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확히 1988년, 떨리는 마음으로 소설가 김동리의 수업을 들었다. 소설작법이라는 세미나 수업이었다. 지극히 수동적인 수업만 듣고 자란터라 세미나라는 수업 자체도 낯설었고 더더군더나 소설작법이라는 강의도 난생 처음이었다. 게다가 우리를 가르칠 교수는 우리나라의 대작가 김동리선생이었다. 여러모로 가슴 떨리는 수업이 아닐 수 없었다.

 

그러나 그당시 이미 칠순을 넘긴 김동리선생을 바라보는 우리의 설레임은 이내 실망감으로 바뀌었다. 선생은 고령으로 인해 귀가 어두워 학생들과 소통하기가 여간 어려운 게 아니었다. 큰소리로 외치다시피 해야 겨우 소통이 되니 하고 싶은 말이 있어도 쉽게 입을 열지 못했다. 선생의 말씀도 요령부득이어서 요점이 잘 파악되지 않았다.

 

선생은 우리에게 실습삼아 과제를 내주었다. 아무거나 소재를 정해 한 문장으로 묘사해보라고 했다. 솔직히 나는 지금도 이게 뭔지 모른다. (이러니 글을 못쓰지...) 뭐가 뭔지 모르는 막연한 심정으로 한 문장을 써서 제출했더니 선생 왈, "뭔지 모르겠다." 하신다. 이게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선생의 지도를 받은 내력이라면 내력이다. 학생중에는 이미 등단한 친구가 있었는데 그 친구가 쓴 한 문장을 보신 선생은 "참 잘 썼다."라고 하시는데 역시 나는 감도 못잡았다. 뭐가 잘 쓴 글인지 못 쓴 글인지를.

 

기억이 정확한 지는 약간 자신이 없지만, 이 수업은 그리 오래가지 못했다. 김동리선생의 수업을 학생들이 거부했기 때문이다. 선생의 발언이 문제가 되었다. 무슨 내용인지는 기억이 나지 않지만 '시대착오'적인 말씀을 하신 거다. 때는 1988년, 이미 민주화의 열기가 고조되어 글을 써도 5.18과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글을 쓰지 않으면 매섭게 외면 당하는 시절이었다. 대학생 모두가 운동권 학생이라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축제 때도 검은 복장으로 관을 들고 행진에 참여했다. 특히 글을 쓴다는 문창과 친구들은 매우 철저한 의식화를 요구 당했다. 그런 상황에서 반민주적고 반시대적인 발언을 하는 교수들은 학생들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다.

 

말씀을 잘 못한 죄로 두 분의 교수가 학생들의 지탄의 대상이 되었다. 그 두 분중의 한 분이 바로 김동리선생이었다. 이후로 이 두 분을 뵐 수 없었고, 나도 한 학기 수강으로 대학에서의 글쓰기 수강을 끝내고 말았다. 글은 누구에게 배워서 습득하는 게 아니고 혼자서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라는 교훈을 되새기면서. 전혀 시도해보지 않은 것보다 시도해보고 후회하는 쪽이 인생을 풍요롭게 한다고 자위하면서.

 

 

요즘 세상을 어지럽게 하는 인물, 김평우가 김동리선생 아들이라고 한다. 1945년생이니 70세가 넘었다. 아버지인 김동리선생은 나이 70대에 시대착오적인 발언으로 강단에서 물러났다. 나이 들었다고 함부로 말하면 안되십니다. 귀가 어둡다고 자기 할 만한 하면 안되십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hnine 2017-03-12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그러니까 김동리 선생이 부친, 손소희 소설가가 모친이군요.
김동리의 등신불을 읽고 그야말로 소름끼칠 만큼 충격과 감동을 받기도 했었는데 말입니다.
나이 들어도, 귀가 어두워도, 정신만은 깨어있을 수 있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책 많이 읽는다고 되는 것도 아닌 것 같고, 공부를 많이 한다고 되는것도 아닌 것 같네요 휴...

nama 2017-03-12 21:19   좋아요 0 | URL
모친이 손소희 소설가인지는 모르겠어요. 김동리 선생은 세 번 결혼했으니까요. 물론 세 번째인 서영은 소설가는 아니겠지요. 88년 당시엔 서영은과의 관계가 입에 오르내렸어요.

나이들수록 마음 공부를 해야 하는데 쉽지 않지요. 나이 먹는 게 두려워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