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저울
현능 / 문학동네 / 1995년 5월
평점 :
품절


부처는 누구인가? 불교는 무엇인가? 이러한 물음은 불교인만의 물음이 아니다. 일반인도 종교적 교조로서의 부처란 누구인가? 에 대한 물음과 불교란 무엇인가? 라는 물음속에 살고 있다 할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대해 부처님의 설법과 더불어 현세의 외래문화에 찌든 실태를 고발하고 있다. 이 책은 모두 5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장 중요한 경전인 대방광불화엄경과 아함경, 법구경에 대한 보살행을 논하고 있으며, 4장에서는 우리 생활속에서의 불자의 마음가짐을 수상문 형식으로 써 내려가고 있다.

이 책의 내용들은 '화엄세계'라는 불자 대상의 월간지에 연재되었던 것들을 다시 정리한 것이다. 이는 부처님의 말씀을 쫒는 보살행이 무엇인가에 대해 법회를 대신한 강론을 담고 있다. 따라서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자못 신경을 써야하는 책이다. 불자로서의 지켜나가야할 교리적 관습과 보살행은 일반인들이 이해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할것이다.

그러나, 이 책에서는 진리를 탐구하건, 자비를 행하건 실천을 강조하고 있다. 알고 있다고 이룩되는 것이 아니라 바로 실천을 해야만 자비를 베풀수 있다는 자비행을 강조하며, 불교에서 이야기 하는 보살이 되기위한 자성을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고통받는 중생들을 구제하기 위한 부처의 설법과 행동에 대한 이야기를 통하여 보살행과 자비행이 무엇인지를 친절하게 안내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단지 산 지식만을 요구하지 않는다. 실천이란 불교에서의 '행(行)'을 말하는 것으로 마음만으로는 되지 않음을 역설하고 있다. 저자인 현능스님은 불경속에 안주하지 않았다. 법란이라 일컬어지는 불교 탄압에 대해서도 따갑게 일침을 놓고 있다.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불교에 대해 바른말로 교화하고 바르게 법을 전하는 방법을 설하며 정권의 불교 탄압에 간접적인 불만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한편으로는 종교인이라면 기정사실처럼 굳어 있는 타 종교에 대한 비판도 서슴없이 하고 있다.

종교란 인간의 나약함에서 비롯된 신에게의 의지 심리에서 비롯된다고 생각하는데, 이 책의 결론은 그나마 신의 도움을 받으려면 입으로만 맴맴하지 말고 직접 행하라고 강력히 주장하고 있다. 서두에 언급했듯이 '화엄세계'라는 불자 대상의 월간지에 연재했던 것이기에 지독히 편협적인 종교적 사상을 담고 있다고도 하겠으나, 이 글을 읽는 타 종교인도 불교가 과연 어떤것이고 부처가 누구인가에 대하여 어렴풋이 알수 있으며, 따라서 조금이라도 불교가 추구하고 있는것이 무엇인지를 알 수 있게 될것이다.

p/s 이 책이 주는 위험요소도 있다. 이 책의 내용은 불자를 대상으로 했던 월간지에 연재되었던 것이기에 내부적으로는 문제의 소지가 없다고 할 수 있으나 비 불교인이 접한다면 다소 문제를 제기할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턱대고 종교적 비판을 가하기 보다는 최소한 저자 현능이 타 종교에 대한 비판에 그만한 설득력을 내세웠으니, 충분한 설득력으로 비판한다면 종교적 싸움이 아닌 신앙에 대한 우월성 토론으로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