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세이> 파트의 주목 신간을 본 페이퍼에 먼 댓글로 달아주세요.

얼마나 기다리던 2011년의 마지막 달인가. 나이를 한 살 더 먹어도 좋고 까짓 흰머리 나부껴도 괜찮다. 세월아 어서 가거라. 마지막 달을 밀쳐내는 간절한 심정이었지만 신간 에세이 분야를 훑어보는 눈길은 "오늘도 무사히"를 외치며 하루를 고단하게 보낸 자의 텅 빈 눈동자였음을 고백하며...   

 

유니언 신학대 현경교수의 이슬람 17개국 순례기이다.(사실 나는 유니언 신학대에 대해서 아는 바가 전혀 없다. 궁금하지도 않다.) 몇년 전 한겨레 신문에 실렸던 이 순례기를 의미심장하게 읽었던 기억이 난다. 종교의 편식현상이 극도로 심한 우리나라에서 이런 작업은 대단히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친구들에게 권하고 싶은 책이다. 

 

 

어느 시립도서관에서 박재동의 손바닥 아트 전시회를 본 적이 있다. 유쾌했다. 아마도 이 책에는 그 전시회에 나왔던 그림들이 많이 실려있을 게 분명하다. 그래서 더 보고 싶다. 그림은 쉬워야 한다, 는 것을 깨닫게 해주는 책이다. 

 

 

 

 

이 책을 이 분야에 넣어도 되는지 모르겠다. 그냥 읽어보고 싶다. 읽어야 될 것 같은 책이다. 

 

 

 

 

한대수. 잘 모른다. 노래는 몇 곡 들어보았다. "한 끼"하는 인물로 알고있다. 역시 이 책도 읽어야 될 것 같은 책이다.

 

 

 

숙제로 하는 책읽기라면 매우 독하거나 매우 자극적이거나 매우 통렬한 아픔을 주는 책이라면 더 좋겠다. 아무래도 올해의 악동같은 아이들이 내게 독기를 품게했나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