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 과학이 발견한 인간 마음의 작동 원리와 진화심리학의 관점
스티븐 핑커 지음, 김한영 옮김 / 동녘사이언스 / 2007년 3월
장바구니담기


모든 종의 부모는 갓난아기에게 투자를 계속할지 중단할지의 선택에 직면한다. 부모 투자는 소중한 자원이므로, 만일 갓난아기가 죽을 가능성이 있다면 계속 기르거나 젖을 먹이는 것은 잃은 돈을 건지려다 점점 더 손해를 보는 셈이 된다. 그 시간과 칼로리는 같은 배의 새끼들에게 돌아가거나, 새 출발을 해서 새로운 새끼를 낳는 데 쓰이거나, 상황이 좋아질 때까지 비축해 놓은 것이 더 유익하다. 따라서 대부분의 동물들은 발육이 불량하거나 병약한 새끼를 죽게 놔둔다. 인간의 유아 살해에도 이와 비슷한 계산이 깔려 있다. 식량수집 사회에서 여자들은 10대 후반에 첫아이를 낳고 4년의 유아기 동안 필요할 때마다 젖을 먹이지만 많은 아기들이 어른이 되기 전에 죽는 것을 본다. 운이 좋은 여자는 2∼3명의 아이를 성공적으로 길러 낸다. 아주 적은 수의 아이라도 성공적으로 길러 내기 위해서는 힘든 결정을 내려야 한다.-682쪽

세계의 모든 문화에서 여자들은 생존 가능성이 낮은 상황이 오면 아기를 죽게 놔둔다. 예를 들어 아기가 기형이거나, 쌍둥이이거나, 아버지가 없거나, 아버지가 자신의 남편이 아닐 때, 어머니가 젊거나(그래서 다시 아기를 가질 기회가 있을 때), 사회적 지원이 없거나, 아기를 낳은 후 곧바로 다른 아기를 낳았거나, 먼저 태어난 자식을 키우기가 힘겨울 때, 혹은 가뭄 같은 시련이 닥쳤을 때다. 현대 서구 사회에서도 마찬가지다. 통계 수치에 의하면, 유아를 죽게 놔두는 어머니들은 어리고, 가난하고, 미혼이다.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세계의 다른 문화들과 똑같은 것은 우연의 일치가 아닐 것이다.-683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