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의 수준을 알려주는 건축물에는 무엇이 있을까?
쳐다보다 목뼈가 회까딱 뒤로 젖혀질 정도로 하늘을 찌르는 고층건물? 어마어마한 고금액에 거래되는 고급 아파트? 아님 명품이 가득한 초호화 백화점일까? 보존과 유지도 제대로 못하면서 입으로만 떠드는 문화재일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박물관, 도서관, 미술관을 꼽고 싶다. 먹고 살기도 힘든 세상에 웬 배부른 소리! 하실 지도 모르겠지만 인간이 인간답게 기본적인 소양을 쌓을 수 있는 공간이고 더더욱 요즘같이 돈에 환장한 세상이라면 그 필요성이 애절해지는 건축물일지도 모른다.
우리나라 실정을 따지면 내 주관적인 잣대의 기준으로는 개발도상국도 안 되는 수준이다. 그래도 그나마 많이 나아지긴 했지만 아직까지 박물관, 도서관, 미술관 등은 소위 몇몇 사람들이 선별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으로 인식되며, 이용방법 또한 주용도에 맞게 이용되지 않는 실정이다. 내가 학생때 국립 도서관이라는 곳은 참고서 들고 입시 공부하러 들어가는 공간으로 주로 애용되었을 뿐이니까. 그건 대학에 들어가서도 별반 다를 바가 없다. 아침부터 치열한 자리싸움의 결과물로 얻은 열람실 좌석은 다들 전공책과 토익책을 뒤적이며 학점을 위해 혹은 취업을 위해 사용되는 공간으로 아직까지 애용되고 유지되고 있다.
서초동에 위치한 '국립'중앙도서관
몇 년 전부터 서초동의 국립도서관은 이런 열람실 이용을 금지하고 있다고 하니 다행이라고 해야 할까. 하지만 국립 도서관은 들어가는 입장부터 인상이 찡그려지는 공간이기도 하다. 위압적인 대칭형 칙칙한 회색건물의 전면 광장에 자리 잡고 있는 머릿돌을 쓴 사람의 존재부터 맘에 안들고(없어졌을지도 모르겠다.) 애당초 도서관 용도로 건물이 지어진 것이 아니라는 꽤나 믿을만한 풍문은 그 건물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부채질 한다. 원래 목적은 특정 정당(민정당)의 당사 용도의 건물 이였다고 한다. 풍문이다 풍문...
온갖 이유와 구실을 달면 한 나라의 간판이라고 볼 수 있는 "국립" 글자가 박힌 도서관은 이런 저런 이유로 성에 안차고 부정적이며 불만만 잔뜩 나오는 건물이라고 손가락질이 먼저 되곤 한다. 그게 꼭 거기서 같이 공부했던 옛날 애인에게 처절하게 차였기 때문은 절대 아니다.
그럼 비교를 위해서라도 어디 딴 나라 국립 간판이 붙은 도서관을 살펴보자. 그래도 책이라는 것이 모여 있는 공간이다 보니 책과 가장 근접한 모습을 갖춘 프랑스 도서관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1.jpg)
프랑스 국립도서관(the 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 1995)
중앙광장은 콩코드 광장의 크기이며 장서능력은 천2백만권, 열람실 좌석은 오천석, 하루수용인원 이만명.
미테랑 대통령 재임당시 미래형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프랑스 파리에는 10대 프로젝트, 이름하여 그랑 프로젝트가 추진되었는데 그 중에 하나가 국립 도서관이다. (아시다시피 파리의 유명 현대 건축물들이 이때 대거 출몰한다. 라데팡스, 루브르 박물관의 유리 피라미드..등등.) 국민의 여론반대에도 자기의 예술적 주장을 관철하며 파리를 21세기 알렉산드리아로 만들겠다는 미테랑 대통령의 추진력은 결국 유럽 최고로 인정받는 도서관이 탄생하게 되었던 것이다. 누구와는 정말 비교되는 대목이다. 똑같은 추진력이 있어도 누군 삽질이나 해대고 있으니 말이다.
당시 40대 약관의 도미니크 페로 라는 듣보잡 건축가(이 분 우리나라에도 작품 하나 남기신다. E여대 프로젝트가 이 양반 작품이다.)를 일약 스타 건축가로 만들어 주기도 했던 이 도서관은 생김새부터 정감 있다. 높다랗게 세워진 4개의 건물 군을 자세히 살펴보면 이 건물의 용도가 어떤 용도인지 대략적으로 유추가 가능하다. 4권의 책을 90도로 꺾어 4각을 만든 형태. 책을 모티브로 4개의 각을 만들고 그 갇혀진 공간은 광장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건물 사이의 공간을 통해 자연스럽게 유입이 가능한 개방성까지 겸비하고 있다. 중앙광장엔 자연녹지를 만들고 그 테두리에 3개 층의 열람실을 만들어 열람실 이용자들에게 책 냄새 풀풀 나는 도서관 열람실을 쾌적하게 만들어준다. 높이 오른 건물 군들 역시 콘크리트 보단 스틸과 유리를 통해 빛의 유입을 최대로 끌어들이는 대신 그 일조량을 강제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설비적인 측면까지 겸비하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4.jpg)
4개의 건물 군에 갇힌 공간은 도서관의 특징상 폐쇄성과 밀폐성을 강조하면서 광장으로 조성되면서 개방감을 함께 가지고 있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5.jpg)
건물 외벽에 보이는 저 노오란 장막이 일조량을 조절하는 역활을 한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7.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8.jpg)
중앙 광장에 조성된 대단위 녹지는 도시 속의 쾌적함과 더불어 안락함까지 선사해준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79.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80.jpg)
![](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pimg_793201143423482.jpg)
엄청난 규모와 굵직굵직한 덩어리를 형성하는 거대 건축물이면서 실사용자들에게 전혀 위압적이거나 권위적으로 다가가지 않는다.
그냥 부럽다. 이런 건물이 그 나라의 수도에 자리 잡고 국민들에게 질적으로나 양적으로 하나의 문화를 제공해준다는 자체가. 외국 나가 태극마크 달고 스포츠로 국위 선양하는 것보다 이런 건축물들이 국가대표로 자리매김한다면 난 그게 더 자랑스러울 것 같다. 그에 앞서 이런 건물들을 아끼며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국민성향 역시 필수요소 중에 하나로 자리매김했으면 하는 바램이다.
사진출처 : http://www.perraultarchitecte.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