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
공부 - 김열규 교수의 지식 탐닉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10년 7월
평점 :
김열규 교수는 학부 시절 민속학 관련 논문을 읽은 기억이 있다. '읽은' 기억만 있달 뿐이지, 무슨 내용이었는지는 기억하질 못한다. 비슷한 시기에 한 출판사에서 주관한 독서장학생으로 활동했는데, <고독한 호모디지털>을 보내주어 읽어 보았다. 책은 최신 정보 기술과 연계된 학문의 변화를 말했는데 민속학자로만 알던 그의 새로운 면모였다. <공부>를 읽으면서도 느낀 거지만 전공을 넘어 여러 이야길 하는 건 좋지만 시구(詩句)마냥 훅 던지고 마는 문체가 성의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고독한 호모디지털>을 보면서도 했던 생각이다.
'공부'란 제목은 너무 커다랗다. 김열규 교수가 노학자인 건 맞겠지만, 거장인 듯 과장하는 책 앞날개의 저자 소개는 눈에 크게 거슬린다. 한국학의 한 분야를 완성했다는 평을 듣는다는데 누가 그런 평을 하고 있는지 출판사에 묻고 싶다. 이어령을 한국학의 거장으로 주워 섬기는 행태에 이젠 김열규까지 보태야 하나?
책은 이 내용, 저 내용 많이도 담고 있다. 저자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서 문학 이론을 거쳐 글쓰기 방법을 지나 최신 정보 기술도 슬쩍 말한다. 문제는 슬쩍 말하는 행태인데, 슬쩍 말하니 교양에도 도움이 되질 않고 문학 혹은 글쓰기 개론서라 말하기도 부족하다. 저자가 친절히도 책 속에서 출판사 편집자가 '이런 걸 요구하더라'고 말해주던데 그 요구를 맞춰주다 보니 책이 이 모습일까? 아니면 김열규 교수 고유의 스타일일까? 난 후자에 더 혐의를 둬 본다.
인문학계에서 '공부론'을 펼 수 있는 사람은 내가 아는 한 둘이다. 국문학의 조동일과 철학의 김영민인데 두 사람의 공부론-조동일의 <세계.지방화 시대의 한국학>, 김영민의 <공부론>-을 읽은터라 이 책이 눈에 잘 들어오질 않았다. 역사학의 정수일을 보태고 싶은데, 그는 파란만장한 삶 때문인지 아직 학문론을 쓰지 못했다. 옥중서신인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에서 잠시 공부 이력을 이야기 하던데, 본격적으로 써 나가면 값진 업적이 되지 않을까 한다.
그냥 공부에 대한 회고담으로만 삼았더라면 어땠을까 싶다. 그게 독자편에서도 부담이 덜할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