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 incorportated - The Story of contemporary art
Chapter 2. New World order
사례
Doris Salcedo
http://www.pinterest.com/search/boards/?q=doris%20salcedo
Giles Gilbert Scott's Anglican Cathedral
http://designmuseum.org/design/giles-gilbert-scott
http://www.pinterest.com/itshaynesuwant/giles-gilbert-scott-18801960/
Liverpool Biennial 1999 Catalogue : Trace: The Liverpool Biennial of Contemporary Art
http://www.amazon.co.uk/Liverpool-Biennial-1999-Catalogue-Contemporary/dp/0953676102
1999년 리버풀 도시 곳곳에서 동시에 진행된 리버풀 비엔날레에서 도리스 살체도의 작업이 앨그리칸 돔에서 전시되었다. 그녀의 전시물이 전시공간의 상징성과 상이한 내용을 가진 점은 , 에두아르노 갈레아노의 남미 역사 서술의 대척점에 서 있다고 할 수 있다. charles merewether 는 그녀의 작업을 거대한 공간을 채우는 관과 같다고 평했다. 이러한 병렬, 평행상태의 전개 방식은 다양한 관점을 비교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Trace라는 테마는 아트 비엔날레에서 차용되는 전형적인 주제이다. 모든 것을 포함하면서도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기 때문이다. 리버풀이라는 공간은 역사적으로 교역과 세계화에 커다란 기여해 왔다. 당시 전시된 면면들을 살펴보면
Ernesto Neto
http://www.pinterest.com/search/boards/?q=ernesto%20neto
Vik Muniz
http://www.pinterest.com/search/boards/?q=vik%20muniz
http://liverpoolbiennial.co.uk/programmes/festivals/whatson/0/9/1999/319/aftermath-and-sugar-children
80년대를 기점으로 세계에 현대 미술 비엔날레가 우후죽순 시작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독립 큐레이터인 Rosa Martinez가 이상적인 비엔날레의 개념에 질문을 던진다.(http://www.rosamartinez.com/)
그녀에게 이상적인 비엔날레는 국제적이면서 지역적이고, 다양한 배경과 능력을 가진 사람들이 함께 일궈내는 존재였다. Homi Bhabha 너 Stuart Hall 같은 사람들은 이런 비엔날레가 국제 미술계에 새로운 경향들, 스타일, 관점, 사상들을 불러들였다고 본다. 예를 들면 살체도 작업의 밀도는 데미안 허스트의 작품을 하나의 우스꽝스러운 쇼로 보이게 해 버린다.
이러한 비엔날레의 비정상적인 분열 및 증식은 세계화와 제 삼세계의 발전에 따라 새로운 시장이 소비 시장으로 편입괴었고, 정부 주도하에 각 도시들을 투자 혹은 관광 목적으로 세계적인 명소로 만드려는 의도에서 가속화되고 있다.
영향력 있는 큐레이터인 Hou Hanru (http://curatorsintl.org/collaborators/hou_hanru)는 이러한 현상을 새로운 경제 정치적 목적에서 발휘되었다고 분석한다. 예를 들어 이스탄불 비엔날레나 하바타 비엔날레는 비엔날레를 정치적 제스츄어로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개최되고 있다.
그에 반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에서 개최된 비엔날레는 그러한 세계화와 관련된 주제가 행사가 개최되는 지역의 일반 방문자들에게 어필하지 못했다. 그에 비해 하바나 비엔날레는 대성공을 거두었다. 하바나의 시민들이 평균적으로 남아프리카 공화국보다 교육수준이 높았고 이것이 외국인 예술 관계자들의 비엔날레 방문을 도왔다는 평가도 있다.
세계화와 하이브리드. 하지만 이러한 시스템을 경유해서 걸러진 지역적 소재들이 만들어내는 것은 균일하다.
alfred Jarr 의 다른 유럽지역에 비교해 핀란드 정부가 승인한 이민자들의 여권을 표상하는 " 백만개의 핀란드 여권"이라는 작업이 이런 세계화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http://www.marthagarzon.com/contemporary_art/2011/01/politics-in-contemporary-art-alfredo-jaar/
국제예술계의 동질화 현상은 다음 두 사례에서 계속 살펴볼 수 있다. 러시아와 스칸디나비아에서 보여지는 신 자본주의 경쟁체제에 노출된 사회적 충격을 통한 작업들과, 중국 쿠바와 같이 사회주의적 정치상황 아래에서 드러나는 것이 그것이다.
신자본주의 체제의 충격은 러시아에서 다큐멘타리 필름과 사진을, 스칸디나비아에서는 영상과 음악부분에서 특징적으로 두드러졌다.
중국과 쿠바는 더 강력하게 사회주의에서 자본주의로 이양되는 시점을 폭발시켰다.
이 작업들이 시사하는 바는 특정 지역사회의 개성을 통해 세계화의 주된 주제들을 성공적으로 표현해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