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살고 있는 집 이전의 집.그러니까 신축을 하기 전의 2층 단독주택이였을 때 2층에 기거하고 있었던 마님과 나는 어느날 우뢰같은 빗소리에 놀라 밖을 살펴본 적이 있었다. 장대처럼 비는 쏟아부었고 유리창을 꽤나 세차게 때려주고 있었다.

오래된 집이지만 물이 샐 염려까지는 아니더라도 밖으로 직접 통하는 다용도실의 문쪽에 난 배수구로 여차하면 배란다의 물이 넘쳐오곤 하기 때문에 물단속을 하겠다는 심산으로 다용도실로 향하게 되었을 때. 다용도실 문입구를 버티고 있는 비에 쫄딱 젖은 왠 새끼길냥이를 목격하게 되었다.

잔뜩 긴장한 모습으로 나를 경계하던 녀석은 꼴에 이빨까지 까 뒤집으면서 캬~캬~를 연발하며 앞발을 휘휘 휘두루기까지 했었다. 마님을 불렀더니 마님은 대번에 귀엽다를 연발했다. 길다란 대걸래에 양말을 둘둘 말아 톡톡 쳐줬더니 아까의 그 호기는 어디로 갔는지 구석에 쪼그리고 눈치를 보더라. 측은한 마음에 자그마한 접시에 우유도 놔주고 참치캔 작은 것도 대령해 줬더니 눈앞에선 쳐다보지도 않던 녀석이 잠깐이라도 한눈을 팔면 그릇을 싹싹 비워재끼는 식탐을 은연중에 과시했었다.

비가 그치고 나니 엄마찾아 밖으로 나갔고 아주 가끔씩 그 녀석을 마주쳤지만 여간해선 친해지긴 힘든 존재였었다. 그 후 몇 주가 지난 후 예정대로 철거에 들어갔고 그 이후론 그 녀석을 만나는 일은 없었다.

집안으로 들어온 길냥이 새끼가 그러하듯이 우리나라 대부분의 길냥이들의 습성은 사람을 경계하고 어찌하면 사람눈을 피해 살아갈까 짱구를 굴리는 존재의 대명사라 보여진다.

인간사회에 곁들여 사는 동물치고는 가까워질래야 가까워지기는 힘든 존재라는 느낌이 든다. 그건 아마도 워낙 길냥이들을 매정하게 타박하고 천시하는 우리나라의 표독스런 "길냥문화"가 원인제공을 했으리라 보여진다.

재미있는 사실은 세계의 길냥문화를 체험하고 오신 마님의 증언에 따르면 터키나 이스라엘의 길냥이들은 우리나라의 길냥이들과는 사뭇 다른 모습을 보인다고 한다. 벽 한쪽에 하이드님을 집사로 부리는 말로의 식빵자세로 볕을 즐기며 거리낌없이 낮잠을 주무시고, 지나가는 사람이 호감을 가지고 손으로 부르는 사인을 하면 그 사람 품에 폴짝 안기기까지 한다고 한다. 그러니까 우리나라의 길냥이들의 품성과는 전혀 상반되는 모습을 보인다는 것.

터키에서 마주친 길냥이는 마님의 품에 안겨도 전혀 발톱을 내세우거나 거부를 하지 않았으며 이스라엘의 길냥이 역시 별반 다를바 없는 모습을 보였다고 한다. 거기다가 곱고 이쁘기까지 하여 마님의 표현대로라면 "데려오고 싶더라"라는 갈등까지 겪었다고 한다.

하긴 신혼여행으로 갔던 몰디브 리조트 안에 서식하는 고양이들 역시 마님 무릎 위에 폴싹 뛰어올라 눈 가늘게 뜨고 낮잠을 즐기실려고 폼을 잡기까지 했으니까.

생각해 보니 이건 아무리봐도 길냥이가 문제가 아니라 길냥이들의 터전인 인간사회의 습성의 차이점이라는 결론이 나와 버린다. 다시말해 우리나라 인간사회가 터키나 이스라엘보다 각박하다는 사실일지도 모른다.

"길냥스럽다."라는 사전에도 없는 표현이 까칠하고 어두운 이면의 모습이 아닌 이왕이면 밝고 사랑스런 표현이 되었으면 좋겠다마는 발정기때 밤하늘을 찢어놓는 괴기스런 울음소리만은 사양이다.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급증하는 것도 걱정해야 할 상황이고 말이다.

이 녀석이 이스라엘 고양이.. 사진 찍으려고 해도 도망가지도 않고 손으로 부르니까 폴짝 뛰어내려 냅다 달려왔단다.

아 녀석은 터키출신 고양이 늘어지게 낮잠 주무시는 중.


댓글(26) 먼댓글(1) 좋아요(2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1. 고양이 뿐이겠습니까^^
    from 테츠의 서재 2007-10-04 15:29 
    스페인 알함브라에서 만난 고양이 가까이 다가가면 꼬리로만 "저리가라"는 듯이 흔들어 된다^^   시칠리아 팔레르모의 개무리(?) ㅋㅋ 시에스타(낮잠시간)는 인간만이 누리는게 아니다 저거 보고 얼마나 웃었는지 ㅎㅎ   유럽사람들은 요트에 환장하는데 저걸 보니 좀 부럽긴하더라는^^:
 
 
마노아 2007-10-04 12: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페이퍼 느낌이 참 좋아요. 울 나라 사람들이 참 각박해졌다는 것에 공감해요. 과거야 안 살아봤으니 모르지만 아무래도 지금이 더 각박할 듯해요. 크흑...

Mephistopheles 2007-10-04 15:33   좋아요 0 | URL
길거리에 돌아다니는 사람들 표정을 유심히 관찰해보시면 웃는 사람 별로 없어요. 물론 저역시도 별반 다를바가 없지만요.^^

하이드 2007-10-04 13: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는 아직도 밖에 나가면, 요물이나, 먹을껄로 보는 사람들이 많지요. 각박한 마음들이 싫어요.

Mephistopheles 2007-10-04 20:32   좋아요 0 | URL
그래도 옛날에 비하면 애견,애묘문화가 많이 발달하고 좋아진 것만은 사실이에요. 아울러 그릇된 애완동물문화(다시 말해 길거리 응가 안치우기 등등) 역시 기본적인 매너에서 한참 벗어난 야만적인 행동인데 말입니다....안지켜지는 경우는 절대 안지키더라구요. 이래저래 조급하고 각박한 세상이에요. 여유가 거의 없잖아요.^^

오차원도로시 2007-10-04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에선 자유냥이들이 너무 까칠해 주시죠...
그럴때면 더 가슴이 아파요...

Mephistopheles 2007-10-04 15:35   좋아요 0 | URL
까칠만 하면 다행입니다. 어쩌다 길가에서 이쁘장하게 생긴 길냥이를 보고 다가가면..까칠의 정도를 넘어서 개무시를 하면서 획 가버리잖아요..한마디로 고냥이에게 존심 꺽이는 거죠..

보석 2007-10-04 13: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건 아무리봐도 길냥이가 문제가 아니라 길냥이들의 터전인 인간사회의 습성의 차이점이라는 결론이 나와 버린다."
절로 공감하게 되는 글입니다. 이런 시각으로 볼 수도 있는 거였군요.

Mephistopheles 2007-10-04 15:36   좋아요 0 | URL
그게 그러니까.. 그 나라 고양이나 개는 주눅이라는 모습이 안보이더라..라는 마님의 증언때문에 나름대로 유추해 본 결과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BRINY 2007-10-04 14: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길가에 맘놓고 드러누워있던 터키의 냥이들 멍이들 생각나네요.

Mephistopheles 2007-10-04 15:36   좋아요 0 | URL
맞아요 마님의 표현대로라면 아주 대놓고..굴러다닌다더군요..사람 꺼려하지 않고..^^

2007-10-04 14:5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04 16: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05 00:1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05 01: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05 08:0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07-10-05 23:02   URL
비밀 댓글입니다.

누에 2007-10-04 15: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이리 못살게 구나 몰라요. 한국에서 길냥이로 못살겠어요.


Mephistopheles 2007-10-04 15:44   좋아요 0 | URL
아니...그 말씀은.....누에님...길냥이..? 음..서재를 꾸리는 길냥이가 존재한다는 말씀이신가요..^^ (좀 심하죠..작년 가을엔 학교앞 주차장에 처참하게 죽은 고양이 새끼를 목격햇어요. 자연사나 도태가 아닌 인간이 저지른 행위가 틀림없기에 맘이 아프더군요..)

홍수맘 2007-10-04 15: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아직도 길냥이를 무서워 하는 스타일이랍니다. 아마 어려서부터 길냥이에 대한 그닥 좋지못한 얘기들은 많이 들어와서이지 않을까 싶어요.
그리고 아직도 냥이의 눈빛이 무서워요. ^^;;;

Mephistopheles 2007-10-04 22:33   좋아요 0 | URL
그래도 수많은 길냥이들 중에 제법 선한 눈동자를 가진 녀석들도 종종 있긴 있어요..^^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음...밤에 마주치면 제법 무섭죠.^^

비로그인 2007-10-04 16: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예전에 야클님 어머님이 돌봐주시던 길냥이가 가출(?)을 해서 걱정하신 페이퍼가 기억이 나네요. 그때 지하주차장에 살던 우리아파트 길냥모자가 생각났는데, 어느날 엄마고양이가 없고 아기고양이만 있더니 이젠 둘 다 안보입니다. 마음이 많이 쓰이네요.

Mephistopheles 2007-10-04 22:34   좋아요 0 | URL
이제 겨울이 시작되면 아마 주차장으로 많이들 내려올 껍니다. 요즘도 지하주차장에 아침에 가보면 세워진 차의 본넷트위로 다다다다 찍힌 고양이 발자국을 종종 목격하곤 합니다..^^ 개체수는 많아지고 환경은 열악해지니 적자생존의 법칙에 고스란히 노출되는 거겠죠..쩝.^^

비로그인 2007-10-04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양이 귀엽다.
정말 그렇습니다. 아주 어린 새끼 고양이는 가끔씩 호기심에 인간한테 오기도 하지만.
큰 들고양이들은 도망가거나 외면하죠. 전에 비가 부슬부슬 오는 날 작은 나무 밑에
몸을 잔뜩 웅크리고 있는 노란 고양이가 보이길래, 추울까봐 입고 있던 셔츠로
덮어주려고 다가갔는데, 잔뜩 경계한채 도망갈 준비를 하더라고요.
그래서, 그나마 비를 피할 수 있는 곳인데 나 때문에 다른데로 갈까봐 거기서 발걸음을
멈추었습니다만, 그럴땐 정말 상처되죠. ㅜ_ㅜ

반대의 경우는 더 큰 상처가 됩니다.
버려진 유기견들이 좋다고 따라올 때, 데려가 키워주지 못할 때 한숨만 푹푹-
거기다 어딜 급하게 가고 있는 길이면 더더욱...ㅜ_ㅜ

Mephistopheles 2007-10-04 22:36   좋아요 0 | URL
엘신님도 그런 길냥이에게 마음의 상처를 받으신 적이 있었군요...^^
저 역시 가끔 길에서 마주치는 홀로된 새끼 길냥이들을 마주치면 갈등스럽긴 합니다..그런데 결국 돌아서서 갈길 간다죠.^^

무스탕 2007-10-04 2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스라엘 고양이 이뻐요~ 우리나라 고양이랑 많이 비슷하게 생겼네요..
저도 고양이를 좋아하는 입장에서 단지내 고양이들에게 따로 먹이를 챙겨주기도 하는데 이 애들이 도대체 곁을 안줘요..
그래도 어떤 녀석들은 제가 손으로 주는 먹이도 받아먹곤 하지요 ^^

Mephistopheles 2007-10-04 22:36   좋아요 0 | URL
그래도 그들무리에서 무스탕님은 때 되면 "밥주는 언니"로 통할지도 모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