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니체전집 2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이진우 옮김 / 책세상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밑줄긋기)

 

언어에 경외심을 가져야 한다

 

새로운 예 하나(222쪽) : "상승하는, 그리고 이 상승과 함께 개별적인 하강을 포함하는 이 운동의 방향." 120쪽에는 더 강력한 예가 있다. "칸트의 마지막 전환은, 우리가 발견한 것처럼, 목표에 도달하기 위하여 미래의 삶의 벌판 저 멀리에다 그 길을 잡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노새가 아니라면, 아무도 이 안개 속에서 길을 찾지 못한다. 그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 전환! 하강을 포괄하는 방향들! 지름길로서 가장 유리한 전환들, 벌판 저 멀리에다 길을 잡아야 하는 전환들! 어떤 벌판 위인가? 미래의 삶의 벌판 위! 제기랄 모든 지형학이라니, 빛을! 빛을! 이 미궁 속에서는 어디에 아리아드네의 실이 있는가? 아니다. 아무도 그렇게 글을 써서는 안 된다. …… 언어는 선조로부터 물려 받아서 자손에게 남기는 상속 재산이며, 신성하고, 귀중하고, 훼손할 수 없는 어떤 것을 대하듯 언어에 경외심을 가져야 한다는 사실을 나이 든 사람이라면 알고 있어야 한다고 나는 생각한다. 당신들의 귀가 둔해졌다면, 질문하고 사전을 찾아보고 좋은 문법서를 사용하라. 그러나 밝은 대낮에 감히 죄를 범하지 말라! 예를 들면 슈트라우스는 이렇게 말한다.(136쪽) : "자신과 인류에게서 떼어버리는 것이 모든 깨달은 사람들의 노력이어야 할 망상." 이 문장 구조는 틀렸다. 삼류 작가의 성숙한 귀가 이것을 깨닫지 못한다면, 나는 그의 귀에 대고 다음과 같이 소리쳐줄 것이다. 우리는 "무엇인가를 어떤 사람으로부터 떼어놓든가" 아니면 "우리는 어떤 사람을 어떤 사태로부터 떼어놓는다". 그러므로 슈트라우스는 이렇게 말했어야 했을 것이다. "하나의 망상, 그것으로부터 스스로와 인류를 떼어놓는 것" 혹은 "하나의 망상, 그것을 자신과 인류로부터 떼어놓는 것". 그러나 그가 써놓은 언어는 룸펜의 은어다. 이렇게 문체상으로 둔감한 사람이 신조어나 변형된 옛 단어들 속에서 이리저리 굴러다닐 때, 자신이 마치 제바스티안 프랑크Sebastian Frank인 것처럼 "평준화하는 사회민주주의의 의미"(279쪽)에 관하여 말할 때, ·…… 그는 과연 우리에게 어떻게 보일 것인가.

 

- 『반시대적 고찰 Ⅰ』, <다비드 슈트라우스, 고백자와 저술가>, 12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