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잘 한 일을 꼽아보자. 우열을 가리는 것은 어렵다. 어떤 일이 다른 어떤 일보다 월등하게 좋을 수도 현저히 나쁘기도 힘들다. 꼭 같은 일이 아니고서야. 그러니 그냥 꼽자. 두 가지를 생각하는데 사실 이 둘은 서로 연결되어 있고 상호보완의 관계이기도 하다.
먼저 '각방 예찬'.
방이 부족한 집에서 '내 방'을 만들었다. 혼자 자고 혼자 책상을 쓴다. 거실용 식탁을 방으로 들였다. (커다란 6인용이지만 코로나 이후 쓸 일이 없었다.) 흩어져있던 책들을 장식장 안에 대략 정리해서 넣고 침대와 책상의 위치를 이리저리 바꾸어보았다. 책상에 앉아 책을 보거나 글을 쓰거나 1인용 안락의자(라고 하기엔 빈약한)에 반쯤 누워서 책을 읽다가 졸기도 한다. 집에서 가장 많이 머무르던 장소가 주방에서 내 방으로 바뀌었다. 여전히 한밤중에 다른 곳에서 나는 소리에 잠이 깰 때도 있지만 적어도 옆사람이 뒤척이거나 일어나거나 눕는 소리에 잠을 설치는 일은 없다. 자는 사람 깨우지 않으려고 조심조심 책을 들고 주방으로 가는 아침도 없어졌다. 옆지기는 거실을 사용한다. 코로나가 시작되면서 거실의 기능이 사라지다시피 했고 평소에도 나는 거실을 사용하지 않았다. 이 집이 복도식이라 공간들이 일렬로 늘어서 있고 거실에도 문이 달려있어 방으로 쓰기에 별 무리가 없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한 셈이다.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니다.^^;;) 옆지기는 오디오가 있는 거실을 이전보다 더 많이 활용하고 나는 잠만 자러 들어오던 방을 하루종일 책 읽는 공간으로 사용한다. 내가 자고 싶을 때 자고 일어나고 싶을 때 일어난다. 침대에서 불 켜두고 책도 읽고 일기도 쓴다. 그저 방을 따로 쓸 뿐인데 할 수 있는 일이 늘어났다. 진작 할 것을. 부부가 하나의 방을 사용하는 것은 서로에게 피해를 주는 일이다. 방 하나에 침대 하나가 아니라 각자의 방에 각자의 침대를 마련(혹은 각자의 이불을 사용)하는 것이 서로에게 훨씬 이롭다. 그러나 우리는 어떤 상황이든 부부는 한 방을 써야 한다고 배웠다. 싸우더라도 한 이불을 덮으라는 말을 들으며 자랐다. 각방을 쓴다고 하면 이혼 전야의 부부를 보는 눈빛을 만나게 된다. 1+1=1을 요구하는 사회. 틀렸다. 부부가 한 침대에서 잠을 자는 이유는 많은 부분 남성에게 이로운 일이다. 루소인지 누구인지 정확히 기억나지 않지만 옛적의 한 여성혐오자는 절대적으로 부부가 한 침대를 써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 침대에서 남편이 원할 때 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내의 의무라고 말했다. (썩을 놈!) 결혼 유무와 상관없이 아래의 책을 읽어볼 것을 권한다.(썩을 놈 이야기 여기 나온다, 아마도.) 그리고 되도록이면 잠자리 독립을 권한다. 따로 잔다고 애정이 식는 건 아니다. 해보시라. 생활이 덜 피곤해진다. 나는 내 방에서 책 읽는 시간이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 작은 집에 살아서 방을 나눌 수 없는 사람들에게는 매우 배부른 소리로 들릴 것을 안다. 나도 지금껏 그렇게 살았으니까. 아이디어를 쥐어짜서라도 한 귀퉁이 내 공간을 정해두는 것으로 시작하면 좋다고 한다. 거기 있을 땐 방해하지 않기.)
다음은, 모임이다. 독서모임.
사람을 만나는 것이 익숙치 않고 누군가를 사귀는 것은 더욱 힘들고 낯을 가리기도 하는 내가 간간이 대화를 하는 도구로 인터넷을 활용해온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하다. 어떤 식으로든 인터넷으로 한국의 사람들과 연결되지 않는 삶을 살았다면 으... 나는 점점 작게 쪼그라들어 사라지고 말았을 것이다. (아이들이 어릴 때는 그림책 이야기로, 그 다음에는 그릇과 뜨개질로, 얼굴을 모르는 사람들과 소통하며 지냈다. 때로 침잠하는 긴 시간에는 그것마저 끊었다.) 작년 즈음부터 책을 사들이면서 알라딘 서재에 다시 글을 쓰기 시작했고 알던 사람들과 새로운 사람들을 만났다. 이런저런 일상을 가끔 늘어놓던 블로그에 책 이야기를 쓰면서 또 새로운 사람들을 만났다. 모두 책이 연결해준 사람들이다. 자꾸 말이 길어지는데, 이러면 곤란한데, 아 막 설레잖아. 이 사람들, 너무 좋아서. 무엇보다 내 나름대로 큰 용기를 내어 줌독서모임들을 하게 된 것이 뿌듯함과 설렘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직 어설프고 긴장도 하지만 차차 나아질 것이다. 함께 책을 읽고 서로의 이야기를 나누는 경험, 거기에서 또 느끼고 배우는 경험, 무언가 결과를 함께 만들어가는 경험, 매일 하고 싶다. 글로 만나는 독서모임 친구들 역시 굉장한 사람들. 매일 보고 배우고 자극받는다. 어떻게든 나와 연결된 책 친구들, 서툰 내 말과 글에 격려를 아끼지 않는 책 친구들, 모두 고맙다. 내 애정이 글자들을 넘어 전달되기를.
나를 칭찬한다고 제목 써놓고 감사인사로 마무리하게 되는 건가. 부끄러우니 딴소리 시전. 아무튼 잘 했다. 칭찬한다. 이 외에도 잘 한 일 몇 가지 더 있지 싶으나 길어지니까 여기까지. 라고 쓰면서 막 몇몇 이야깃거리가 떠오른다. 다음에 하자. 칭찬은 많이, 자주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