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 이것이 도덕적 관념이다

 

이제 대립적인 충동들과 경향이 도덕적인 영예를 얻게 된다. 무리 본능은 한 단계 한 단계 그 결론을 이끌어내게 된다. 어떤 의견 속에, 어떤 상태와 정동 속에, 어떤 의지 속에, 어떤 재능 속에 공공에 위험한 것, 평등을 위험하게 하는 것이 얼마나 많고 적게 있는가 하는 것, 이제 이것이 도덕적 관점이다 : 공포는 여기에서도 다시 도덕의 모체가 된다. 만일 최고의 강력한 충동이 정열적으로 터져나와, 개인이 무리적 양심의 평균과 낮은 곳을 뛰어넘어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게 한다면, 이러한 충동으로 인해 공동체의 자의식은 땅에 떨어지게 되고, 그 척추와 같은 공동체의 자신에 대한 믿음은 깨지게 된다: 따라서 바로 이러한 충동은 가장 잘 낙인 찍혀 비난받게 된다. 고고한 독립적인 정신, 홀로 살려는 의지, 커다란 이성은 이미 위험한 것으로 느끼게 되는 것이다. 개인을 무리 이상으로 끌어올리고 이웃에게 공포를 주는 모든 것은 이제부터는 악이라고 불리게 된다. 적당하고 겸손하고 스스로 적응하며 동등하게 대하는 심성, 욕구의 평범함이 도덕적 이름과 명예를 얻게 된다. 결국 매우 평화로운 상태 아래 자신의 감정을 엄격하고 혹독하게 단련시킬 기회와 필요성은 사라진다. 이제 모든 엄격함은 정의에서조차 양심을 어지럽히기 시작한다. 고상하고 준엄한 품위와 자기 책임감은 거의 사람들의 감정을 상하게 하며 불신을 일깨우고, '유순한 인간'이, 더욱 '우둔한 인간'이 존경을 받게 된다. 사회의 역사에는 병적인 연약화와 유약화가 일어나는 시점이 있는데, 이때에는 사회 자체가 스스로를 훼손시키는 자, 범죄자의 편을 들게 되며 더욱이 진지하고 숨김없이 편을 들게 된다. 처벌, 이것은 그 사회의 어느 곳에서는 부당한 것처럼 보인다. ㅡ '처벌'과 '처벌을 해야만 한다'는 관념이 사회를 고통스럽게 하고 사회에 공포를 주는 것은 자명하다. "그를 위험하지 않게 하는 것으로 충분하지 않은가? 왜 처벌까지 해야만 하는가? 처벌한다는 것 자체가 무서운 일이 아닌가!" ㅡ 이러한 물음으로 무리의 도덕, 공포의 도덕은 마지막 결론을 이끌어낸다. 만일 일반적으로 두려움의 원인이 되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면, 이러한 도덕도 함께 제거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도덕은 더 이상 필요없게 될 것이며, 그것이 스스로를 더 이상 필요하지 않다고 여기게 될 것이다! ㅡ 오늘날 유럽인의 양심을 음미해본 사람은 수천 개의 도덕적인 비밀스러운 숨바꼭질에서 언제나 같은 명법을, 즉 "우리는 언젠가는 더 이상 두려워할 만한 것이 없기를 원한다!"는 무리 공포심의 명법을 이끌어낼 수 있을 것이다. ㅡ 그곳을 향한 의지와 길은 오늘날 유럽 어느 곳에서나 '진보'라고 불리고 있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5장 도덕의 자연사>, 제201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