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만인을 기다리며
존 쿳시 지음, 왕은철 옮김 / 들녘 / 2003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존 쿳시 ㅡ 그는 견고하다. 더불어 위태하고 감각적인 자아로 꿈틀거린다. 이 작품은 작년 늦가을 즈음 서강대메리홀에서 연극으로 처음 만났다. 역동적인 무대와 역사성을 풍기면서도 촌스럽지 않은 에로틱함이 살아있는 흥미로운 공연이었다. 노벨문학상 작가라니!

 


 


야만인은 누구일까? 누가 누구를 야만인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인가. 아직 읽어보지는 못했지만 <자기혁명> 책이 떠올랐다. 일인칭 시점의 글이라서 그런지 모르겠다. 서사적으로 딱딱하지만은 않으면서 인간의 실존이 체제 안에서 얼마나 방황하고 흔들리는지 섬세하게 묘사된다. 흔들리는 영혼. 거울을 들여다보아도 보이지 않는, 만날 수 없는 자신. 우리는 그러한 자신을 하루에도 수없이 대면하고 있다. 야만인을 야만인이라 정의하여 부르는 야만인이된 자신을 인식하고 있는가.

진실은 겸손한 인식에서 출발한다. <테오도라 어록>

 

나는 생각한다.
`겨울이 끝날 때가 되면 배고픔이 정말로 우리를 고통스럽게 하고, 우리가 추위와 배고픔에 죽어갈 때가 되면, 혹은 야만인들이 정말로 정문에 와 있을 때가 되면, 어쩌면 나는 문학적 야망을 가진 공무원이 쓰는 말투를 버리고 진실을 얘기하기 시작할지 모른다.`265p

나는 그 여자를 잊어가고 있다. 나는 잠 속으로 빠져들며, 그녀를 전혀 생각하지 않은 채 지냈다는 걸 깨닫는다. 설상가상으로 나는 그녀가 어떻게 생겼는지조차 정확히 기억할 수 없다. 그녀의 공허한 눈에는 언제나, 엷은 안개가 퍼져있는 것 같았다. 그건 그녀의 모든 걸 압도하는 공허함이었다.147p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쓸모없는 짓의 행복 -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찾아낸 사람들
크리스 길아보 지음, 고유라 옮김 / 더퀘스트 / 2016년 6월
평점 :
절판


그냥 그런 자기계발서. 제목에 낚였... 원제는 The Happiness of Pursuit. 예술적인 인생으로 행복을 찾는 법이나 그런 사례들의 스토리텔링을 기대했는데 좀 많이 벗어나다. 취미를 넘어서는 퀘스트를 찾아 현재에서 실행하면서 즐겁게 살자는 주장이다.

본문 챕터 제목 중에서☞쓸모있는 한마디 ㅡ 고통에 익숙해져라☞ 너무 무례하고 무책임한 말 아닌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7년의 밤
정유정 지음 / 은행나무 / 2011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유정 작가 좋아하는 이유가 있었구나.... 접착제같이 딱 붙어서 빈틈을 거의 안 준다. 철저한 사전 조사와 땀흘린 노력이 재밌는 소설을 만들어내는 것. 내 취향은 아니었지만 이 책 읽으면서 하루가 훌~쩍 가버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오늘은 단원고 2-1 고 김민지 양의 생일이라고 한다. <엄마,나야>를 꺼내 읽으면서 또 찔찔 짜고... 책기둥 제목만 멀뚱 바라보며 감히 꺼내 읽을 용기를 못 내는 세월호. 책들- 아픔들. 눈물들. 분노와 함께... 내일은 함께할 책들을 마저 소환해야겠다.


나와 함께있는 책들♥
팽목항에서 불어오는 바람
금요일엔 돌아오렴
엄마, 나야
기억의 방법
세월호, 그날의 기억
거짓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정신적 폭력으로부터 나를 지키는 방법 - 화를 참지 못하는 세상에서
가타다 다마미 지음, 이소담 엮음 / 라이프맵 / 2016년 8월
평점 :
절판


정신적 폭력이란 언어나 무언의 행동으로 육체적인 폭력을 행하지 않고 상대에게 하는 폭력행위이다. 무시하는 말, 뒷담화, 뒷담화에 제 삼자를 끌어들이는 것, 약속시간을 잊거나 늦기 등등 종류가 생각보다 다양한 거에 놀랐다! 예를 들어 부인이 청소를 했는데 남편 또다시 청소를 한다든지(무시하는 행동), 경제적으로 가난한 사람에게 계속 명품이 잘 어울린다며 사라고 부추기는 행위, 악성 댓글, 부하직원 앞에서 투덜대고 부정적인 단어로 불평을 늘어놓는 상사 등등..

사람을 정신적으로 괴롭히는 사람은 불완전한 사람이라고 한다. 자기 이득을 위해서 혹은 자신이 받은 상처를 다른 사람에게 분풀이하는 건 특정인에게 해당되는 일은 아니다. 나 또한 누구에겐가 정신적 폭력을 행사할 수 있다. 아마 했을 거다. 잘 드러나지 않고 깨우치지 못하면서 심각한 심신의 피해를 입을 수 있는 정신적 폭력에서 벗어나려면? 저자는 ˝왜 그러는데?˝라고 물어보라고 말한다. 그 정도가 심하면 독립하라고...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6-09-11 16:47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사람을 괴롭히는 일의 심각한 문제점이 내가 남에게 받은 걸 또 다른 남에게 그대로 되갚는 식으로 이어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