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미술기행 한길 헤르메스 2
앤드루 그레이엄 딕슨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4월
평점 :
품절


  요한 호이징하의 말처럼 르네상스는 '중세의 가을'이다.  

 

  가을은 수확의 계절이며, 변화의 계절이다.  

 

  르네상스는 신성(神性)과 인성(人性)의 피 튀기는 전장이다.  

 

  변화가 들끓는 곳엔 언제든 문화가 발전한다.  

 

  마치 저 고대 희랍처럼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불꽃놀이
오정희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5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내가 오정희를 좋아하는 이유는 숨가쁨 때문이다.  

 

  그는 나긋나긋하지 않다.  

 

  절제 가운데 할 말을 다 쏟아놓는다.  

 

  그래서 더욱 따갑지만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현대문학과의 대화 - 대학교양총서 57
김윤식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부 / 1994년 9월
평점 :
품절


  김윤식의 비평은 물기에 젖어 있다.  

 

  그의 글은 부드럽지도 친절하지도 않지만 눅눅한 서정이 묻어난다.  

 

  그것은 그가 작가 지망생이었다는 사실 때문일테다.  

 

  하지만 그에 앞서 그 자신이 고백하고 있듯이 그의 문학은 바다라는 자연에서 연원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는 얼굴을 많이 드러내고 있는 셈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랑비 속의 외침 - 2판
위화 지음, 최용만 옮김 / 푸른숲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불쌍하다."

 

  이것이 위화 문학의 가장 큰 명제이다.  

 

  위화 문학에서는 선인과 악인이 따로 없다.  

 

  조금 더 선하고, 덜 선할 뿐이다.  

 

  이것이 위화의, 그리고 중국 문학의 큰 특징이리라.   

 

  내가 공감을 얻는 것도 이 때문이다.  

 

  좋은 교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자 이발사 창해 맑은내 소설선 11
전성태 지음 / 창해 / 2005년 9월
평점 :
품절


  <요코 이야기>가 해방 후 북에 남겨진 일본인 이야기라면 이 소설은 남에 남겨진 일본인 이야기다.  

 

  앞의 소설이 정치 이야기가 없는데도 정치소설로 읽힌다면 뒤의 소설은 정치 이야기가 많은데도 정치소설로 읽히지 않는다.  

 

  전성태는 인간을 신뢰하는 것이다.  

 

  국적이 무엇이건, 정치가 어떻건 사람을 믿는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