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존 르 카레 자서전과 전기

 

 

 

 

 

 

 

 

 

 

 

 

 

 

 

 

 

 

그는 소설을 쓰기 전에 플롯을 짜지 않는다. 인물만 설정한 다음

"인물이 나머지 일을 하도록 내버려 둔다."

 

"나는 길 위에서 글을 쓰는 것을 좋아한다. 산책 중에 또는 기차나 카페에서 노트에 쓴 다음 집으로 서둘러 돌아와 전리품을 정리한다." 그는 손으로 글을 썼다.

"나는 기계화되지 않은 수세기에 걸친 전통을 따르는편을선호한다. 내 안에 있는 한물간 그래픽 아트스트는 글자를그리는 것을 즐긴다."

 

 

그는 종종 종잇조각에 텍스트의 일부를 휘갈겨 썼다. 그러면 아내 제인이 이를 타자로 쳤다. 그는 이렇게 나온 원고를 한줄 씩 자른 뒤 다시 배열해서 새 종이에 붙였다. 그런다음 손으로 수정하고 보충했다. 그의 아내는 이것을 다시 정리해서 타자를 치고, 그는 다시 출력된 원고를 일일이 분해해 거미줄처럼 연결하고 교정했다. 이런 과정을 여러 번 반복했다. 보통 대여섯 개의 원고본이 만들어졌고 그보다 더 많이 만들 때도 있었다. 자신이 만족할 때까지 원고를 고쳤고 마음에 안드는 부분이 있으면 그것이 수십 페이지에 이른다 해도 미련 없이 빼버렸다. 그는 자료 조사를 직접 하는 것을 자랑으로 여겼다.

 

 

'비법' 이런 게 붙어 있는 책을 혐오하는데 토니 로스터의 [베스트셀러 작가들의 글쓰기 비법]이란 책은 용서하기로 했다.

이처럼 작가에대한 흥미로운 정보도 알려주기에.

언젠가 존 르 카레의 자서전과 전기를 포스팅해놨는데, 번역서가 나올런지, 정보가 없다.

'이건사야해'에 넣어두지만 번역돼 나오면 '사야해'쯤 되겠다. 잊어버릴까봐 넣어둔다.

 

여기와서 책을 사들이는 욕심이 커진탓에 소박하게 가지고 있던 책이 늘어나버렸는데 결국 읽게 되는 건 좋아하는 작가, 저자들의 책인 것 같다.

소설의 경우 다시 읽게 되는 책들도 좋아하는 작가들의 것이고. 결국 그렇게 되는 것 같다.

결코 읽지 못할 혹은 읽지 않을 책들을 쌓아놓고 손댔던 책 또 손대는, 읽었던 작가 또 읽는 식으로 돌아가는, 그게 앞으로 내가 할 수 있는 책살이일듯싶은 깨달음 혹은 체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8-07-30 13: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아주 좋아하는 작가에요!! 그의 글쓰는 스타일과 분위기를 아주 좋아하는데
인물들이 살아있어서 그랬군요!!
저도 저 책 찜해놓습니다!!

포스트잇 2018-07-30 14:13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존르카레 팬을 한분 더 만나게 되니 좋네요^^
자서전과 전기가 번역돼 나오는데 힘이 되지 않을까요?
번역하시는분들이나 출판사가 힘 좀 써야될텐데, 관심은 있겠지요?
일단 장바구니에 넣어두고 기다립니다.
 

 

이른바 고전소설들을 읽어보려 애쓰지만 나름 순서를 짜서 읽어가다가 막히는 책이 나온다.

빼놓고 갈 수 없는 책이라는 것, 굳이 보려고 하는 이유가 있다는 것, 그럼에도 막상 읽다보면 ...  생각보다 재미없고, 읽기 싫어지는 때가 있다. 진득함, 끈기가 별로 없어서 계획대로 되는 게 없다.

이디스 워튼의 [기쁨의 집]을 읽고 바로 이어서 [그 지방의 관습]을 읽으려다가 같은 작가의 비슷한 이야기를 바로 이어 읽는다는 게 어쩐지 재미없어 그녀의 스승이고 연인이기도 했다는 헨리 제임스의 [한 여인의 초상]을 읽기 시작했다.

[기쁨의 집]의 릴리 바트와 [한 여인의 초상]의 이자벨 아처의 삶을 각각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비교해 보고 싶기도 하고.

이자벨 아처는 몇 년전에 만난 적 있지만 안면 정도 튼 사이라서 그녀를 잘 알지 못하고, 그녀는 왜 '끔찍한 길버트 오스먼드'를 선택했을까, 해럴드 블룸의 질문 "그녀의 눈을 멀게 한 것은 무엇인가? 제임스는 왜 여인의 모습으로 그려진 자화상에 그런 파국을 부여한 것인가?"를 좀더 자세히 들여다볼 수 있기를 바라며 재독서에 시동을 걸었는데 생각보다 갈 길이 멀어보이고 나른하고 그렇다..

 

여튼, 해럴드 블룸의 [독서기술]을 읽다가 작가의 삶과 작품을 다룬 대목에서 "조지 페인터 George Painter의 [프루스트]처럼 소설가에 대한 훌륭한 전기는 독서에 큰 도움을 준다"라는 한 문장에 꽂혀 이 책이 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번역서는 없다. 원서로 816페이지다. .......

읽고 싶다. 프루스트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관련 서적은 될 수 있으면 모으는 편인데 원서까지는 ... 무리라서....

 

그냥 그런 생각이 든다..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는 읽고 죽어야 하지 않을까 뭐 이런. ..

욕심내면 조이스의 [율리시즈] 정도까지는..

 

 

 

 

 

 

 

 

 

 

 

 

 

 

장 이브 타디에의 [프루스트] 전기도 아직 읽지 못하고 있는데 욕심이 늘 과하다. 일단 가진 책부터 읽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미 시사회를 통해 보긴 했지만 많은 사람들이 봤으면 해서 포스팅해둔다.

MBC 해직기자인 최승호 PD의 연출 다큐 <공범자들>은 지난 9년간 공영방송 KBS와 MBC가 어떻게 정권에 장악되면서 망가져 갔는지, 그리고 그에 저항하는 이들의 분투를 담고 있다.  의외로 관객들이 많이 웃는다. 어처구니없고 실제 코미디같은 상황이 일어나기 일쑤여서 웃지 않을수 없게 된다.

물론 방송장악의 악랄함과 비열함에 분노가 솟고 그에 저항하는 이들의 끈질김과 좌절에 콧날이 시큰거리기도 하는데 ... 아,,, MBC 이용마 기자의 모습은 ... ... 반드시 쾌차했으면 좋겠다.

 

요즘, MBC 사내에서 김장겸은 물러나라고 외쳐대는 김민식 PD가 왜 그토록 절박하게 웃긴 모습으로 필사적인 싸움을 하고 있는지 그의 이야기를 알게 되니 하, 참.. .. 기가 막힌다. 김민식과 이용마의 2012년 파업투쟁에서 두 사람이 벌인 노선투쟁과 그 두사람의 이후 삶을 들여다보게 되면 방송사 사람들의 드라마같은 얘기를 만나게 된다. 그러니 더더군다나 이용마 기자는 병을 툴툴 털어버려야 한다. (이건 영화에 나오진 않는데 시사회 때 김민식 PD가 들려준 이야기이다.)

 

공영방송, 그까이꺼 없으면 어떠냐고, JTBC 가 손석희가 있고 김어준이 있고 팟캐스트가 있는데. 이건 어리석은 생각이다. 공영방송은 시민의 것이다. 공영방송은 거대 프로젝트를 할 수 있는 물적 인적 역량이 갖춰진 곳이다.

오랜 기간 큰 규모의 돈과 인력이 투입되어 만들 기획 프로그램 프로젝트들은 아무래도 공영방송이 잘 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획들이다. 2019년은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100주년이고 건국 100주년인데 이미 기획이 세워지고 준비해야 만들 수 있는 장기 프로젝트들인데 두 공영방송 사정이 여의치 않다고 한다.

수준높은 교양 다큐 프로그램들이 기획되고 만들어져 시민교양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들 의무가 있는 곳도 공영방송이다. 이 모든 기능과 역할들이 지난 세월 중단되었고 방송정상화된다 해도 당장은 만나기 어려울 수 있다는 얘기다. 우리가 그대신 봐야했던 것들은 KBS가 그동안 했던 다큐에는 '이승만' 이나 '백선엽'같은 것들이 있다.

처참한 수준으로 망가진 걸 알기에 KBS와 MBC를 보지 않은지 까마득하다. 나같은 사람 많다.

 

공범자들 얼굴을 확인해야지. 아는 얼굴도 있고 이름만 들어본 얼굴은 모르는 이들도 많다.

언론은 공기다. 지금은 공기정화가 필요한 시기고, 반드시.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이루니 2017-08-21 02: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꼭 봐야겠어요.

포스트잇 2017-08-21 02:30   좋아요 0 | URL
네, 감독은 액션영화라 불러달라는데, 아주 쓸데없는 소린 아닙니다..ㅎㅎ
 

타국에서 서울을 그리는 것도 아니고 고작 지방에서 서울을 그리워하는 거라 다소 머쓱하지만 그래도 어쨌든 교통사정이 좋아진 지금도 볼일이 있지 않으면(맞다. 제목처럼 답사의 목적이라도 없다면) 여행가듯이 갈 수 있는 건 아니다. 여름 지나면 갈일이 생기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굳이 그럴 필요가 생기지 않을 듯하다.

내가 이곳으로 이사한후 작년에 촛불집회가 열렸고 새 정부가 출범했고 청와대 앞길도 개방되고 해서, 서울의 변화도 보고 싶은데 ...사는 게 그렇다.

 

서울에 산다고 해도 다니는 곳만 다니게 된다. 게다가 게으른 나같은 경우는 쉬는 날에도 좀체 움직일 줄 몰랐고 자신이 살고 있는 곳을 '여행'하듯이 다니는건 글쎄.. 그다지 일상적이지는 않지 않나?

서울을 떠나고보니 서울이 그립다. 서울집. 다시 그곳으로 갈지 아니면 정리할지 아니면 다른곳에 정할지 아직은 모든 게 유동적이라 앞날을 알수가 없다. 적잖은 나이에도 뿌리가 내리지 않았다. 부초. ... 

 

서울 타령을 하게 된 건 유홍준의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 서울편이 나왔길래 한 소리다.

아니, 내가 있을 때 좀 나오지 그랬어. 좀더 분발해서 서울 이곳저곳 좀 돌아다녀보게. 촛불집회도 내가 있을 때 좀 하지 그랬어.

그래도 한번은 가봤던 곳들이라 마음에 영상 띄워놓고 추억에도 잠겨보고 오랫만에 유홍준 옹의 맛깔스런 글솜씨를 만끽해보기로 하자. 하긴 이곳도 제대로 다녀보지 못했다. 여의치가 않아서 여유를 갖기 힘든 날들의 연속이다. 떠나 있을 때 읽는 게 더 좋다. 그리움이 동행할 수 있으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턱대고 어렵다는 책들부터 사놓고 그렇지 않아도 가난한 '부동산'의 한 귀퉁이에서 먼지와 시간만 흡수하며 살도록 내비두고 있는 바보들(나같은)이 읽어보면 좋지 않을까. 요령을 좀 익히고 먼길 가자.

속는 셈치고 한번 읽어봐. 

 

[어려운 책을 읽는 기술 : 어떻게 하면 시대를 뛰어넘는 명저를 제대로 읽을 수 있을까] (다카다 아키노리).

 

 

독서노트를 쓰는 노하우, 관련 사상 계보의 독서 목록, 자유로운 독서법 등 ‘어려운 책’을 무탈하게 독파할 수 있는 실용적 기술을 일러 준다. 이 ‘기술’을 익히면 못 읽을 거라 섣불리 예단했던 책들의 진입장벽이 낮아진다. 지레 겁먹지 않고, 편견을 거두면 어렵다고 소문난 형이상학적 명저들을 내 욕망과 마주 이어 흥미롭게 읽을 수 있다.

 

저마다의 내밀한 독서길안내서도 읽는 재미가 있을 것 같다. 여행기처럼, 서평만이 아니라.   

 

 

 

 

 

 

 

 

 

 

 

 

 

 

이렇게 기술 한번 부려서 어려운 책들 좀 읽고 나면, 이런 책도 쓸 수 있을지 몰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