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불가사의
김한곤 / 새날 / 1994년 7월
평점 :
절판


 어떤 사물에 대한 호기심은 그 사물의 존재에 관한 왜? 라는 의문과 어떻게? 라는 의문에서 출발을 할 것이다. 왜? 라는 단어는 만들게 된 사연이 무엇인지에 대한 궁금증이고, 어떻게? 라는 단어는 제작 기법상에 관련되는 의문일 것이다. 이 책은 바로 이런 의문과 궁금증을 갖게 하는 우리의 문화를 선정하여 나름대로의 궁금증의 해답에 접근하고자 하는 노력을 담고 있다.

 이 책은 방송 제작자인 김한곤PD의 저서인데, 저자가 방송작품의 기획의도로 삼았던 내용들에 대하여 방송이 끝난 다음에 나름대로 정리를 한 것으로 모두 6개의 주제로 구성하였는데 저자가 방송을 하면서 이런저런 이유로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기 속에서 공통적으로 잠재하고 있는것이 무엇인가를 밝히고자 노력을 하고 있다.

 계곡 전체의 곳곳에 세워져 있는 운주사의 천불천탑이 같는 신비로움과 전설을 가득 담고 있는 와불을 만들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 그리고 와불은 왜 누워있고 언제 일어날 것인가와 말대로 와불이 일어나면 정말로 운주사가 들어선 곳에 도읍이 형성될 것인가? 또, 계곡 바람이 강하게 불어도 약간의 흔들림만 있는 정도으며 높이가 20m에 달하기에 일정하지도 않는 무거운 돌을 버팀목이나 장비도 없이 돌을 쌓아 탑을 만들 수 있을까? 라는 의문속에서 도저히 한 사람의 공력으로 쌓았다고 보기에는 믿기 어려운 마이산의 돌탑들이 왜 신비로운 것인가를 말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잊혀지고 소외되어 왔던 가락국이라나라가 있었던 김해지방의 유물의 흔적을 살피면서 <삼국유사>에는 기록되어 있는 가락국의 역사가 <삼국사기>에서는 고대국가의 역사에서 지워지게 된 이유, 그리고 인도와의 교류가 성행했던 당시의 상황을 남아있는 유물을 통하여 추론하면서 지속적인 가락국에 대한 연구가 필요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천오백만이라는 글짜가 모두 똑 같음은 물론 그 많은 글자에서 단 한자도 오자(誤字)가 없으며 빠진 글자(落字)가 없이 정확한 8만여장의 목판 대장경은 아직까지도 언제, 어디에서 만들어졌는지를 정확하게 밝혀내지 못하고 있다.제작과정에 대한 일체의 기록이 남아있지 않은 가운데 각면 23행 322자를 오로지 칼로만 판각을 한 당시의 제작자들의 기술에 감탄을 한다. 요즘의 능숙한 판각수도 하루 온종일을 매달려 겨우 20자를 팔 정도인데 이천오백만자를 16년이라는 긴 세월동안 똑 같은 글자체로 판다는 것은 같은 판각 능력을 가진 수 많은 기술자들이 동원되었을텐데 과연 어떻게 하여 팔만대장경을 만들 수 있었을까에 대한 궁금증을 담고 있다.

 설굴암은 석굴로 불리는것이 그 자체의 가치를 오히려 낮추는 말이며 인공 석굴에 만든 종합 건축물로서의 위용을 담고 있는 위대한 유산으로 빛이 주는 동심원이 신비롭게 빚은 불교 예술로 조화의 극치를 찬탄하고 있다. 그리고 본존불에 나타난 14개의 원이 갖는 의미는 무엇인지에 대해 후세의 학자들이 풀어야 할 수수께끼의 해법임을 이야기 하고 있다. 마지막은 1억여년전에 공룡의 놀이터였던 한반도에서의 쥐라기 공원을 담고 있다. 중생대 전기 백악기 시대에는 공룡천국이라고 불리워질 만큼 이 땅에는 공룡들이 득실거렸던 것으로 알려지고 곳곳에서 공룡의 화석과 알, 발자국 등이 발견되고 있다. 공룡이 사라진것도 수수께끼지만 우리 나라 일부에서 발견되는 공룡의 흔적은 과거 우리 나라의 자연입지와 환경이 공룡이 살기에 적합했던 것으로 보고 이해하기 어려운 흔적들만 남기고 완전히 사라진 공룡의 멸종원인을 추정하고 있다.

 사실, 이러한 추정들은 과거를 몰랐던 현재의 인간이 벌이는 말장난에 지나버릴 수도 있다. 가장 정확한 왜?와 어떻게? 라는 답은 당시 그 환경에서 만들고 살았던 인간과 동물들만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러나 과거로 돌아갈 수 없기에 이런 즐거운 추정도 가능한것이 아닐까? 이 책은 이런 의문점에 대한 최소한의 근접을 위한 접근법이라고 볼 수 있다.

 한가지 아쉬운것은 "한국의 불가사의"라는 제목에 맞게 정말 궁금하게 여겼던 대상물에 대한 내용이 빠졌다는 것이다. 우선 가장 중요한것은 "첨성대"이다. "첨성대"는 지금가지는 천문대로 알려져 왔으나 일부 학자들이 주장하듯 제단, 또는 신단이라는 의견에 대해 객관성을 고증할 필요가 있었다. 두 번째는 우리가 쓰고 있는 글자인 "한글"에 관한 궁금증이다. 여러 문헌을 통해 "한글"은 반포되기 이전에 일부 유사한 글자가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런 중요한 사항에 대한 궁금증을 이 책에서는 언급조차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왜? 무엇 때문에 만들지 않으면 안되었는가하는 질문에 대한 답을 찾는 노력 앞에 분명 각각 다른 역사의 시간과 공간 속에서 각기 다른 동기와 목적으로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해답을 찾지 못함은 바로 저자가 바라는 절박하고 절실한 소망이라는 공통점에 대한 해답일 것이다.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