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신문을 읽다가...
'그렇다면 우리 학생들에게 지우는 학습노동은 무엇을 위한 것인가? 앞에 공자님 말씀을 들어 “얻는 게 없다”고 했는데, 지배세력에겐 이로운 부수적 효과가 적어도 두가지 있다. 세계 최장의 학습시간으로 세계 최장의 노동시간에 익숙하게 하는 것이 그 하나이고, 비판의식과 계급의식은 형성하지 않은 채 등급과 석차로 서열을 규정함에 따라 머리 좋거나 경제력 있는 부모를 둔 학벌 엘리트집단에 복종하도록 하는 것이 그 둘이다. 총총한 눈빛의 아이들 앞에서, 참된 교육자라면 이와 같은 교육 현실을 단호히 거부해야 할 것이다.'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875242.html#csidxc41abc06ed4831b88e71a0feeef12af
무자비한 학습노동은 성찰없는 성실성을 몸에 배게 한다. '세계 최장의 학습시간으로 세계 최장의 노동시간에 익숙'하게 되는 성실성이 어려서부터 착실하게 몸에 밴다. 성실성에서 벗어나면 세상에서 도태된 것 같은 위기의식이 생길 정도로 성실성의 늪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우리의 교육현장에선 성찰없는 성실성에 대한 비판의식이 싹트기 어렵다. 무자비한 학습노동에 매몰되어 매 학년 매 과목마다 등급과 석차로 서열을 규정 당하기 때문에 계급의식이나 비판의식이 싹틀 여지가 없다. 자신에게 매겨지는 등급과 석차에 심신이 피폐해지지 않을 수 없다. 등급과 석차에서 밀리면 자연스럽게 패배감과 더불어 복종이 자리잡는다. '머리 좋거나 경제력 있는 부모를 둔 학벌 엘리트집단에' 복종하게 되는 것이다. '나보다 나은 사람'에게 머리를 숙이게 되는 것이다. 그런 복종심을 키워주는 게 등급과 석차이다. 세상은 이런 등급과 석차를 이용해 서로를 경쟁시키고 이런 손쉬운 방법으로 사람들을 통제한다. 어려서부터 그렇게 길들여진다. 점수가 매겨지는 것에 쉽게 순응하게 된다.
이곳 알라딘에서도 해마다 등급이 매겨진다. 한 해에 읽은 책의 권수로, 글을 올리고, 댓글을 단 횟수 등으로. 그리고 일상적으로는 리뷰를 올릴 때마다 읽은 책에 대한 등급을 매긴다. 책이 훌륭하건 그렇지 않건 모든 책은 지은이의 피땀으로 만들어진 분신과도 같은 것인데 거기에 감히 점수를 매긴다. 그것도 아주 손쉽게 클릭 한두 번으로. 매우 불쾌한 일이다. 저자들은 분명 별의 갯수에 농락당하는 기분이 들 것이다.
등급과 석차에 묵묵히 견디는 이런 인내심에 한번쯤 딴지를 걸고 싶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