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는 속도는 읽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읽는 속도는 책을 구매하는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내 안의 속도 경쟁이 치열하다. 책 한 권을 제대로 읽는 게 낫다, 라고 생각하면서도 뭔가에 쫓기듯 다수의 책을 껴앉고 있다. 책은 나날이 쌓이고 생각도 중구난방이다. 내가 뭘 읽는지 아무도 궁금해하지 않는데 그래도 내가 읽은 책은 흔적은 남기고 싶다는 이 마음. 인정욕구인가?



     















.












<향신료 전쟁>이 입문용 기본서라면 <육두구의 저주>는 심화학습용이다. 전자는 단숨에 읽히는 속도감과 감칠맛이 있고, 후자는 깊이 읽기의 포만감을 만끽할 수 있다. 번역의 어려움도 생각해보는데, 번역자는 자신의 언어를 가지고 있어야 글이 매끄럽고 명료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도 더불어 해봤다. 


<육두구의 저주>에서 자본주의 발생에 관한 부분을 읽어보면,


(170쪽) 자본주의는 결코 서구에서 유래한 게 아니다. 그것이 형성되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한 것은 유럽의 식민지 정복과 아메리카 인디언 및 아프리카인의 대대적인 노예화였다. 자본주의가 주로 자유노동에 기반을 두고 있다는 것 역시 사실이 아니었다. 그것은 심지어 서구 공장이 필요로 하는 원자재의 상당 부분을 비백인 노동자들이 강압적 근로 조건 아래 생산하던 19세기와 20세기에 조차 사실이 아니었다. 마지막으로 소수의 서구인이 다수의 여러 민족을 향해 - 그들의 신체, 그들의 노동, 그들의 신념, 그리고 (특히) 그들의 환경에 - 권력을 휘두를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서구 제국이 군사적 지정학적으로 우위를 점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런 의미에서, 네덜란드 동인도회사가 반다제도의 재편을 통해 분면하게 보여주었다시피, 자본주의는 다름 아니라 제국의 부수적 결과였다. (중략) 세계의 종말보다 더 상상하기 어려운 것은 서구의 절대적인 지정학적 우위의 종말이다.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이름은?


(40쪽)"일부 국가에서 민법에 의해 불법화되고 금지된 특정인이 존재하듯 자연의 법 및 여러 국가의 법에 의해, 또는 하나님의 계명에 의해 불법화되거나 금지된 국가들도 있게 마련이다." (   )의 주장에 따르면, 이런 방탕한 국가는 기실 국가도 아니요, 그저 자연법칙에 비추어볼 때 완전히 뒤떨어진 "불온한 사람들의 떼거리"일 따름이다 그런 연유로 "시민 정신이 투철하고 치안이 잘 갖춰진 국가가.....그들을 이 지구상에서 제거하는 것은 합법적일뿐더러 신의 뜻에도 부합하는 일이다."


이런 무서운 말을 한 인물은....철학자이자 잉글랜드 대법관을 지낸 프랜시스 베이컨(1561~1626). 뭐 이런 생각을 한 인물이 이 사람뿐이던가. 


(356쪽) 오늘날 인류의 (대다수는 아니라해도) 상당수는 과거의 식민주의자들처럼 살아가고 있다.


지난 3월 필리핀 세부 여행 중 호핑투어를 한 게 내내 기억에 남는다. 호핑 투어 사장은 40대 초반의 건장하고 잘생긴 한국 남성. 손님 두 명당 현지 고용인 한 명씩 배정하여 진행되는 투어는 현지 고용인의 헌신적인 노동으로 이뤄진다. 처음 보는 손님 앞에서 시종일관 미소를 띠며 흥겹게 춤을 추며 비위를 맞추는데 그들도 그 일이 어디 쉽겠는가. 투어가 끝날 무렵 무한정으로 제공되는 음식과 술(손님이 먹고 남은 음식)에 취한 그들의 모습에 고단함과 비루함이 잔뜩 묻어 있었다.


작년 인도네시아 미니버스에서 만났던 여성. 가족을 떠나 대만에서 간병인으로 일하고 있다던 여성. 


서울에 온 필리핀 가사도우미 여성들.


포장만 그럴듯하지 결국 식민주의의 다른 모습들.


(동남아를 빼놓고 해외여행하는 내 친구들에게 동남아 여행을 권함.)















재독하고 싶은 책이다.

















종교개혁가 칼뱅의 독선에 목숨 걸고 맞선 세바스티안 카스텔리오 이야기.

"진리를 구하고, 자기가 생각하는 대로 그것을 말하는 것은 절대로 범죄가 아니다. 아무도 어떤 신념을 갖도록 강요당해서는 안 된다. 신념은 자유다."를 온몸으로 보여준 카스텔리오.

















바로크 이야기. 카라바조 전시회가 곧 열린다는데 때마침 이 책이 나온 건 우연이겠지.<육두구의 저주>에서 서양미술사에는 서구식민주의와의 관련성을 언급한 예가 없다며 한탄한 부분이 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그 점을 염두에 두고 읽었더니 어쩐지 책이 싱거워지더라는. 이 책의 장점이자 단점은 글이 너무 쉽고 매끄러워서 가독성은 좋지만 기억에는 별로 남지 않는다는 점. 문장에 힘을 주며 읽는 글은 읽기에 고통스럽지만 뇌리에 깊은 자국을 남기는 건 확실하다. 
















뉴욕에 다시 간다면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말고 이 책에 소개된 여러 미술관을 가보고 싶다. 

클로이스터즈, 프릭 컬렉션, 더 모건 라이브러리 & 뮤지엄 등.
















잽싸게 읽고 중고로 되판 책. 여행을 싫어하는 사람은 내 취향이 아닌듯해서. ㅎ.















무릎이 아파서 네다섯 군데 병원을 들락거렸는데도 차도가 없어 책 한번 보자고 샀다. 헐... 책 먼저 읽고 병원에 갈 것을. 이 책에 나온대로 간단한 근력 운동을 했더니 입에 달고 살던 "아야야" 소리가 반쯤 줄었다. 그래서 한 권 더.















<무릎 좀 펴고...>와 비슷하니 굳이 ....

















짧지만 강렬한 인상을 남기는 책. 그래서 한 권 더.















동년배의 책을 읽는 맛이 각별하다. 예전에 엄마의 '개뿔'이란 말을 들었을 때 제스처로 머리 위에 뿔 모양을 그리며 킥킥댔던 작은오빠가 떠올랐다. 개뿔 같은 세월과 함께.

















한겨레신문 고명섭 기자의 책. 하나같이 어려운 책을 하나같이 일목요연하게 설명한 글을 읽는 감동. 근데 몇권이 기억에 남을라나.....

















책을 사지 않는다는 분이 쓴 책. 토종 같고 풀뿌리 같은 느낌의 구수함이 살아있는 책.



오르한 파묵의 2006년 노벨문학상 수상 연설문을 읽었다. '나의 아버지의 여행 가방'

내용 중 글을 쓰는 이유


As you know, the question we writers are asked most often, the favorite question, is:

why do you write?

I write because I have an innate need to write!

I write because I can't do normal work like other people.


글을 쓰는 이유는 계속 이어진다.


내가 쓴 책들과 같은 책들을 읽고 싶기 때문에,

여러분 모두에게 화가 나서 결국 모든 사람에게 화가 나기 때문에,

하루 종일 글을 쓰며 방에 앉아 있기를 좋아하기 때문에,

삶을 바꾸어야만 진정한 삶에 참여할 수 있기 때문에,

...

...

그리고 문학이 가져다주는 영광과 관심을 좋아하기 때문에,

홀로 있기 싶기 때문에 글을 씁니다.



작가 한강 덕분에 하루하루가 새롭다. 한강의 노벨상 수상을 두고 펼쳐지는 다양한 의견과 생각들을 읽는 맛도 각별하다. 한강 덕분에 세상이 변하고 있다. 그 변화를 내 생애에서 볼 수 있어서 즐겁다. 한강의 노벨상 수상 연설문을 기다린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nine 2024-10-29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웅, 저 미리 책 사두기 잘 안하는 편인데, nama님 서재 오면 그게 잘 안되요 ㅠㅠ

nama 2024-11-03 16:53   좋아요 0 | URL
저도 hnine 서재에 들어가면 늘 갈등이 생겨요. 이 책도 사야 되는가 보다...하고요.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