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무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이세욱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3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사실 나는 소설을 비교적 피하는 편이다. 어려서부터 세계명작이니 한국 단편선등을 읽어온지라 아마 이제는 조금은 그 허구에 지치고 지겨워 하는 이유에선지도 모르겠다. <개미>라는 소설이 서점가에서 불티나게 팔릴 때 나는 이 대머리 작가를 처음 알 수 있었다. 베르베르의 작품을 접한것은 단지 두 번뿐으로 바로 이 책이 두번째 접하는 책이다.
이 책에 실린 18편의 이야기는 '~~하면 어떻게 될까?'...'~가 요렇게 요렇게 벌어진다면 나는 어떻게 해야하지?'등 가끔은 허망한 생각처럼 드는 일어날지도 모를 일들을 다각도로 추정하는 인간의 헛된 준비심을 이야기로 꾸민것이다. 사실, '만약 우리 나라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어떻게 하지? 식구들은 부산역앞 지하도 우측 입구에서 매일 저녁 7시에 만나기로 할까?' 등등의 예측할 수 없는 앞날에 대한 대비책을 가끔 우스개 소리처럼 한적도 있었으니 이 책에서 주제로 삼은 이야기들은 전혀 생소한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베르베르는 다르다. 그가 <개미>에서 보여주었던 전개과정을 생각하며 그의 대단한 관찰력과 통찰력에 탄복을 했었는데, 이 책에서는 그의 왕성하고 다양한 가상현실에 놀라게 되었다. 그러면서도 그는 교묘하게도 가상현실속에 바로 나 자신이 주인공으로 착각하도록 끌어들이고 있다. 여의도 국회의사당 뒷편에 별똥별이 떨어진다면? 냉혈한인것 같았던 애인이 인공심장을 한 사이보그라면?... 이 책에서는 그런 가정을 전재로 하지 않음에도 소설이 현실인것으로 착각되게끔 만들어 준다. 수 억까지(만약 돈이라면 좋겠지만) 셀 수 없는 인간들로만 이루어진 세상이라면 누가 욕심을 부리겠는가? 라는 생각은 그의 '수의 신비'를 읽으며 느낀 생각이다.
베르베르의 소설은 종말을 예견하기 힘들다. 머릿속에 생각하는대로 종결이 나지 않기 때문이다. 기발하게 나무에 검류계를 설치하여 나무로부터 답을 얻고자 하지만, 그것은 단지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소품에 지날뿐이다. 거기에는 답이 없다. 그만큼 그의 소설은 전개과정에 굴곡이 심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가 단 두편의 소설을 읽고 그를 사랑하는것은 그의 소설에는 다분히 과학적 소견을 담고 있으며, 한편으로는 기발한 착상과 공상이라도 결코 인간을 배제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소설에서는 인간이 행하는 잡다하고 별 볼일 없는 행위까지 상세히 설명되고 있어 그의 소설에서 인간이 늘 함께하고 있음을 인식시키고 있다. 한가지 덧붙이고 싶은것은 뫼비우스의 삽화이다. 삽화 하나하나가 소설을 읽어가면서 생각을 깊게 만들어 주고 있다. 특히 '말없는 나무'에 삽입된 총을 겨누고 있는 세 여자를 그린 삽화는 다변화된 인간의 제각기 다른 사고를 생각하게 해 주는 충분한 묘사로 소설을 이해하는데 충분한 보조를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