 스미스나 루이 암스트롱의 노래를 빼고는 그 이전이나 이후에도 어느 누구의 영향을 받은 적이 없다. 나는 단지 베시의 비음과 루이스의 필링을 원했다. 때때로 사람들이 내 스타일은 어디서 발전했냐고 묻는다. 어떻게 대답하면 좋을까. 만일 여기 어떤 곡이 있어 그것을 부르고 싶다고 하자. 사람들은 어떻게 부를까에 신경 쓰겠지만 나는 단지 느끼려 할 뿐이다. 그 느낌을 그대로 솔직하게 노래하면 듣는 사람들도 뭔가를 느끼지 않겠는가? 생각, 편곡, 연습 따위는 필요 없었다. 오직 느낄 수 있는 곡만이 필요했다. 때로는 지나치게 감동한 나머지 노래로 부를 수조차 없는 곡도 있었다."
Billie Holiday - I Love You Porgy
(1984년에 제작된 BBC 다큐멘터리 'The Long Night of Lady Day' 중에서)
http://mediafile.paran.com/MEDIA_815115/BLOG/200411/1100437730_a.wmv

언젠가부터 소설이 읽히지 않았다. 글자들이, 문장들이 아무런 느낌을 불러일으키지 않아서 당혹스럽고, 그리고 좀 쓸쓸해졌다. 내 앞에 남아 있는 시간들을 무얼 하며 살아갈까. 또 무엇으로든 어떻게든 시간을 쓰면서 살아지기야 할 테지만, '책이 재미없어진 삶'이라니.... 일찌감치 보험금을 다 타 먹어 버린 사람마냥 막막하고 허랑해지는 느낌이었다.
얼마간의 시간이 흐른 뒤 위안과 해답은 역시 얼마 전에 환멸과 무미건조함으로 다가왔던 책에서 찾아졌다. 머리에서 쥐어짜듯 만들어진 문장들이 아닌, 수학 공식처럼 잘 짜여진 글이 아닌, 장식도, 치장도 없이 조금 거칠고 무뚝뚝한 '다큐멘터리' 같은 글들이 내게 다시 어떤 의욕과 애정을 불러일으켜 주었다.
"그는 정물화 한 작품을 그리기 위해 100번의 작업을 해야 했으며, 초상화 한 작품을 그리기 위해 150번의 포즈를 요구했다. 우리가 그의 작품이라고 부르고 있는 것이, 세잔느 자신에 있어서는 단순히 그림에의 한 시도요, 하나의 접근에 불과했다...... 그림은 그의 세계였으며, 그가 살아나가는 방식이었다."
심심하고 허전했던 어느 날 들른 서점에서 우연히 빼어든 책의 첫 장에서 이 구절을 만나고는 그대로 이 책을 사들고 와버렸다. 그냥 그 구절 때문이었다. 우연히,라고 했지만, 이렇게 되고 나면 어떤 운명적 자력이 작용한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해본다. 그 책은 메를로 뽕띠의 <의미와 무의미>이다.
다시 의미와 무의미가 징검다리처럼 놓여 있는 시간들 속으로 건너간다.
다시 소설을 읽을 수 있게 돼서 다행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