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 인터넷 포탈에 걸린 C일보를 살펴보니 '조폭떡볶이'라는 기사가 눈에 띄었다. 제목만으론 조폭들이 먹고 살기 힘들어 길거리에서 떡볶이 좌판을 펼치고 지나가는 행인들의 입에 강압적으로 떡볶이를 쑤셔 넣고 돈을 갈취하는 기사인가 했었다.
들어가 살펴보니 홍대 앞에서 오랜 세월 떡볶이 노점을 했던 어느 사장님의 이야기를 싣고 있었다. 조폭떡볶이라고 불리게 된 유래도 술에 취한 손님이 순서를 안기다리고 자기 먼저 달라는 시비에 주먹다짐까지 하며 경찰서까지 가는 불상사가 생긴 사건 때문에 사장님의 전직이 조폭이 아닌가 하는 손님들의 의구심으로 만들어진 일종의 닉네임 같은 이미지로 표현되고 있었다.
그런데 기사를 계속 읽어보니 이런 내용이 쓰여 있었다. 분위기 탓인지 손님은 고분고분해지고 무뚝뚝하고 불친절해도 불만이 없다고 한다. 노점으로 돈을 모으셨는지 이제 번듯한 점포까지 내셨다고 한다. 더불어 가게 분위기도 '조폭스럽게' 운영을 한다고 한다.
종업원들이 손님보다 높은 위치에 앉아서, 손님들을 내려다보며 음식을 내준다. 어묵 국물도 직접 떠먹고, 식기반납도 해야 한다. 그는 “위에서 내려다보며 제압하면 손님들이 끌려오게 돼있다”고 했다.
이런 내용 뒤에 맛을 강조하는 부분을 첨부한다. 활자로만 보면 둘이 먹다 하나 죽어도 모를 떡볶이인가 보다. 더불어 가게를 내면서 겪었던 에피소드와 지금 직원들과 의리를 바탕으로 지금의 떡볶이 맛을 지켜나가는 것이 목표라고 강조하며 기사를 끝맺는다.
아마 이런 콘셉의 가게들은 그 유명세 때문인지 여기저기 소문들이 자자하다. 들어오는 손님에게 냅다 욕부터 날리는 걸로 유명한 어느 포장마차 할머니는 그 유명세 때문인지 대통령 선거 유세 홍보영상에도 등장하셨다. 경기도 인근의 어느 초계탕 집은 불친절로 유명하다고 한다. 과장 되었을 진 모르겠지만. 초계탕 먹으며 수다 떨다 쫓겨났다는 소문도 들린다. 양재동 어느 개고기집 사장님은 고질적인 무릎 관절염인데도 불구하고 직접 고기를 썰어주신다. 전골을 시켰을 때 궁금증에 냄비뚜껑 열고 고기를 살펴보다 걸리면 그냥 내쫓긴다. 이런 코드를 가지고 있는 가게들이 부속적으로 따라오는 필수적 요소는 ‘맛’이 언급된다. 대충 공식을 따지면 이러하다.
-불친절 < +맛X3 으로 맛만 있다면 불친절쯤은 그리 대수롭지 않다는 공식이 성립된다. 절대적인 맛만 있다면 손님대접 못 받고 핍박받고 욕을 먹어도 대수롭지 않다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하긴 반대로 생각하면 어쩌다 가는 패밀리 레스토랑 종업원의 과도한 친절과 미소에도 살짝 거부감이 들 때가 있다. 물론 이런 거부감은 계산할 때 따라붙는 봉사료 10%를 확인하며 쓴웃음을 지었던 기억에서 비롯되는 건지도 모르겠지만.
밥을 팔아 이윤을 남기는 업종인 대중음식점은 아시다시피 서비스업으로 분류가 된다. 1차 산업의 재료를 가지고 2차 산업으로 분류 가능한 조리라는 제조를 거쳐 3차 서비스로 마무리되는 직종으로 분류가 된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 모든 과정은 소비자의 주머니에서 나오는 건 당연하고 뻔한 상식이기도 하다.
내가 내 돈을 내고 음식을 사서 먹는데 정작 내 돈을 받는 업주의 마인드가 손님을 제압하고 위에서 내려다보는 것이라면 나는 그 집 떡볶이가 제아무리 맛있다고 해도 가고 싶지 않다. 세상에 맛있고 친절까지는 아니더라도 기본적으로 손님 대접을 해주는 맛 있는 떡볶이 집은 널리고 널렸으니까. 파스타라는 드라마에서 쉐프를 연기하는 이선균이 주방에서 그렇게 버럭버럭 스텝들에게 고함을 지르다가도 손님이 있는 홀에 나와서 조용조용, 사뿐사뿐한 이유가 달리 있는 건 아니다.
뱀꼬리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나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