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정선된 귀를 가진 자들에게 한마디
ㅡ 가장 정선된 귀를 가진 자들에게 한마디 더 하겠다 : 내가 음악에 진정 무엇을 바라는지에 대해. 나는 음악이 10월의 오후처럼 청명하고 깊이 있기를 바란다. 음악이 개성 있고 자유분방하며 부드럽기를, 비열과 기품을 모두 갖춘 달콤한 어린 여자이기를 바란다 ······ 음악이 무엇인지를 독일인이 알 수 있다는 것을 나는 결코 인정하지 않는다. 독일 음악가라고 불리는 자들, 특히 가장 위대한 음악가들은 외국인들이다. 슬라브인, 크로아티아인, 이탈리아인, 네덜란드인이며 ㅡ 아니면 유대인이다 ; 그렇지 않으면 하인리히 쉬츠, 바흐, 헨델과 같은 이미 소멸되어버린 강한 종족의 피가 흐르는 독일인이다. 나 스스로도 언제나 쇼팽을 위해서라면 나머지 음악들은 다 포기할 정도인 폴란드인이다 : 세 가지 이유 때문에 바그너의 지크프리트-목가는 예외로 한다. 그리고 그 고귀한 오케스트라적 악센트가 모든 음악가보다 앞서는 리스트도 예외로 한다 ; 마지막으로 알프스 너머에서 성장한 모든 것도 ㅡ 말하자면 지금 내가 있는 이쪽에서 성장한 모든 것도 예외로 한다 ······ 나는 로시니 없이 지낼 수는 없다. 음악에서의 나의 남쪽, 즉 내 베네치아의 거장인 피에트로 가스티의 음악 없이는 더더욱 그렇다. 그리고 내가 알프스 너머라고 말할 때는, 나는 진정 베네치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음악을 표현할 다른 단어를 찾아보면, 나는 언제나 베네치아라는 단어를 발견하게 된다. 나는 눈물과 음악을 구별할 수 없다. 나는 행복과 남쪽을 공포의 전율 없이는 생각할 수 없다.
- 니체, 『이 사람을 보라』, <나는 왜 이렇게 영리한지>, 제7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