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에게 전후를 살피도록 풍부한 판별력을 부여하신 분이,
그런 능력과 존엄한 이성을 주었을 땐,
사용도 못해본 채 곰팡이가 생기도록
하시려 함은 확실히 아니렷다.

<햄릿> 4막 4장, 36-39

 

 * * *

 

이제는 지겨울 만하지만, 그래도 또다시 유튜브 이야기를 쓰고 싶다.

 

책들을 소개해서 올리는 '북튜버들'이 어떤 책을 올리는가를 대략적으로나마 관찰해 보니, 크게 두세 가지 분파로 분류할 수 있을 듯했다. 첫째는 이름난 서양 문학 고전파, 둘째는 소위 자기계발서(성공 노하우, 돈 버는 법, 부동산 등 재테크 서적 안내), 셋째는 힐링파(감성적인 시나 에세이 위주의 소개) 등이었다.

 

동서양의 이름난 고전을 소개해 주는 채널들 가운데서는 호메로스의 양대 서사시나 사마천의 <사기>뿐 아니라, 톨스토이의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니나>,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등을 소개하는 분들도 눈에 띄었다. 제임스 조이스의 <젊은 예술가의 초상>, 셰익스피어의 <4대 비극작품> 등을 소개하는 채널도 살필 수 있었다.

 

한 가지 특별한 예외라면, 인류 최고의 시인으로 칭송받는 셰익스피어에 대해서는 무명의 독자들이 자체적으로 만든 컨텐츠가 거의 눈에 띄지 않는다는 점이었다. 해당 분야의 전문 교수나 문학평론가 등이 참여하여 제작한 'TV 방송용 컨텐츠' 말고는 정말로 눈에 띄지 않았다. 옳커니! 여기가 '사각지대'구나, 싶었다.

 

그래서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을 읽는 동안에 미리 수집해 둔 100장에 가까운 '사진이나 그림'들을 이용해서 '동영상 컨텐츠'를 하나 만들어 보기로 했다. 기존의 자료에 새로 추가할 내용도 거의 없었고(심지어 헨리5세, 헨리8세, 리처드 2세, 리처드 3세 등의 이미지까지 두루 확보되어 있었다!), 영상물에 얹을 컨텐츠도 별로 새로 보탤 게 없었다.

 

해당 이미지에 알맞은 '간략한 해설'만 덧붙이면 되는데, 그걸 최대한 압축하는 데만 힘이 들었을 뿐이다. 가끔씩 니체가 했던 말들을 찾아 덧붙이는 것만으로도 '아주 그럴싸' 했다. 배경음악은 둘 가운데 한참이나 고민하다가 '잔잔한 쪽으로' 결말을 보았다. 셰익스피어야말로 영국이 자랑하는 대문호이니, 그에 걸맞게 영국의 국민 작곡가인 엘가의 <위풍당당 행진곡>을 써서 만들었더니, 영상물과 겉도는 느낌이 자꾸만 들었다.(<리어 왕>이나 <오셀로> 혹은 <로미오와 줄리엣>을 얘기하는데 어찌 <위풍당당 행진곡>이 어울리겠는가.)

 

두 번째로는 베토벤의 <템페스트>를 배경음악으로 넣고 만들어 봤는데, 이 또한 셰익스피어의 <템페스트> 분위기가 너무 강렬하여, 템페스트 이외의 다른 작품들에 해당하는 영상이 지나갈 땐 음악이 약간씩 겉도는 느낌을 떨치기 어려웠다. 그래도 전반적으로는 '행진곡'보다는 잔잔한 '피아노 선율'이 훨씬 더 낫겠다 싶어, 결국 베토벤의 곡으로 결말을 봤다.

 

다 만들고 나서 '업로드'한 뒤에 영상물을 틀어 보니, 평범한 독자들에게는 너무 어려운 내용을 코멘트에 담은 게 아닌가 싶은 후회가 뒤따랐다. 셰익스피어가 쓴 작품만 해도 무려 37편이나 되는데, 일반 독자들이 과연 구석 구석에 있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까지 해설한다고 해서 얼마나 피부에 와 닿는 게 있을까 싶은 생각이 불쑥 들었던 것이다.

 

게다가, 셰익스피어의 위대함이나, 작품이 쓰여진 배경 지식까지 설명하느라 괜히 쓸 데 없이 다른 고전들을 지나치게 자주 거명한 것도 마음에 걸렸다. 고작 10분 남짓한 영상인 데다가, 거기에 무려 스무 편 이상의 작품에 대한 설명까지 포함되어 있는데, 그 속에 굳이 셰익스피어 작품과 연관된 다른 책들까지 소개하는 과욕을 부렸으니, 일반 독자들 입장에서는 셰익스피어를 더 알아보기도 전에 지레 겁부터 먹지나 않을까 도리어 걱정이 될 정도였다.

 

내가 이 짧은 영상에서 들먹거린 고전이 과연 몇 권이나 될까 싶어 다시 한번 찬찬이 세어 보니, 무려 열 권을 훌쩍 넘기고 있었다. 셰익스피어만 해도 벌써 숨이 차오르는데, 듣기만 해도 머리가 아픈 책들을 거기다가 잔뜩 덧보탰으니, 일반 독자들의 고통은 더욱 가중되었을 게 불보듯 뻔하다.

 

(이 영상물에서 언급된 또다른 책들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플루타르코스, <플루타르코스 영웅전>, <줄리어스 시저>, <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 <코리올라누스>와 관련이 있다.

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 <로미오와 줄리엣>의 출처와 관련이 있다.

T.S. 엘리엇, <황무지>, <코리올라누스>와 관련이 있다.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스>, 셰익스피어의 전 작품들과 깊은 연관이 있지만, 특히 <코리올라누스>와 관련이 있다.

랄프 왈도 에머슨, <위인이란 무엇인가_셰익스피어 편>, 셰익스피어의 인물평과 관련이 있다.

니체, <선악의 저편>, <햄릿>과 관련이 있다.

니체, <이 사람을 보라>, <햄릿>과 관련이 있다.

버지니아 울프, <댈러웨이 부인>, <오셀로>와 관련이 있다.

리비우스, <로마사>, <루크리스의 능욕>과 관련이 있다.

마키아벨리, <로마사 논고>, <루크리스의 능욕>과 관련이 있다.

파스퇴르나크, <닥터 지바고>, <로미오와 줄리엣> 설명에 동원되었다.

헤럴드 불름, <교양인의 책읽기>, <햄릿>과 관련이 있다,

세르반테스, <돈키호테>, <헨리 4세>에 등장하는 '폴스타프'와 관련이 있다.

 

이렇게, '동영상 카메라 한 대' 없이 꾸역꾸역 유튜브 영상물을 어거지로 만들어 내고는 있지만, 구독자는 생각보다 좀처럼 늘지 않고 있다.(구독버튼 하나 누르는 게 그토록 어려운 일이란 말인가!?) 

 

알라딘 서재에서 2003년부터 활동해 왔지만 내 서재를 즐겨찿기 등록한 서재인이 무려(!) 1,321명에 달하는데, 유튜브에서 내 채널을 구독하겠다는 사람은 고작 40명에 불과하다. 구독자를 100명 혹은 1,000명 모으는 일이 이렇게나 힘이 들 줄은 차마 몰랐다! 그런데, 구독자를 수만 혹은 수십 만씩이나 거느린 괴물들은 도대체 무슨 재주를 타고난 것이냐!?

 

 

 

 * * *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nd 2019-11-23 20:23   좋아요 1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영상물 틀(framework)에 영상물을 텍스트물로 차원 축소해서 보여주는 건 한계가 있다고 봅니다. 동영상이 대세인 초영상 시대에 말이죠. 영상적 틀에 동영상 없는 텍스트물은 기존 텍스트물과 크게 다르지 않아, 호흡 짧고 지극히 감각적이고 자극-반응적인 요즘 세대들한테는 잘 먹히지 않습니다. 말 그대로 유튜브 채널에선 동영상을 보여줘야 구독자가 늘어날 것입니다. oren 님이 직접 출연하거나 대타를 내세울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초기 단계로서 목소리만 넣어주는 것도 방법이죠. 목소리 또한 대역을 쓰는 것도 괜찮고요. 직접 출연하지 않고 동영상+목소리 혹은 정지 영상 텍스트물+목소리 형식도 잘만 만들면 구독자를 꽤 많이 늘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① 호흡이 무척 짧다. ② 무척 감각적이다. ③ 무척 자극-반응적이다. ④ 생각이 피상적이고 충동적이다. ⑤ 다 그렇다는 것이 아니고 유튜브 시청자층 분포에서 ①~④의 부류가 가장 많다는 것입니다. 책/독서 영상 시청자층이라고 해서 크게 다르지 않다고 봅니다. 나름 생각 깊고 점잖은 독서층도 영상물로 감각이 이동하면 대부분 ①~④의 속성을 가장 주된 속성으로 드러내게 돼 있다는 것이죠. 해서 이런 영상 세대들한테 oren 님은 책/독서 영상물을 어떻게 제작해 올린 것인가 전략적으로 고심해야 할 것입니다.

한데 셰익스피어(쉐익스피어)의 작품 가운데 마지막 작품인 『Henry VIII』가 상당 부분 셰익스피어가 아닌 다른 작가가(혹은 다른 작가들이) 썼다는 것이 잘 알려진 사실이라는데요. 최근 체코의 Petr Plecháč라는 수리언어학자 · 문헌학자 · 문학 연구자가 그 사실을 인공지능(AI)의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기법을 써서 구체적으로 밝혀냈다고 합니다. 자세한 것은 다음 인터넷 주소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Machine learning has revealed exactly how much of a Shakespeare play was written by someone else
https://www.technologyreview.com/s/614742/machine-learning-has-revealed-exactly-how-much-of-a-shakespeare-play-was-written-by-someone/

Relative contributions of Shakespeare and Fletcher in Henry VIII: An Analysis Based on Most Frequent Words and Most Frequent Rhythmic Patterns
https://arxiv.org/abs/1911.05652

oren 2019-11-25 21:51   좋아요 1 | URL
우선, 귀중한 조언 남겨주셔서 감사드린다는 말씀부터 드리고 싶군요.

제가 지금까지 시도하는 동영상물은 사실 ‘어거지 동영상‘일 뿐인 게 사실입니다. 핑계입니다만, 저는 아직 ‘동영상 카메라‘와 마이크 등 기본적인 장비조차 없이, 기존에 찍어 놓은 사진들을 이용해서 억지로 동영상화 하고 있을 따름이지요. 그러다 보니 당연히 ‘동영상 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절름발이식의 이상한 동영상물이 만들어지게 되었고요. 이 부분이 어색하다는 건 시청자들뿐만 아니라 저 스스로도 절감하고 있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안 그래도 어제 친한 선배분과 넌지시 얘기를 나눠봤더랬습니다. 유튜브에 ‘보이스 없는 동영상‘을 올리는 중인데, 보이스의 중요성, 발음의 정확성, 억양의 변화 등등이 얼마만큼 중요하냐 하는 식으로 좀 물어봤더랬지요. 그분은 메인 TV의 보도본부 기자를 오래도록 했던 분이어서 도움이 되지 싶었거든요. 그런데 그 선배는 그건 별로 중요치 않다면서 컨텐츠의 진정성만 있으면 극복되는 문제고, ‘니 정도의 발음이나 설명이라면‘ 아무런 문제가 없다는 식으로 대수롭지 않게 얘기하더군요. ‘니가 무슨 메인 TV 방송하고 경쟁할 것도 아니고‘ 하면서요.

어젯밤에는 또다른 친구한테 한번 물어봤더랬지요. 그 친구는 예전에 같은 회사에 다녔던 동기인데, ‘홍보담당 임원‘을 오래 했고, 마침 올해 4월부터 경제 전문 유튜브 채널을 운용 중이고, 다양한 시행착오 끝에 지금은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가고 있는 상태에 있는 친구죠.

그 친구왈, 지금 하고 있는 ‘절름발이식 동영상‘을 도대체 왜 만들고 있는지 모르겠다, 설마 그런 방식이 유튜브 세계에서 통하리라고 믿고 시도해 보는 건 아니겠지? 그렇다면 빨리 ‘제대로 된 동영상, 말하자면 니 얼굴과 목소리가 담긴 생생한 동영상을 만들어라, 지금과 같은 동영상은 아무도 안 본다, 요즘 젊은이들은 핸드폰은 주머니에 집어 넣고 이어폰으로 듣기만 한다, 심지어 영상을 꺼도 음악이나 음성은 나오는 ‘프리미엄 서비스‘를 ‘유로‘로 제공하는 서비스도 확산 중이다, 등등 많은 조언을 해 주더군요. 솔직히 뜨끔했습니다. 구차한 변명으로 얼버무렸지만, 조만간 동영상 카메라 하나 갖춰서 진짜 동영상을 만들어 보겠다, 그런데 지금은 ‘본업‘이 뻔히 있는데. 동영상 카메라에 마이크까지 새로 갖춰서 ‘방송 녹화하는 꼴‘을 보이다가 집안에서 들키면 곤란하지 싶다, 이런저런 테스트 내지는 연습을 몰래몰래 좀 더 해보다가, 도저히 못 참겠으면(사실 지금 무지 답답한 것도 사실이거든요. 스틸컷 50장 내지 100장을 어거지 동영상으로 만들면, 컷당 5초 혹은 10초씩 강제 배분을 하는 데다가, 강약이나 완급조절도 어렵고, 기승전결식 구조도 생각하기 어려우니까요.) 그때 본격적으로 만들어 보겠다, 그러면서 얼버무렸지요.

아무튼, 제 친구의 결론인즉, 유튜브 시장은 갈수록 ‘경쟁이 치열해질 게 불보듯 뻔한 상황‘이니, 너무 머뭇거리지 말고, 이왕에 시작할 거면 지금처럼 장난삼아 쪼물딱거리지 말고,남들처럼 제대로 얼굴 내밀고 프로페셔널하게 덤벼 보라고 하더군요. 저는 ‘본업‘을 그만두면 맹렬하게 한번 매달리고 싶은 생각이 있는데, 지금은 솔직히 어정쩡한 상태다, 그런데 결국은 북튜브를 하지 않을까 싶다, 책 읽는 게 즐겁고, (비록 글로 쓰는 것과는 다르겠지만) 내가 책을 읽고 나서 깨닫고 느꼈던 점들을 남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의 하나로 유튜브를 선택한다면, 그것도 충분히 시도해 볼 만하다, 라는 식으로 얘기했더랬습니다.

아무리 유튜브가 펄펄 끓는 시장이라고 해도, 팬티도 안 입고 수영장으로 냅다 뛰어들 수는 없는 노릇 아닐까 하면서 고민은 해보고 있답니다. 님의 말씀을 들으면서 곰곰 생각해 보니, ‘영상 컨텐츠의 핵심 경쟁력‘이 어디에 있는지, 사람들은 영상 컨텐츠의 무엇에 그토록 열광하는지를 심사숙고해 봐야겠다 싶습니다.

그리고, <핸리 8세>의 작가가 셰익스피어가 아니라는 설은 예전부터 있어 왔던 ‘오래된 문제‘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읽었던 <전예원 세계문학선> 신정옥 번역본(1999년)에서도 그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고요. 아무튼 유익한 정보 알려주셔서 정말 감사드립니다.^^

* * *

이 극은 과연 셰익스피어의 작품이냐 아니냐가 의문이다. 셰익스피어의 것이 아니면 누가 썼는가? 다른 작가와의 합작이면 누구와 함께 썼는가. 쓴 사람은 두 사람인가 아니면 세 사람의 합작인가.

무려 23년간의 역사적 사실을 5막 17장으로 압축하여 극화한 <헨리 8세>는 셰익스피어의 만년의 작품인데 집필자 문제에 대해서는 설이 구구하다.

그 중에서도 폭넓게 지지를 받고 있는 설은 프란시스 베이컨의 연구가인 제임스 스페딩이 주장하는 합작설이다. 그는 <잰틀맨 매거진>지에 ˝누가 셰익스피어의 <헨리 8세>를 썼는가?˝ 라는 글에서 시의 형태와 운률 등의 분석에 의한 증명을 하며 셰익스피어와 존 플레쳐의 합작이라는 설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그 운률의 검증에 의해 작가를 결정한다는 것은 설득력이 있는 듯하지만 그것으로 작가를 결정함은 위험스럽기 그지없다. 스페딩은 <헨리 8세> 중 많은 유명한 대사를 플레쳐가 썼다고 했다. 그 많은 아름다운 대사를 셰익스피어 작이라고 믿는 사람들에겐 크나큰 충격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런가 하면 맥스웰이나 틸랴드는 셰익스피어 그리고 후배작가들 플레쳐와 필립 매신져가 합작했다는 것이다. 또 한 설로는 셰익스피어와 무관한 것으로 플레쳐와 매신져의 합작이라는 설도 있다. 합작설을 주장하는 근거는 시형의 특이성 외에도 연극이 에피소드 식으로 전개되어 전체의 통일이 없다는 점, 또 유명한 대사가 너무도 수려하여 셰익스피어다운 독특한 동력이 없다는 점, 인물의 묘사에도 일관성이 없음을 지적하고 있다. 일찍이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서인지 커모드는 <헨리 8세>를 ‘에피소드의 극˝이라 평한 바 있다.

이들 설이 확실한 증거로서는 미약하여 이설도 분분한 <헨리 8세>의 작가문제에 대해 결정적인 결론을 내리기 어려나 오늘날에 있어서는 셰익스피어가 단독으로 집필하였다는 설이 지배적이고 가장 유력시되고 있다. ……

- 신정옥 번역, 『헨리 8세』, <작품해설> 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