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공기오염도로 본 세계지도가 신문의 한귀퉁이에 실려있는 것을 보게 되었다.
역시나 사람들이 모여있는 곳이 오염도가 극심한 지경을 보여주고 있었다.

지도에서는 푸른색쪽에 가까울수록 오염도가 낮은 곳이고 적색에 가까울수록 오염도가
심각하다는 분류를 해주고 있는 상황...

유독 중국이라는 나라가 더더욱 심각한 지경이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었다.
기타 유럽이나 북미의 도시들은 의외로 적색의 분포가 도드라져 보이지 않았지만.....
중국이라는 나라는 대륙의 2/3의 적색을 띄고 있는 모습이 자못 공포스럽기까지 했다는..

그런데....그런데....

그 거대한 빨간덩어리 중국 옆에...상당히 작은 규모지만 역시나 시뻘건 색으로 떡하니
찍혀있는 점이 하나 눈에 띈다...

 


서울이다...댄장....

 



뱀꼬리 : 대한민국은 아예 푸른색이 안보인다......으어어...


댓글(9)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마노아 2007-05-01 13:1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스! 심각하군요..;;;;

무스탕 2007-05-01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끝내주네요... -_-

antitheme 2007-05-01 13: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끔씩 내리는 산성비의 농도가 신김치 수준이라니 우리가 정말 힘든 환경에 살고 있습니다. 이래도 되는건지...

하이드 2007-05-01 14: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도쿄도

마늘빵 2007-05-01 14: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저를 포함한 서울시민들이 참으로 용합니다. 아직까지 잘 살고 있으니.

클리오 2007-05-01 15: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좀 딴 이야기같지만, 정말 시각적 활용을 뛰어나게 해서 설명해주시는군요. 직업적 영향인가요?? (가르치는 자,로서의 관심임다.. ^^)

하늘바람 2007-05-02 06: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그렇군요

토토랑 2007-05-02 13: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서울 + 경기도와 대구가.. 빨강이 로군요.. 에융..
음.. 근데 다른 빨강이들은 대략 이해가 가는데..
저기 아프리카 남단의 거시기는 뭘까요 >.< 괜히 궁금해지네요

Mephistopheles 2007-05-02 13: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노아님 // 전 저 사진보고 호흡곤란 느꼈습니다...사람이란 간사한 것이라죠.^^
무스탕님 // 저 사진 말고 황사 이동 위성사진도 봤는데....정말...중국은 오염의 축이에요...
안티테마님 // 절대..! 운치따지면서 비 맞지 말라잖아요..머리 빠져 피부 나빠져...등등...
하이드님 // 그래도 도쿄의 경우 꽤 큰 대도시인데도 서울보다 빨간색의 범위가 좀 작아보이잖아요..그에 비해 서울은....휴...
아프님 // 속으로 곪고 있는 걸지도 모릅니다...^^
클리오님 // 그게......글빨이 안따라주기에...이미지로 대체하는 영악함이라고나 할까요......ㅋㅋㅋ
늘 속삭이시는 분 // 그게....또 어떤면으로 보면...북조선의 낙후된 산업기반을 생각하면 기분 좀 그렇습니다...^^
하늘바람님 // 예...서울이 인구 몇만이상 세계의 대도시 중에 공기오염도 부분 탑클래스라고 들은 기억이 있습니다...걱정이죠..정말.
토토랑님 // 아마도..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타운이 아닐까요...거긴 그나마 아프리카 중에서 가장 발전한 도시니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