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것 참 묘하게 생겨서, 구입해보았다. 브로콜리와 컬리플라워를 교배한 것으로 이름은 로마네스크라고 한단다. 모양도 이름도 기발하다. 특히 모양은 프랙탈 형태이다.

 

 

* 프랙탈: 수학자들의 관점에서 보면 프랙탈은 복잡한 기하학적 형태이다. 프랙탈의 핵심 개념은 자체 유사성이다. 자체 유사성을 가지고 있는 물체는 부분을 이루는 요소들이 전체와 닮은 형태를 하고 있다. 이는 양치식물의 잎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다. 잎을 자세히 살펴보면 아주 작은 부분도 전체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다. 놀랍게도 이런 형태는 미세한 크기까지 계속된다.(춮처: daum백과)

 

 

브로콜리와 컬리플라워를 처음 접했을 때도 놀라웠는데 ....

 

며칠 전엔 사보이 양배추라는, 배추도 아닌 것이, 양배추도 아닌 것이, 라면발같이 꼬불꼬불한 이파리가 놀라게 하더니...

 

그렇다면 로마네스크 브로콜리와 사보이 양배추를 교배하면 뭐가 나올까?

 

 

액괴. 액체괴물. 액체도 아닌 것이 고체도 아닌, 물커덩한 물질이 요즘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 폭발이다. 색깔도 다양해서 그냥 보라색, 분홍색이라고 부를 수 없는 묘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전염병 번지듯 순식간에 아이들을 점령한 기괴한 물질이다. 끈적끈적하게 생겼으나 손에 달라붙지는 않아서 손으로 짓이기거나 길게 잡아늘려가며 놀기 딱 좋다. 한 녀석 왈,

 

"이걸 만지고 있으면 기분이 좋아져요."

 

오늘도 이 액괴를 두 개나 거둬들여 쓰레기통에 버렸다. 아이들이 그토록 좋아하는 액괴는 그러고보니 로마네스크 브로콜리와 사보이 양배추를 닮았다. 이렇게저렇게 만지작만지작 하다가 탄생한 것이 이것들 아닌가. 아이들이 이런 액괴를 통해 어떤 창의성이 싹틀지도 모를 일인데, 책상 위에 교과서 대신 떡하니 깔려있는 액괴가 흉칙하다고 압수조치를 하고 있는 모양새라니. 내가 괴물인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서니데이 2017-12-22 21: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nama님, 즐거운 크리스마스, 좋은 주말 보내세요.^^

nama 2017-12-23 08:52   좋아요 1 | URL
올 크리스마스는 월요일이어서 좋아요.
서니데이님도 즐거운 날들이 되시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