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 만든 일본국보
홍윤기 지음 / 문학세계사 / 1995년 10월
평점 :
절판


일본에 있는 대부분의 불교 미술품이 한국에서 건너갔다거나 또는 삼국시대에 일본으로 건너갔던 고구려, 백제, 신라인들에 의해 제작되었음은 너무나 잘 알고 있다. 이 책도 일본에 있는 우리 문화재중 국보를 중심으로 다뤘다. 그러나, 이 책이 이런 종류의 다른 책과 구분되는것은 그들의 보물을 우리 것이라고 주장하는 우리의 자료가 아니라, 일본인들이 한국것이라고 주장한 문헌자료를 근거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미륵보살반가사유상''백제관음''동대사 대불''다카마스 벽화'등 우리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은 수없이 많다. 저자는 일본의 일부 양심적 역사학자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으나 일본의 역사교과서에도 화보로 장식되고 있는 한국인이 만든 국보들이 단순하게 일본의 국보로만 표기되고 있고, 실제 제작자나 유입경로에 대한 언급이 없으며, 이러한 연유로 인하여 세월이 흘러가면 그나마 우리 것이라는 기본적인 자료마저 일본인들의 기억속에서 지워질것을 우려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 인용된 문헌적 사료를 근거로 충분히 이해를 돕고 있음은 물론이다. 일본의 국보로 지정된 한국적인 것에 대한 일본내의 문헌을 이렇게 많이 찾을 수 있었다는 것은 저자의 부단한 노력이 있었음을 알 수 있으며, 저자는 자신이 이 일을 수행하며 행여 빠뜨린것이 있을지 모르기에 한국인에 의하여 제작되었다고 여겨진다면 연락해 줄것을 바라고 있다. 한편으로 저자는 정창원 두개의 건물에 보관되어 있는 많은 유물중 우리의 것이 상당수 있음을 확신하고 있다. 물론, 일본 왕실의 소유품이라 공개되지 않으며 일년에 두 차례 공개되는 시기에 우리 것을 찾기에 노력하고 있다.

이 책을 읽으며 가슴속에 커다란 안타까움이 일렁인다. 한일국교 정상화 이후부터 우리 문화재에 대한 반환요구가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고, 또 실제로 일부의 문화재는 반환되기도 하였으나 그 정도는 전체에 비하여 보잘것 없다. 한일합방이후 벌써 한 세기가 다가오는데 아직도 우리는 일본내의 뛰어난 우리 문화재가 이러이러한 것이 있다고 외친다. 우리 국민을 대상으로 아무리 외쳐본들 무슨 뚜렷한 방법이 있을까? 이러한 문제는 일본에 있는 우리 영사관이나 문화원에서 중점적으로 다뤄야 할 문제가 아닌가 생각된다. 같은 문화를 공유하면서도 부정만을 되풀이 하는 일본...그들의 막힌 의식을 열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