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드를 넘어서 - 그래픽 디자인 레이아웃 워크숍
티모시 사마라 지음, 송성재 옮김 / 안그라픽스 / 2006년 2월
평점 :
절판


풍부한 예시 자료와 설명은 이 책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서문에서 전통적인 그리드 디자인이란 무엇인가를 다루고
본문에서 그리드 디자인적 레이아웃과 비그리드적 레이아웃을 보여주는 데 ,

지면에서 적용되는 레이아웃  외에도 웹에서 구현되는 레이아웃까지 포괄해서 보여준 점이
이 책이 보여주는 미덕중 하나입니다.
최근 조류를 적극 반영한 것이지요.

그리드에 맞춰서 제작된 것이 맞을까 라는 의구심이 드는 사례도 몇건 있었지만 ,
3.4:5 , 5:8 식의 황금 비례로 세세하게 다루는 것보다는 보기 편합니다.

보시면 아시겠지만 , 그리드에 맞춰 제작된 레이아웃이 안정되고 보기 편하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습니다.

하지만 티모시 사라사가 언급하듯 , 그리드는 레이아웃의 전부가 아닌 가장 기본적인 구성일 뿐입니다.
예를 들어 건축물들이 가장 안정적인 사각형 형태를 띄게 되는 것도 같은 의미겠죠.
대지 모양에 따라 기울어지게 지어진 집은 밖에서 보면 신기하겠지만
공간을 활용하는 데 있어 애로사항이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그리드는 레이아웃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공간을 한번 분해해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책을 한번 쓰윽 넘겨보시면서
'그리드가 이런 것이구나. '
'흔히 보는 저작물, 웹사이트가 이런 구조에서 변형되는 구나'
라는 것을 느낄 수 있으실 겁니다.

보고나면 신문이나 잡지,사이트 혹은 환경에서조차 그리드를 느끼실 수 있을 지도 모르겠네요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인터페이스 - 디자인에 대한 새로운 접근
기 본지페 지음, 박해천 옮김 / 시공사 / 2003년 11월
평점 :
절판


사실 인터페이스라는 제목만 보고 ..
목차의 "디지털 인터페이스" 에 혹해서 이 책을 샀습니다.

아쉽게도 이책은 "광의" 적인 의미의 디자인을 다루고 있습니다.
디자인이란 "문제해결" 이고 생활 전반에 걸쳐 이루어진다는 의미로 다루고 있죠.

과학이란 녀석을 전면에 끌어들여 디자인을 설명하고자 했고요.
그외에도 이론의 정립을 중히 여겨 

"디자인이란 , 만들고 꾸미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그를 위한 이론의 정립도 꼭 필요하다."

라고 강조하고 있습니다. 

그외 독일에 울름 조형대학의 이론이 남아메리카에 영향을 주었던 점 ,
미국에서 기본 지페가 어떻게 이론과 실무를 조합했던 가에 대해 저술하고 있습니다.

다소 어렵게 책을 서술하고 있기 때문에 읽는 데 애로사항이 좀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루벤스의 그림과 생애
야콥 부르크하르트 지음, 최승규 옮김 / 한명출판사 / 199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벤스라고 하면 역시나 "플란더즈의 개"에서 네로가 루벤스의 그림을 보면서 얼어죽었다.는 그 그림을 그린 분이시죠.

 이 책을 읽고 나니 네로가 그토록 보고 싶어하던 경건한 그림보다는 풍만한 나부 그림들과 오동통하면서 혈색이 도는 인물그림만 머리에 남습니다.
이렇게 인물표현에 정성을 들였구나..라고 하면서 다시금 보게 되는 거죠.
통통한 혈색들 , 어물쩍 흘러내리는 듯한 신체의 라인이 그림을 풍성하게 하고 , 루벤스는 상당히 여유롭게 그림을 그렸구나라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습니다.

글들은 이해하기 다소 지루한 감도 없잖아 있지만 다양한 도판들을 구경하시는 것만으로도 바로크 미술에 한걸음 다가가는 계기가 될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로운 편집디자인의 개척자 알렉세이 브로도비치 - 대화 05
이정선 지음 / 디자인하우스 / 200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디자인 하우스의 디자인지에서 진행하던 "인터뷰"시리즈를 책으로 묶어서 낸 것인데요
이 내용들이 포켓판인데 비해 꽤 내용들이 알차네요.
가상 인터뷰 - 바이오그래피 - 필로그래피 등으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1940년대는 러시아 미술이 파리로 유입되면서 모던유럽디자인이 융성한 시기입니다.
브로도비치는 그러한 모던 유럽 디자인을 미국으로 이식한 선봉자 중의 한명이며
"하퍼스 바자"의 아트 디렉터로 24년간 재임했다고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이런 이야기를 하더군요 .
브로도비치는 제자들에게
"좋네, 하지만 자네는 더 잘할 수 있어"
라고 했다고 합니다.
 
간단하게 브로도 비치의 작품 성향과 초기 모던 레이아웃 디자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타이포그래피 에세이 - 재치와 유머가 가득하고 상상력이 넘치는 10가지 활자 이야기
에릭 슈피커만 외 지음, 김주성.이용신 옮김 / 안그라픽스 / 2003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타이포 그래틱에 대한 에서이..라고 간단히 말하기에는 내용이 상당히 충실합니다.
도면도 화려하게 구성되어 있고
내용도 알차니 타이포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읽어보시길 권합니다.

 가장 압권은 이제 그래픽적이 아닌 화면상의 타이포를 진지하게 탐구하여야 한다..라고 적힌 부분입니다.

한국은 현재 lcd파트나 다른 부분에서 괄목적인 양/질적 성장을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디스플레이 체재에서는 이제 화면상의 타이포가 더 중요해질 것이 분명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