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부탄에 삽니다
고은경 외 지음 / 공명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탄에서 살고 있는 세 여성의 이야기 중 이연지 씨의 글.


  몇 해 전, 아빠가 부탄에 방문했을 때였다. 여름에 파리가 많아서 신문지를 돌돌 말아 파리를 잡고 있는 아빠를 보며 타시는 정말 큰 충격을 받았다. 그때는 해충을 잡는 것이 뭐가 문제인지 알 수 없어서 타시의 반응에 그저 웃었는데 "파리는 그렇게 맞아 죽을 때 얼마나 고통스럽겠어요."라는 타시의 말에 더 이상 웃을 수가 없었다. 아빠와 나는 파리를 죽이지 않고 손으로 잡아서 창문 밖으로 내보내는 법을 배웠다.                                 - 158쪽



*타시: 이 글을 쓴 이연지 씨의 부탄인 남편.


몇 년 전에 참여한 템플스테이가 떠오른다. 살생을 금하는 불교 이야기를 하는 중이었는데 누군가가, 모기나 파리 같은 해충도 생명을 존중해야 하느냐고 지도 스님에게 물었다. 유치한 질문이었지만 나도 내심 궁금하던 차였다. 스님은, " 모기와 파리는 해충인데 굳이 존중할 필요가 있겠습니까? 그냥 잡아버립니다." 여기저기서 키득거리며 웃는 소리가 들렸다. 이런 기억은 오래 가는 법. 스님, 부탄에 한번 다녀오셔야겠어요.



티벳이나 부탄 관련 책을 읽으면 이런 소소한 얘기에 마음이 훈훈해진다. 인도 라다크 지역의 곰파(사원)에서 한겨울을 지내보는 게 소망인데.... 부탄 관련 책으로 마음을 달래본다.




* 이 책에서 언급된 부탄 영화 <교실 안의 야크>를 감상했다. 툴툴거리는 초짜 선생님의 성장기(?)쯤 되는데 부탄의 깨끗한 자연환경처럼 머리가 맑아지는 느낌이 들었다. 부탄이니까 가능한 영화.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얄라알라 2022-10-23 16:0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 신간 소식에서 보자마자 찜해두었는데, 담번에는 nama님 곰파 체류기(?) 읽을 기회가 있기를, nama님의 소망이 현실화되기를 응원드립니다

nama 2022-10-23 16:11   좋아요 0 | URL
응원을 받으니 언젠가는 실현되리라고 믿고 싶어집니다. 감사합니다.^^

서니데이 2022-10-23 18:1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저희집에도 모기가 있어서 조금 전에 전기모기채로 잡았어요.
저는 부탄 가서는 못 살겠네요.^^;
nama님, 잘 지내셨나요.
이번주 날씨가 조금 따뜻해지나 싶었는데 오늘 다시 바람이 많이 부네요.
감기 조심하시고, 따뜻하고 좋은 주말 보내세요.^^

nama 2022-10-23 18:22   좋아요 1 | URL
저는 모기매트와 연고 달고 살아요.
평온한 날들 되시길 바랍니다^^

얄라알라 2022-10-24 12:19   좋아요 0 | URL
서니데이님 댓글에 빵 ㅎㅎㅎ˝모기채와 모기매트가 등장하다니 ㅋㅋnama님까지 ㅎ

자이나교인들은 수영을 못한다 (물 속에 있는 작은 생명체를 해할까봐)라고 들은 적이 있는데, 부탄에서도 비슷한 세계관 찾아볼 수 있나봐요

nama 2022-10-24 16:50   좋아요 1 | URL
이슬람, 기독교, 유대교 처럼 자이나교, 힌두교, 불교도 뿌리는 같을 거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