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악의 저편.도덕의 계보 ㅣ 책세상 니체전집 14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김정현 옮김 / 책세상 / 2002년 2월
평점 :
평균인
잘못해서 '자유정신'이라고 불리는 이 사람들은 간단히 그리고 나쁘게 말하면, 평균인Nivellirer에 속한다. 즉 그들은 민주주의적 취향과 그 '현대적 이념'을 표현하는 능변과 달필의 노예일 뿐이다 : 이들 모두는 고독을 모르는 인간, 자신의 고독을 가지지 못하는 인간, 졸렬하고 평범한 젊은이들이다. 그들이 용기와 존경할 만한 예절을 갖춘 것은 부인할 수 없지만, 그들은 자유롭지 못하고 웃을 수밖에 없을 만큼 천박하며, 특히 지금까지의 낡은 사회 형식 속에서 대략 모든 인간적인 불행과 실패의 원인을 보는 근본 성향을 가지고 있을 뿐이다 : 여기에서 진리는 다행히 전도된다! 그들이 전력을 다해 추구하는 것은 저 무리들처럼 푸른 목장의 일반적인 행복, 즉 모든 사람에게 삶의 안전, 무사, 쾌적함과 안도가 있는 행복이다. 그들이 지칠 때까지 마음껏 부른 두 가지 노래와 교리는 '권리의 평등'과 '고통받는 모든 자에 대한 공감'이라는 것이다. ㅡ 그들은 고통 자체를, 제거해야만 하는 무엇으로 여긴다. 어디에서 또 어떻게 지금까지 '인간'이라고 하는 식물이 높이 성장해왔는가의 문제에 눈과 양심을 열어왔던 우리, 반대 입장에 있는 우리는 이러한 것이 언제나 반대 조건 아래 일어났으며, 이를 위해 인간 상황의 위험성은 어마어마하게 증대하고, 발명하고 위장하는 그의 힘(그의 '정신' ㅡ )이 오랫동안 압박과 강제를 통해 정교하고 과감하게 발전되어가고, 그의 삶의 의지는 절대적인 힘의 의지까지 상승되어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 ㅡ 우리는 가혹함, 폭력, 노예 근성, 뒷골목과 가슴속에 있는 위험, 은둔, 금욕주의, 유혹의 기술, 모든 종류의 악마성 그리고 인간이 가진 모든 악과 공포스러운 것, 포악스러운 것, 맹수 같은 것과 교활한 것이 그와 반대되는 것으로서 '인간'이라는 종을 향상시키는 데 잘 기여한다고 생각한다 : ㅡ 이렇게 많은 말을 했었지만 우리는 단 한 번도 충분히 말한 적이 없다. 어쨌든 우리가 이 자리에서 말을 하든 침묵을 지키든, 현대의 모든 이데올로기와 군중들의 소망과는 다른 극(極)에 존재한다 : 아마 그들의 대척자(對蹠者)로 존재하는 것이 아닌가? '자유정신의 소유자'인 우리가 바로 이야기하길 좋아하는 정신의 소유자가 아니라고 해서 무엇이 이상한가? 정신이란 것이 무엇으로부터 자기를 해방시킬 수 있고, 그 다음에는 정신이 어디로 인도되는지 우리가 밝히기를 원하지 않는다고 해서 무엇이 이상한가? 그런데 이것은 '선악의 저편'이라는 위험한 형식과 관계가 있으며, 적어도 우리는 이것과 혼동되지 않게 막아야 한다 : 우리는 '자유사상가librespenseurs, libri pensatori, Freidenker' 와는 다른 존재이며, 스스로 이러한 '현대적 이념'의 용감한 대변인으로 불리기 좋아하는 그러한 모든 존재와도 다른 존재이다.
- 니체, 『선악의 저편』, <제2장> 자유정신, 제44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