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동불 Korean Art Book 1
곽동석 지음 / 예경 / 200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도서출판 "예경"이 오늘날의 삶 속에서 새로운 눈으로 우리의 문화유산을 살펴보며 서재가 아닌 마음속에 담아두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간된 KOREAN Art Book 씨리즈로 출간된 첫 번째 도서이다. 이곳 저곳에 흩어져 있는 금동불을 한 책으로 엮었다는 의미 이외에도 문고판으로 만들어 누구나 쉽게 손에 넣고 볼 수 있도록 하였는데 오랜동안 불상을 연구해온 곽동석 저서로 이 책은 금동불에 대한 모든 것을 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불상은 초기 불교의 형태와는 다소 다른 의미로 발전을 하게 되었다. 신을 표현한다는 자체가  오히려 신에 대한 모독이 될 수 있다는 사고로 석가모니 입멸 후 오랜 동안 불상이 제작되지 않았으며, 그 경배의 대상은 부처의 뼈를 일컫는 불사리였다. 불상이 조성되는 시기는 간다라 지방으로 초기 불상의 형태는 서구인의 형태(이는 만드는 사람들의 인물을 기준으로 조성하였기 때문이다)로 조성되었으며 불상이 만들어지기 이전까지의 시기를 無佛像시기라고 우리는 구분하고 있다. 그러나 숭배의 대상물로서 상징적인 의미를 담는 불상이 만들어지고 이러한 불상은 중국을 거쳐 우리 나라에 들어 오면서 삼국에는 제각기 자국민의 형상을 본 뜬 불상으로 조성되어져 백제시대의 "서산마애삼존불"의 미소는 "백제인의 미소"라는 말을 낳기까지 하였다.

  종교적 숭배의 대상인 불상을 논함에 있어 저자는 제련과 합금, 주물과 도금으로 이루어진 금동불을 제목으로 정했지만 책의 내용은 철불을 비롯하여 목불, 소조불, 건칠불 그리고 목탱화도 함께 설명하고 있다. 종류별로 설명하기에 앞서 간략하게 우리 나라에서의 각 불상의 특징과 역사를 설명하여 이해를 돕고 있는 한편으로는 그 조성 방법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하여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고 있다.

 이 책은 각 박물관에 흩어져 있는 도록을 대신하도록 제작되었으며, 특히 중요한 불상에 관해서는 명문을 포함한 불상 부분 부분의 사진을 첨부하여 불상이 소재하고 있는 곳에 가지 않더라도 책 만으로도 자세히 살필 수 있는 배려를 하고 있다. 명문이 있는 불상은 그 명문을 본문에 표기하여 명확한 원문을 알 수 있게 해 주고 있어 개설서로서의 역할은 물론이고 일반인들도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안내서를 겸하고 있다. 특히 구성상 한면은 설명을, 그리고 한면은 도판을 담고 있어 도판을 이해하기 쉽도록 제작되었다.

 책의 뒷쪽에는 부록으로 32상 80종호라는 부처의 얼굴 표현과 수인, 대좌, 옷차림, 중국 불상의 양식 변천을 실어 앞 쪽에 실린 도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러한 구성은 출판사 "예경"이 지향하는 "아름다움은 그것을 알아보고 아끼고 간직하는 이들의 것"이기에 우리 조상의 슬기를 이야기 하며, 문화의 새로운 세기를 여는 뜨거운 애정과 정성으로 엮었음을 느낄 수 있는 세심한 배려로 인문학이라는 어려움으로 별로 찾는 사람이 많지 않음을 알면서도 이러한 도서의 출판에 매진하는 출판사에게 뜨거운 격려를 보내고 싶다. 

                                <如        村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