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깊이 고통을 겪어본 인간

 

깊이 고통을 겪어본 인간에게는 누구나 정신적인 자부심과 구토감이 ㅡ 이것은 얼마나 깊이 인간이 고통스러워할 수 있는가 하는 순위를 거의 결정한다 ㅡ 있다. 그는 자신의 고통 때문에 가장 영리하고 현명한 자들이 알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알고 있다고, "그대들은 아무것도 알지 못한다!"고 말할 수 있을 정도로 멀고도 무서운 많은 세계를 잘 알고 있고, 언젠가 그곳에 '머문' 적이 있다는 전율할 만한 확신을 가지고 있었으며, 이 확신이 온몸에 젖어들어 이로 채색해버린 것이다. 고통받는 자의 이러한 정신적인 무언의 교만이나, 선택된 인식자, '정통한 자', 거의 희생된 자의 이러한 긍지는 주제넘은 동정의 손과 접촉하는 것에서, 그리고 대체로 그와 고통을 같이하지 않는 모든 사람에게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서 모든 형식의 변장이 필요하다. 깊은 고통은 사람을 고귀하게 만든다. 이것은 사람을 구분시킨다. 가장 정교한 변장 형식의 하나가 에피쿠로스주의이며, 앞으로 확실히 드러내 보이게 될 취미의 대담성인데, 이는 고통을 가볍게 다루는 슬프고 심각한 모든 것에 저항하게 된다. 명랑하다고 오해받기 때문에, 명랑함을 이용하는 '좀더 명랑한 인간'이 있다 : ㅡ 그들은 오해받기를 원한다. 과학이 유쾌한 외관을 주기 때문에, 또한 과학성이 인간은 천박하다는 것을 추론하게 하기 때문에, 과학을 이용하는 '과학적 인간들'이 있다. ㅡ 그들은 유혹하여 그릇된 추론을 이끌어내기를 원한다. 자신들이 깨져버린 긍지를 지닌 치유할 수 없는 마음의 소유자라는 사실을 감추거나 부인하고 싶어하는, 자유로우면서도 뻔뻔한 정신을 지닌 인간도 있다. 또 때때로 어리석음마저도 불길하고 너무나 확실한 지식을 감추는 가면이 된다. ㅡ 여기에서 분명한 것은 '가면'에 경외심을 갖고, 잘못된 자리에 심리학과 호기심을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좀더 섬세한 인간의 특성이라는 것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270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