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래는 친구들과 하늘공원에 가려고 했으나 기형도추모행사가 있다기에 갑자기 장소를 바꾸었다. 하늘공원이야 마음만 먹으면 갈 수 있지만 추모행사는 일 년에 한번 뿐이므로 마음 먹는다고 쉽게 갈 수 있는 게 아니다.
정말 그랬다. 광명역 근처에 있는 기형도문학관은 쉽게 갈 수 있는 곳이 절대 아니다. 인천과 경기도 경계에 있는 우리집에서 승용차로 간다면 20~30분이면 후딱 갈 수 있는 가까운 곳이지만 대중교통을 이용하자면 지그재그로 무한정 가야 한다. 교통이 고도로 발달한 대명천지에 이 무슨 70년대식 유목 이동을 해야 하는지...
3시간 넘게 이어진 행사에 몇 명의 시인의 얼굴을 직접 볼 수 있었다. 나희덕, 황인숙, 박 준, 유희경 그리고 평론가 유성호. 유희경이 사회를 본 평론가 유성호와 나희덕 시인의 대담이 있었고, 이어 시낭독이 있었으나 한 편씩 하는 시낭송은 좀 감질만 났다고나 할까.
대담이 끝날 무렵 어떤 청중이 시를 잘 쓰는 방법을 물었다. "시를 읽고 감동하면 독자가 되는 거고, 시를 읽고 질투를 하면 시인이 된다."는 평론가 유성호의 대답에 순간 청중들 입에서 '아' 하는 공감인지 감동인지 모를 신음소리가 흘러나왔다. "기형도가 교과서에 실리지 않아서 자퇴하겠다."는 어느 고등학생 얘기도 재미있었다. 지금은 교과서에 실렸다나.
1989년 7월10일 3쇄 발행. 이 때 나온 시집을 읽었던 나는 그 시절이 오히려 낯설다. 그러니까 벌서 29년 전 일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애써 한편 읽어본다.
病
내 얼굴이 한 폭 낯선 풍경화로 보이기
시작한 이후, 나는 主語을 잃고 헤매이는
가지 잘린 늙은 나무가 되었다.
가끔씩 숨이 턱턱 막히는 어둠에 체해
반 토막 영혼을 뒤틀어 눈을 뜨면
잔인하게 죽어간 붉은 세월이 곱게 접혀 있는
단단한 몸통 위에,
사람아, 사람아 단풍든다.
아아, 노랗게 단풍든다.
29세에 죽은 기형도는 이미 그 나이에 노인이 되어 있었다. 무슨 총량의 법칙대로라면 그는 이미 그 나이에 살만큼 다 산 것이라고 하겠다.
노인들
감당하기 벅찬 나날들은 이미 다 지나갔다
그 긴 겨울을 견뎌낸 나뭇가지들은
봄빛이 닿는 곳마다 기다렸다는 듯 목을 분지르며 떨어진다
그럴 때마다 내 나이와는 거리가 먼 슬픔들을 나는 느낀다
그리고 그 슬픔들은 내 몫이 아니어서 고통스럽다
그러나 부러지지 않고 죽어 있는 날렵한 가지들은 추악하다
'내 나이와는 거리가 먼 슬픔'을 느꼈다고 하지만 이미 그는 그 나이에 이르렀던 건 아닐까. 그만 부러져버리고 죽었으니까. 부러진 날렵한 가지였던 그는 절대로 추악하지 않았고 그래서 오늘도 많은 사람들이 그의 죽음을 애도하는가 보다.
나는 부러질까봐 전전긍긍하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