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의 산 -하 을유세계문학전집 2
토마스 만 지음, 홍성광 옮김 / 을유문화사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줄긋기)

 

그는 납작하고 매끄러운 금시계를 손에 쥐고는 그의 이름 머리글자가 새겨진 뚜껑을 열고 들여다보는 일이 간혹 있었다. 사기로 된 문자판 위에는 검고 붉은 아라비아 숫자가 두 줄로 빙 둘러 새겨져 있었다. 아기자기하고 화려하게 여러 가지 무늬로 장식된 두 개의 금바늘이 제각기 방향을 가리키고 있었고, 가느다란 초침은 특히 작은 원 주위를 똑딱거리며 분주히 움직였다. 한스 카스토르프는 몇 분간이라도 시간의 흐름을 막고 멈추게 하여, 시간의 꼬리를 잡기 위해 초침을 유심히 바라보았다. 하지만 초침은 차례로 다가와 맞닿았다가 스쳐 지나가기를 반복하는 숫자에 아랑곳하지 않고 분주히 제 갈 길을 갈 뿐이었다. 초침은 목표며 눈금이며 부호에 도무지 관심이 없었다. 60이라는 숫자가 있는 곳에 일순간 멈추어 서든가, 또는 그렇지 않더라도 적어도 여기서 무언가 임무를 완수했다는 신호를 조금이라도 보내 주었으면 좋을 텐데 말이다. 하지만 초침은 아무런 숫자도 새겨져 있지 않은 곳과 마찬가지로 60이라는 숫자가 있는 곳을 황급히 지나쳐 버렸다. 이런 모양을 보고 있노라면 초침에게는 도중의 숫자나 구분이 단지 밑에 있는 것에 불과해서, 초침은 그에 아랑곳하지 않고 그냥 계속 움직이고 또 움직일 뿐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리하여 한스 카스토르프는 글라스휘텐제 시계를 다시 조끼 주머니에 집어넣고 시간이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 두었다.(387∼388쪽)

 

 - 토마스 만, 『마의 산_하권』, 《제7장》, <해변 산책>

 

 * * *

 

(나의 생각)

 

이 대목을 읽으니 밀란 쿤데라의 소설 속에 나오는 <문자반> 이 떠오른다.

 

괘종시계 문자반 위에서 바늘들은 원을 그리며 돌아간다. 점성가가 그리는 황도대(黃道帶) 역시 문자반처럼 생겼다. 호로스코프(占星), 그것은 시계다. 점성가의 예언을 믿건 말건, 호로스코프는 인생의 은유이며, 인생의 은유로서 위대한 지혜를 내포한다.

 

(중략)

 

달리 얘기해 보자. 루벤스 인생의 문자반이 중세의 거대한 괘종시계, 예를 들면 프라하의 그 괘종시계, 예전에 내가 수천 번도 더 지나쳤던 비에이빌 광장의 그 괘종시계 위에 놓여 있다고 상상해 보자. 시계가 울면 문자반에서 작은 창문 하나가 열린다. 거기에서 인형, 말하자면 몇 시냐고 묻는 일곱 살 난 소녀가 나온다. 그러고 나서 그 바늘이 매우 느리게, 여러 해가 걸려 다음 숫자에 이르면 종이 울리고 그 작은 창문이 다시 열리며 거기에서 다른 인형 하나가, "당신이 젊었을 때 ……." 라고 말하던 그 젊은 부인이 나온다.(435∼439쪽)

 

 - 밀란 쿤데라, 『불멸』, <6부 문자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