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아가씨가 부모님을 만났을 때는 둘 다 눈도 멀고 감정도 멀었을 거야.
우리가 전에 지니고 살았던 감정.
과거에 우리가 사는 모습을 규정하던 감정이 없으면 감정도 다른 것이 되어버려.
어떻게 그렇게 될지는 모르고 다른 무엇이 될지도 모르겠지만.
아가씨는 우리가 눈이 멀었기 떄문에 죽은 것이라고 말했는데, 바로 그게 그 얘기야.
만에 하나 내가 눈이 먼다면, 내가 눈이 먼 다음에 다른 사람이 된다면,
내가 어떻게그이를 계속 사랑할 수 있을까.
무슨 감정으로 사랑을 할까.
-주제 사라마구 <눈먼 자들의 도시>
이 책을 읽으면서 내내 나는 폐쇄공포를 느꼈다.
책 내용이 문제가 아니라, 띄어쓰기가 거의 있지 않고
게다가 대화체든 서술체든 뭐든 간에, 마침표밖에 존재하지 않으며,
한명도 이름이 나오지 않고,
한페이지마다 공간이 거의 없는 공간감에 완전히 질려버려서 갑갑한 느낌이 들었는데,
그래서 이 소설이 더더욱 긴장감 있었던 것이 아닐까 싶다.
주제 사라마구는 노벨문학상을 받은 작가라던데, 워낙 상에대한 개념이 별로 없어서인지,
상받은 작가라고 딱히 좋았던 적은 별로 없었던 것 같은데,
이 책을 읽으면서 괜히 상탄게 아니구나...하는 생각이 들었다.
누군가 내게 이 책을 평가해보라고 한다면, 나는 감히 명작이라고 말하고싶다.
읽기 힘든 많은 조건에도 불구하고, 매우 잘 읽히며, 쉽고도 깊이있게 결론을 이끌어내는 이 작가에게
나는 완전히 반해버렸다.
불의의 사고가 있었거나, 선천적인 장애가 있지 않는 한,
인간은 누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오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오감중에서 우리가 가장 의지하고 있는 것은 시각.
보는 것에 따라서 생각하는 것도 달라지고, 느끼는 것도 달라지고, 냄새와 들리는 것도 달라진다.
인간의 가장 중요한 감각중 하나인 시각이 사라진 세상.
그것도 나 혼자 눈이 멀어버린게 아니라, 전 사회가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한 남자가 집으로 돌아가는 퇴근길에 횡단보도에 차를 세워놓고 신호를 기다리고 있다.
그리고 갑자기 눈이 멀어버린다.
이것은 급작스러운 전염병으로, 이 남자를 시작으로,
하룻밤 사이에 일곱명이 이 남자로인해 눈이 멀어버리며,
하루 만에 오십명이 눈이 멀어버린다.
일명 백색병(눈앞에 깜깜해지는 것이 아니라 하얘지므로-)이라고 불뤼우는
처음 발견된 맹인바이러스에 걸린 사람들을 일단 격리하느라 폐쇄된 정신병원에 수용시키는데,
처음 수용된 일곱사람이 이 소설의 주된 주인공이라고 할수 있겠다.
두번째로 눈이 먼 안과의사와 아직 눈이 멀지 않았지만, 남편을 따라 병원에 수용된 의사의 아내.
사흘만에 병원은 눈먼 사람들로 꽉 차버리고,
거의 삼백명에 가까운 사람들중에 앞을 볼수 있는 사람은 의사의 아내뿐이다.
이 작은 소집단은 불합리한 사회의 모습을 전형적으로 드러낸다.
소심한 집단 이기주의와 남의 위에 군림하며 남의 것을 약탈하는 범죄집단,
자기 안위만 살피며 곤경에 빠진 대다수의 사람의 처지를 생각하지 않는 군인으로 대변되는 권력자들.
모두가 앞이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유일하게 앞을 볼수 있는 의사의 아내만이
이런 생지옥을 하나하나 머릿속에 기억해놓는다.
청소를 할수 없고, 제대로 씻을수도 없으니
병원안은 온통 사람의 구역질나는 냄새와 사람의 오물로 가득차가고,
처음 그들이 가졌던 인간다운 자부심이나 수치심은 사라지고, 오직 원초적인 본능만 남은 사람들을 바라보면서
유일하게 눈을 뜰수 있는 여자는 가슴 아파한다.
여러 우여곡절끝에 병원에서 탈출을 한 사람들은
모두 눈이 멀어버린 세상에 도달한다.
거리 가득한 쓰레기와 시체, 시체를 파먹는 개, 고양이와 거대하게 자라난 쥐들,
먹을 것을 찾을수 없는 아수라장이 된 도시와, 이제 더이상 인간으로 불뤼울수 없는 눈먼 동물들.
이 끔찍한 자연재해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했던 것은 그래도 "인간애"이다.
이 생지옥속에서도 인간이 인간다울수 있는 것은 인간다운 수치심과 인간애인 것이다.
눈먼자들을 위해서 희생과 봉사를 아끼지 않는 의사의 아내는,
비록 본능만 남아버린 인간이 역겹고 치욕스러울 지라도,
그들을 불쌍히 여기며 지치지 않을때까지 그들을 돌봐주는 따뜻한 인간애를 보여준다.
마치 예수처럼, 인간의 죄를 뒤집어쓰고 희생량이 되는 예수처럼.
내게는 이 소설이 마치 현실처럼 다가오는 무서운 얘기였고, 그러면서도 슬펐고,
그러면서도 신나고 즐거웠으며, 울고싶을 정도로 절망적이었고
소설을 마치면서 가슴속을 꽉 채우는 감동을 받았다.
우리는 살면서 좀더 나은 것, 좀더 나은 생활을 바라고 살아가지만,
정작 중요한 우리가 인간이며 인간다운 수치심을 가지고 살아가며,
또 현재 우리가 가진 것 만으로도 많은 것을 가지고 있다는 것에 감사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생각해본적이 있는가. 모두 눈이 멀어버린 사회.
돈도 필요없고, 집도, 여가도, 예술도, 과학도, 심지어는 감정도 필요없다.
단지 필요한 것은 하루하루 먹고살 식량과 하룻밤 찬 이슬을 맞고 자지 않아도 될 지붕달린 피신처밖에 없다.
이것은 인간의 삶이 아니라 동물의 삶이다.
이 극단적인 상황을 그리면서 주제사라마구는 외치고 있는 것이다.
"현재에 감사하라."라고.
만화 "드레곤 헤드"와 영화 "28일 후"와 비슷한 재해로 인한 인간의 종말을 얘기하고 있으나,
눈먼자들의 도시는 더 따뜻하고 심도깊었었다.
개인적으로 깨달음도 많이 얻은 책이었고, 재밌었기 때문에 더더욱 마음에 들었다.
주제 사라마구의 세상과 인간을 바라보는 따뜻한 시선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이 사람의 다른 책들도 반드시 봐야겠다고 결심했다.
책을 다 보고 난 다음에 그런 생각이 들었다.
책 읽기를 아주 혐오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과연 누가 이 책을 재미없다고 할수 있을까?
아줌마가 바라보는 역겨운 사회를 향한 따뜻한 시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