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교 사전 1 ㅣ 민음사 모던 클래식 8
한소공 지음, 심규호.유소영 옮김 / 민음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마차오 사전(馬橋詞典)>은 중국현대문학사에서 꽤 중요한 작품이다. 소설은 1996년에 발표되는데, 작가는 80년대 중반부터 '뿌리찾기(尋根) 문학'을 주장한다. 뿌리란 민간과 민중의 전통이란 의미겠다. '죽의 장막'에 둘러싸여 있던 중국이다. 10년간 문화대혁명의 광기가 휩쓸고 간 중국이다. 80년대 중반에서야 작가들은 어느 정도 정치로부터 벗어날 수 있었고, 문학적 실험을 해갈 수 있었다. 몰래, 몰래 읽어오던 세계 문학으로부터 받았던 자극들이 소설의 갱신을 부추기기도 했다. 특히 라틴 아메리카의 문학이 영향을 미치는데, 마르케스 등이 보여준 마술적 리얼리즘은 표현은 새롭되 소재는 민족의 것을 취하는 방식에 대해 고민케 한다. 일본의 가와바타 야스나리가 보여준 동양적 소재의 소설도 깊은 영향을 끼친다. 작가 위화는 자전적인 글에서 가와바타의 소설을 젊은 날 탐독했다는 얘기를 한다. 장이머우의 영화 <붉은 수수밭>의 원작인 <붉은 수수 가족(紅高梁家族)>(모옌)도 뿌리찾기 문학 계열로 분류한다.
소설의 배경인 마차오는 초나라의 굴원이 유배된 후 투신한 멱라강 주변에 위치한 곳이다. 벽촌이라 인근 마을과의 교류도 흔치 않다. 소설의 화자는 문혁 시기에 이 곳으로 와 지식청년으로 일한다. 화자의 눈에 비친 사람들의 모습은 기이하기만 하다. 행색 뿐 아니라, 독특한 말들이 귀에 박힌다. 예컨대 이런 경우다. '깨어나다(醒)'는 이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어리석다는 뜻이다. 이 마을에서 투신한 굴원은 <어부사(漁父辭)>에 이런 글을 남긴다. "중인(衆人)이 모두 취해 있는 가운데 나 홀로 깨어있어" 억울한 죽음을 당한 굴원을 보면 깨어있음이 어리석은 게 되고, 취함이 오히려 지혜로운 게 된다.
삶(生)과 관련한 말들도 특이한데, 남자 서른 여섯살과 여자 서른 둘을 이들은 만생(滿生)이라 부른다. 살 만큼 살았다는 뜻이다. 여기서 더 나이를 먹으면 천생(賤生)이 된다. 가장 고귀한 삶은 귀생(貴生)이라 하는데, 여자 열여섯, 남자 열여덟 이전을 말한다. 이후의 삶은 일과 결혼으로 고되니 이때까지가 가장 행복하다는 것이다.
이런 말들을 마차오 사람들의 현실주의나 이기주의로 해석할 수도 있겠다. 하지만 고통스런 중국 현대사를 돌이켜보면 그리 박대할 일도 아니다. 국가와 관은 언제나 그들을 괴롭히는 존재였고, 그들은 그 와중에도 태어나 결혼하고 아이 낳고 죽어갔다. 변덕스런 관에 맞서는 변치 않는 그들의 지혜가 말 속에 남아 있는 것이다.
한샤오궁은 근대 중국의 첫 소설인 <광인일기(狂人日記)>로부터 시작되는 비판정신과 마술적 리얼리즘의 기법을 혼합해 재미 속에 날카로운 비판을 숨긴 소설을 보여준다. 희로애락이 섞인 마차오 사람들의 말들을 새기며 나도 함께 기뻐하고 슬퍼하는 시간을 가졌다.
韓少功(1953-)
着語 : 책의 이름을 <마교 사전>이라 했는데, 마교는 지명이니 '마차오'라고 표기하는 게 맞겠다. 작가 이름도 '한샤오궁'으로 쓰는 게 맞겠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