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시민강좌 제23집
이기백 엮음 / 일조각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며칠전 이기백 교수가 운명을 하였습니다. 한국사에 있어서는 친일 역사관을 가지고 임했던 이병도 박사에 맞서 제대로 된 한국사를 이룩하기 위해 노력을 해 왔고 특히 식민사관에서 벗어난 "한국사신론"을 펴낸 이기백 교수는 사재를 털어 도서출판 '일조각'과 공동으로 <한국사 시민강좌>라는 책자를 연 2회 발간하여 현재는 34집까지 발간 되었습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이 열리던 해에 이기백 교수를 책임 편집위원으로 <한국사 시민강좌>의 1집을 출간하게 되었습니다. 1집에서는 "식민주의사관 비판"을 특집으로 엮었는데, 이기백 박사의 탈 식민주의사관이 어떠한가를 이해 할 수 있는 내용이었습니다. 그 후 고조선의 제문제, 광개토대왕비, 고려의 무인정권 등등 한국사와 관련되어 잘못 알려진 분야에 대한 학자들의 연구논문을 게제하여 한국사를 바라보는 새로운 사관의 정립에 앞장을 서 왔습니다.

  23집은 "한국문화유산, 왜 자랑스러운가"라는 특집으로 엮은 책입니다. 특집이라하여 다른 기사와 병행하여 게제되는 것이 아니라 매 권마다 주제를 설정하여 특집으로 엮은 것입니다. 23집에서는 문자와 典籍, 건축물, 벽화.조각.공예, 과학기술의 4개 주제로 특집을 구성하였는데 모두 16명의 학자가 연구한 논문을 수록하였습니다. 이러한 내용의 편집 의도는 우리 스스로가 우리 문화재에 대해서 무식하다면 애초에 다른 나라의 문화와 비교한다는것 자체가 불가능한 일이고, 이는 인류의 문화에 대한 모욕이라는 사고에서였습니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한국의 문화유산'이 곧 세계의 자랑이라는 것을 알 필요가 있어 "왜? 자랑스러운가?"라는 이유를 찾고자 하였습니다.

 이 책에서는 기고자의 기고를 통하여 우리문화의 참된 값어치를 누구나가 깨달을 수 있도록 하였는데, 그 대상으로 전적류에서는 한글을 비롯하여 팔만대장경, 조선왕조실록과 대동여지도를 다루었으며, 두 번째 건축물에서는 석굴암과 창덕궁 후원, 종묘, 화성을 다루었고, 벽화.조각.공예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 백제금동대향로,미륵반가사유상,성덕대왕신종및 도자기류로 청자와 분청사기 및 백자를 다루고 있으며 과학기술 분야에 있어서는 첨성대와 금속활자, 혼천의,자격루,측우기 등의 농사와 관련된 과학적 발명품을 담고 있습니다.

 23집에 게제된 내용은 읽는 사람이 자연스럽게 우리 문화재에 대한 자랑스러움이 무엇인가를 이해하고, 애정을 갖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고 있다 할것입니다. 자랑스럽다는것은 누구나 알겠지만 막상 그에 대한 설명이나 무엇이 자랑스럽냐는 물음에는 벙어리가 되어 버리는 실정에서 이 책은 정말로 무엇 때문에 우리가 자랑스럽게 여겨야 하는지에 대해서 그 바른 답을 제시하고 있다 할것입니다.

 이 책에 수록된 자랑스러운 문화재는 단지 설명에만 그치지 않고 과학적 근거가 무엇인가를 설명하고 있으며 시대적으로 끼친 영향들을 자세히 설명하고 있는데 이 책에 수록된 20가지의 문화유산만 제대로 이해한다해도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에 상당한 접근을 보이게 될것입니다.

 이 책의 출간은 책임편집을 맡았던 '이기백'박사의 혼신의 노력과 출판사인 '일조각'의 합심된 마음에서 이어진 바른 한국사 찾기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제 고인이 되었지만 이기백 박사의 이러한 노력은 우리의 마음에 우리 문화의 자랑스러움을 가득 담는데 크게 기여하였음은 물론이고 잘못된 사관으로 우리 역사를 이해하여 왔던 국민들에게 많은 부분 바른 역사를 심어주었습니다. 이제는 후학들이 고인의 유지를 받들어 '한국사 시민강좌'가 계속 편집되기를 바라는 마음입니다. 삼가 이기백 박사의 명복을 빕니다.

                              <如       村>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