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ㅣ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짧게 숨을 쉬고 있는 우리
독일어 문체가 얼마나 음향이나 귀와 별로 관계가 없는지는 바로 우리의 훌륭한 음악가들이 서투른 문장을 쓴다는 사실에서 나타난다. 독일인은 소리 내어 읽지 않고 귀에 들리게 읽지 않고 다만 눈으로 읽을 뿐이다 : 그는 글을 읽을 때 자신의 귀를 서랍 속에 처박아둔다. 고대인은 읽을 때 ㅡ 이것은 매우 드문 일이지만 ㅡ 자기 자신에게 실로 큰 소리로 읽어주었다. 어떤 사람이 나지막한 소리로 읽으면 의아해하며 은밀하게 그 이유를 물었다 : 큰 소리로 읽는다는 것은 음성의 모든 팽창, 굴절, 전환과 템포의 변화를 가지고 읽는다는 것을 말하며, 고대의 공적인 세계에서는 이러한 것들을 즐거워했다. 그 당시에 문장체의 법칙은 구어체의 법칙과 똑같았다. 그리고 이러한 법칙은 어느 부분에서는 귀와 후두(喉頭)가 놀라울 정도로 훈련되고 세련되게 요구하는 데서 나온 것이었고, 다른 부분에서는 고대인의 폐부의 강함, 지속과 힘에서 나온 것이었다. 고대인이 말하는 의미의 완전한 문장이란 단숨에 축약되는 한, 무엇보다도 하나의 생리적 전체이다. 그러한 완전한 문장이란 데모스테네스Demostenes나 키케로Cicero에게서 나타나듯이, 두 번 오르는 억양과 두 번 내리는 음조를 포함하면서, 모든 것이 한 호흡 속에 있다 : 이것은 고대 인간들에게는 즐거움이었는데, 그들은 그것에 대한 미덕을, 즉 그러한 완전한 문장으로 연설할 때의 비범함과 어려움을 스스로 훈련함으로써 평가할 줄 알았다 : ㅡ 어떤 의미에서 짧게 숨을 쉬고 있는 우리, 우리 현대인에게는 위대한 완전문을 사용할 권리가 없다! 이러한 고대인들은 모두 대화를 할 때는 학문 애호가이기도 하며 따라서 전문가이며 비평가였다. ㅡ 이렇게 해서 그들은 그들의 연설을 최고의 경지로 끌어올렸다 ; 그것은 마치 이전 세기에서 이탈리아의 남녀 모두 노래부를 줄 알았고, 그들에게서 성악의 대가적 재능이 (그와 더불어 또한 선율의 기법이 ㅡ ) 절정에 이르렀던 것과 같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8장 민족과 조국>, 247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