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공부 - 김열규 교수의 지식 탐닉기
김열규 지음 / 비아북 / 201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김열규 교수는 학부 시절 민속학 관련 논문을 읽은 기억이 있다. '읽은' 기억만 있달 뿐이지, 무슨 내용이었는지는 기억하질 못한다. 비슷한 시기에 한 출판사에서 주관한 독서장학생으로 활동했는데, <고독한 호모디지털>을 보내주어 읽어 보았다. 책은 최신 정보 기술과 연계된 학문의 변화를 말했는데 민속학자로만 알던 그의 새로운 면모였다. <공부>를 읽으면서도 느낀 거지만 전공을 넘어 여러 이야길 하는 건 좋지만 시구(詩句)마냥 훅 던지고 마는 문체가 성의 없다는 생각을 하게 한다. <고독한 호모디지털>을 보면서도 했던 생각이다.   

  '공부'란 제목은 너무 커다랗다. 김열규 교수가 노학자인 건 맞겠지만, 거장인 듯 과장하는 책 앞날개의 저자 소개는 눈에 크게 거슬린다. 한국학의 한 분야를 완성했다는 평을 듣는다는데 누가 그런 평을 하고 있는지 출판사에 묻고 싶다. 이어령을 한국학의 거장으로 주워 섬기는 행태에 이젠 김열규까지 보태야 하나?  

  책은 이 내용, 저 내용 많이도 담고 있다. 저자의 어린 시절부터 시작해서 문학 이론을 거쳐 글쓰기 방법을 지나 최신 정보 기술도 슬쩍 말한다. 문제는 슬쩍 말하는 행태인데, 슬쩍 말하니 교양에도 도움이 되질 않고 문학 혹은 글쓰기 개론서라 말하기도 부족하다. 저자가 친절히도 책 속에서 출판사 편집자가 '이런 걸 요구하더라'고 말해주던데 그 요구를 맞춰주다 보니 책이 이 모습일까? 아니면 김열규 교수 고유의 스타일일까? 난 후자에 더 혐의를 둬 본다.  

  인문학계에서 '공부론'을 펼 수 있는 사람은 내가 아는 한 둘이다. 국문학의 조동일과 철학의 김영민인데 두 사람의 공부론-조동일의 <세계.지방화 시대의 한국학>, 김영민의 <공부론>-을 읽은터라 이 책이 눈에 잘 들어오질 않았다. 역사학의 정수일을 보태고 싶은데, 그는 파란만장한 삶 때문인지 아직 학문론을 쓰지 못했다. 옥중서신인 <소걸음으로 천리를 가다>에서 잠시 공부 이력을 이야기 하던데, 본격적으로 써 나가면 값진 업적이 되지 않을까 한다.  

  그냥 공부에 대한 회고담으로만 삼았더라면 어땠을까 싶다. 그게 독자편에서도 부담이 덜할 듯 하다.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교고쿠 2010-08-06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호오. 조동일 교수님 책 중에 좋은것이 많지요. 국문과생들의 바이블, 한국문학통사를 비롯하여...
저 역시 <공부>를 읽고, 공부론이라기보단 그냥 수필류 같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출판사에서 굉장히 밀어주는 책이라 기대했건만, 기대했던 만큼 훌륭한 것은 아니었다는 생각이..

파고세운닥나무 2010-08-06 22:04   좋아요 0 | URL
저는 사실 저자 이름 확인하고선 기대 안 했는데 말이죠^^;

미지 2010-08-06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한겨레신문 기사로는 엠비가 휴가 때 이문열을 만났고, 이문열은 엠비 휴양지에서 1박을 했다는군요...
한국에 이른바 '거장'이 각 분야마다 몇몇 있죠. 먼저 인간이 되었으면 합니다. 재능과 힘을 타고난 덕으로 거장 행세하는 그 괴물들의 행진이 역겹습니다. 괴물과 인간의 차이는, 자기만의 고통말고 타자의 고통에 관심이 있는가 여부로 거의 정확히 판정이 되는 것 같습디다.
실은 뭐 여쭤보려고 들렀다가, 살짝 흥분했네요.
요사이 제가 왕후이 책을 틈틈이 아껴 보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모택동 전집과 루쉰을 읽어얄 것 같습니다. 좋은 번역본과 가이드 부탁드려도 될지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8-06 22:35   좋아요 0 | URL
왕후이를 보시는군요? 중국 신좌파 가운데 개인적으로도 가장 주목하는 학자입니다. 왕후이가 번역된 게 2권 정도 있지요? 왕후이를 비롯한 신좌파는 서강대 이욱연 교수가 열심히 소개하는데, <포스트 사회주의 시대의 중국문화>를 한 번 보시면 그를 이해하는 데 좀 더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합니다.
루쉰은 선집 번역이 있어요. 집단번역을 신뢰하지 않아서 이 번역보단 소설과 잡문을 따로 번역한 판본을 추천해 드리고 싶네요. 김시준 교수의 소설전집 번역이 괜찮습니다. 최근에 을유문화사판으로 나온 전집은 서울대출판부 번역을 손 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개인적으론 전형준 교수의 선집 번역을 더 좋아합니다. 이 분은 비평가이기도 한데 문장이 좀 더 좋아요. 아쉽게도 선집만 있구요. 최근에 창비세계문학전집에 이욱연 교수의 번역이 있던데 대표작은 이 걸로 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범우사에서 마오쩌둥의 선집을 냈어요. 그래도 정본 번역이니 참고하셔도 좋을 듯 하고 저는 80년대에 번역한 글들로 마오를 만났거든요. 그 번역본들은 지금 구하기도 어렵구요. 최근에 신봉수 교수가 <마오쩌둥>이란 책을 썼는데 그 책에 마오에 대한 참고 자료들이 세세히 정리되어 있다고 하네요. 길잡이가 될 수도 있을 듯 합니다.

미지 2010-08-07 03: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흐, 감사드립니다!
제가 읽고 있는 왕후이 책도 이욱연 교수가 번역한 것이군요-<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한다>... <포스트...>도 찾아보겠습니다.
그러니까, 루쉰은, 김시준/전형준/이욱연의 번역.
마오는, 범우사 선집과 신봉수의 해설서를 보면 되겠군요.
거듭 감사드립니다^^

다이조부 2010-08-07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독서장학생 활동은 혹시 한길사 아닌가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8-07 11:57   좋아요 0 | URL
네, 맞습니다. 3년간 활동 했더랬죠.

다이조부 2010-08-07 15:0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상당히 오랫동안 활동하셨네요~

아쉬운 점이 어쩌면 같이 활동할 수 있었을텐데 하는 생각이 ㅎㅎ

저도 01년도에 지원서를 정성껏 써서 가지고 있다가 술 퍼마시다가 분실했거든요. --

뭐 지원했다고 한길사에서 선발했을지야 알 수 없지만 말이죠.

제 기억으로는 활동기간이 2년 이었고, 매달 2권의 책을 보내주는 시스템으로 알고있어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8-07 16:16   좋아요 0 | URL
같이 활동할 수도 있었겠군요? 아쉬워라~
2003년말까지 했으니 3년이 조금 안되죠. 매달 2권씩 읽었구요. 고전을 비롯해서 좋은 책 많이 읽었는데 말이죠^^

거리산책자 2010-08-12 17: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오랜만에 닥나무님 글들을 쭈욱 훝어보았는데 옛날보다 서평의 길이가 길어지셨어요. ㅎㅎ 그건 그렇고 '독서장학생'이란 게 있었군요. 학교 다닐 때 왜 그리 시야가 좁았는지... 이제야 좀 후회되요. 어쩌면 닥나무님 독서실력(독서에도 실력이 있다고 봅니다)은 그때 다져졌는지도. :)

파고세운닥나무 2010-08-12 18:01   좋아요 0 | URL
그 활동하며 다양한 책을 많이 봤어요. 한길사가 지금도 그렇지만 인문학의 고전이나 사회과학 관련 책을 많이 내는데, 꾸준히 보는 일종의 훈련을 받은 것 같아요. 스스로 찾아서 읽기는 힘든 책들도 덕분에 읽었구요. 지금 생각하니 고마운 일인 것 같네요. 그 땐 벅찼는데 말이죠.
<나는 행복합니다> 보셨어요? 지난 주말에 후배 두엇이 보여달래서 봤는데, '어때?'랬더니 '음, 난해한걸요.'라던데요. 뭐, 난해까진 아닌듯 싶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