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강한 자들의 도덕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

 

자기 자신에 대한 믿음, 자기 자신에 대한 자부심, '무아( 無我)'를 근본적으로 적대하고 조소하는 것은 공감(共感)이나 '따뜻한 마음'을 가볍게 경멸하거나 경계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확실히 고귀한 도덕에 속한다. ㅡ 강한 자들은 존경하는 법을 아는 사람이며, 이것이 그들의 기술이요, 발명 영역인 것이다. 나이든 사람과 혈통에 대한 깊은 외경 ㅡ 모든 법은 이 이중의 외경 위에 서 있다 ㅡ. 조상에게는 유리하게 후손에게는 불리하게 대하는 믿음과 선입견은 강한 자들의 도덕에서 보이는 전형적인 특징이다. 그리고 반대로 '현대적 이념'의 인간이 거의 본능적으로 '진보'나 '미래'를 믿고 나이든 사람에 대한 존경심을 점점 더 잃어간다면, 이것만으로도 이미 충분히 이러한 '이념'의 유래가 고상하지 못함을 드러내는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 지배자의 도덕은 현대 취향에는 낯설고 적대적이다. 사람들이 오직 자신과 대등한 사람들에 대해서만 의무를 지니며 좀더 낮은 위치에 있는 사람들과 모든 낯선 사람들에 대해서는 마음대로 또는 '마음이 하고자 하는 대로' 행위해도 좋으며, 어떤 경우에든 '선악의 저편에서' 행위해도 좋다는 그들의 원칙의 엄격성 때문이다 ㅡ : 동정이나 그와 같은 것이 필요하게 되는 것도 이 때문인지 모른다. 오랫동안 감사하고 복수할 수 있는 능력과 의무 ㅡ 이 두 가 지는 오직 그와 대등한 자 안에서만 있을 수 있는 것이다 ㅡ, 보복에서의 정교함, 우정에서의 세련된 생각, 적대자를 갖는 어떤 필연성 (말하자면 질투, 투쟁욕, 오만 등의 정동이 빠져나가기 위한 배수구로, 근본적으로 좋은 친구가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 이 모든 것은 고귀한 도덕의 전형적인 특징이다. 이 도덕은 이미 시사한 것처럼, '현대적 이념'의 도덕이 아니며, 따라서 오늘날 그것을 그대로 느끼기 어려우며 또한 발굴해 드러내기도 어렵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9장> 고귀함이란 무엇인가?, 260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