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의 사생활 - 김화영의 문학 이야기
김화영 지음 / 문학동네 / 200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시인 - 고은 - 을 제외하곤 문학적 경향이 한 쪽으로 쏠린듯 해 아쉽다.  

 

  김화영 교수 개인의 기호일테지만.  

 

  자기 세계를 소중히 하고 자부심으로 지켜가는 작가들을 만나니 반가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꺽정 세트 - 전10권 - 개정판 홍명희의 임꺽정 1
홍명희 지음, 박재동 그림 / 사계절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경림의 시 <농무(農舞)>에서 꺽정이는 꺼이꺼이 울고, 서림이는 해해 웃어댄다. 

 

  모두다 모사꾼 서림이 되려는 시대다. 

 

  그게 성공이라 생각한다. 

 

  꺽정이처럼 남의 아픔에 울어주던 사람이 하나, 둘 사라지고 있다. 

 

  꺽정이가 그립다. 

 

            벽초 홍명희(1880-196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백년의 고독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34
가브리엘 가르시아 마르케스 지음, 조구호 옮김 / 민음사 / 199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개인의 고독과 집단의 고독, 무관하다 생각했는데 그렇지가 않다. 

 

  사랑에 무능한 사람들의 황폐와 단절 사이에 처한 고독. 

 

  이 고독은 비단 개인만의 것이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쿠오바디스 한국경제 (이준구) - 이준구 교수의, 이념이 아닌 합리성의 경제를 향하여
이준구 지음 / 푸른숲 / 2009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겨레>에 실리는 저자의 칼럼을 보며 이 신문과는 어울리지 않는 사람이라는 생각을 더러 했다. 

 

  저자의 강변처럼 자신은 이념에 관심이 없고 합리성과 학문적 신념으로 사회적 사안을 판단하기 때문일 것이다. 

 

  자유주의자 이준구를 여기까지 데려온 건 '팔할'이 이명박 정부다. 

 

  나머지 이할은 참여정부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문명의식과 실학 - 한국 지성사를 읽다 돌베개 석학인문강좌 1
임형택 지음 / 돌베개 / 2009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임형택 교수야 실학에 대해서 오랫동안 이야기한 사람이지만 이 책에서 두드러지는 건 이강회와 최한기의 경우겠다. 

 

  특히 최한기를 정약용과 연결시킨 건 흥미롭다.

 

  혜강까지 실학에 담은 건 논란의 여지가 있다.  

 

  한국엔 최한기를 숭앙하는 사람이 꽤 많다.  

 

  조동일과 김용옥이 우선 떠오른다. 

 

  특히 조동일은 최한기가 실학을 넘어 운화학을 했다고 주장한다.  

 

  물론 정약용은 실학을 했을 뿐이다.  

 

  최한기의 <인정>을 인용해 실학은 '一國一鄕'의 학문이고,  운화학은 '天下萬歲共公'을 위한 학문이라 구분 짓는다. (<세계,지방화시대의 한국학 9>, 계명대학교 출판부, 2009) 

 

  최한기와 정약용 가운데 누가 옳은 것일까? 

 

  조동일과 임형택 중 누가 옳은 것일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