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극의 탄생.반시대적 고찰 책세상 니체전집 2
프리드리히 니체 지음, 이진우 옮김 / 책세상 / 200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술의 형이상학

 

이제 여기서 우리는 과감하게 출발하여 단숨에 예술의 형이상학 속으로 훌쩍 뛰어들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나는 실존과 세계는 오로지 하나의 미적 현상으로서만 정당화되어 나타난다는 앞서 말한 문장을 반복하고자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비극적 신화는 추한 것과 부조화한 것조차 하나의 미적 유희이며 또 이 유희란 의지가 자신의 쾌락이 영원히 충만한 상태에서 자기 자신과 노는 유희라는 사실을 우리에게 확신시켜야 한다. 그러나 디오니소스적 예술의 파악하기 어려운 이 근원적 현상은 직접적인 방법을 통해서만 유일하게 이해되고, 음악적 불협화음의 놀라운 의미 속에서 직접적으로 파악된다. 세계와 나란히 세워진 음악만이 미적 현상으로서의 세계의 정당화가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가에 관한 개념을 제공할 수 있다. 비극적 신화가 산출하는 쾌락은 음악에서 불협화음에 대해 느끼는 즐거움과 같은 고향에서 유래한다. 디오니소스적인 것은 고통에서 느낀 자신의 근원적 쾌락과 함께 음악과 비극적 신화의 공통의 탄생지다.

 

그렇다면 우리가 불협화음이라는 음악 관계의 도움을 받음으로써 비극적 효과라는 저 어려운 문제의 해결이 매우 용이해졌다고 할 수 있는가? 우리는 이제 비극 속에서 보려고 하면서도 동시에 보는 것을 초월한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이해하는가. 이것은 예술적으로 사용된 불협화음과 관련하여 우리가 들으려 하면서도 동시에 듣는 것을 넘어서기를 동경한다고 그 성격을 규정해야 했던 상태다. 분명하게 지각된 현실에 대해 최고의 쾌락을 느끼면서 동시에 무한한 것을 지향하는 동경의 날갯짓은 우리에게 다음과 같은 것을 상기시킨다. 우리는 그 두 상태에서 디오니소스적 현상을 인식해야만 한다. 디오니소스적 현상은 우리에게 항상 새롭게 반복되는 개체 세계의 유희적 건설과 파괴를 근원적 쾌락의 분출로서 드러낸다. 이는, 신비스러운 사람 헤라클레이토스가, 장난으로 돌을 이리저리 옮겨놓고 모랫더미를 세웠다가 부수는 어린아이를 세계를 형성하는 힘에 비유한 것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 『음악의 정신으로부터의 비극의 탄생』, 24장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