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身邊雜記 180716

 

- 워마드

 

* 친구가 내게 워마드 (회원)’이 걱정된다고 이야기했다.

나는 속으로 ; ‘무슨 소리?’ 그 친구는 나보다 오른쪽에 있는 이다. 그리고 아래 신문 기사를 소개시켜 주었다.

 

* 워마드, 성체 훼손 논란 이어 이슬람교 코란 훼손까지? '충격'

http://www.sedaily.com/NewsView/1S21ZJ7GYL

 

그 다음 날 다시 내게 소개시켜준 기사다.

 

* '워마드' 이번에는 부산지역 성당 방화 예고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03427

 

* 진화론에 보면, 생존 전략으로 도망-싸움 전략이 나온다. 그리고 비둘기 개체와 독수리 개체가 나온다. 독수리가 생존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이 아니다. 환경이 유-불리를 결정한다.

 

(조금 학문적인 용어로) Virulence가 있다. 인간의 통상적인 도덕적 관점에서는 virulence가 강한 것을 악으로 본다. 그러나 인간의 도덕적 관점과 무관하게 생존에 있어 virulence는 적정성의 문제다. 얼마 전 책을 읽다가 메갈리안에 대해 찾아보았더니, 사이트가 폐쇄돠었다. ‘메갈리안워마드를 비교하면 워마드가 virulence가 높은데, (우리나라?) 사회적 환경 조건에서는 생존 능력이 더 높았던 것이다. 충분히 추론 가능하다. 이 사회적 환경에서는 virulence가 더 높은 워마드를 더 많은 여성들이 가입(해서 활동)하고 있다는 것이다.

 

나는 친구에게 ; ‘여성의 잠재된 폭력성에서 나오는 전투력, 짱짱하구먼.’라고 말했다.

 

여성도 인간이기에 인간 보편적인 폭력을 보여주는 것. 정희진 씨는 메갈리안에 대해 긍정적인 해석 및 판단을 보여주었다. 워마드에 대해서도 긍정적 해석을 내릴까?

 

* 뱀발 ; 워마드에 대한 폐쇄 청원이 있었다고. 그럼 일간베스트에 대한 폐쇄 청원은 있었나, 없었나?

* 근본없는 페미니즘은 읽지 않은 책임.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겨울호랑이 2018-07-16 18:14   좋아요 2 | 댓글달기 | URL
가톨릭 신자로서 워마드 행위에 대해 많은 우려를 하게 됩니다. 어느 사회든 극단적인 모습을 보이는 이들은 존재한다는 생각을 해봅니다만. 그럼에도 모든 남성이 일베가 아니듯, 모든 여성이 워마드는 아니라는 생각을 하면서 보다 건강한 논의가 이루어지길 희망해 봅니다^^:)

마립간 2018-07-16 20:10   좋아요 2 | URL
안녕하세요. 겨울호랑이 님. 오랜만에 이야기를 나눕니다.

어떤 분야( 예를 들면 정치분야)는 대다수가 중간임에도 양극단에 있는 사람의 목소리가 크고, 일에 결정에 있어서도 미치는 영향이 큽니다. 이런 상황을 강화 reinforcement라고 하죠. 모든 남성이 ‘일간 베스트‘가 아니고 모든 여성이 ‘위마드‘가 아님에도 파급 효과는 작지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건강한 논의가 이뤄질 기회는 적어지죠. 가능성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모든 상황 판단은 일정 부분 가치 판단을 포함하겠지만, 저의 가능한 한, 가치 판단을 보류합니다. 메갈리안과 워마드, 페미니즘에 관해서도요.

어떤 이들이 보기에는 그렇지 않다고 하지만, 저 스스로는 개신교 신자라고 생각합니다. ‘우려‘는 제 판단을 넘어서는 것입니다. 성경에 ‘원죄‘라는 말이 없지만, 저는 사람의 도덕성을 잘 믿지 않습니다.

겨울호랑이 2018-07-16 21:12   좋아요 1 | URL
마립간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사회적 영향을 무시하기 어려운 사건이라 생각합니다. 다만, 이 사건에 대해 조급하게 반응하기보다는 더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물론, 개인적으로 아픈 부분은 있습니다만... 저는 다수의 합리적 판단 기준을 믿는 편입니다. 초 장왕의 ‘3년간 울지 않는 새‘ 이야기처럼, 다소 시간이 걸리고 때로는 퇴보하는 것처럼 보여도, 차츰 개선해나가지 않을까 기대해 봅니다. 정말 마립간님과 오랫만에 대화를 하게 되었습니다^^:)

마립간 2018-07-17 05:35   좋아요 2 | URL
겨울호랑이 님의 댓글을 읽다보니 이런 생각이 드는군요.

포도주 잔에 포도주가 절반이 담겨 있을 때, 어떤 이는 포도주가 절반이나 남아 있다고 생각하고, 어떤 이는 포도주가 절반 밖에 남아 있다고 생각지 않고.

겨울호랑이 님은 인간의 긍정적인 면을 보고 희망을 놓지 않으려는 모습으로 보입니다. 저는 인간의 존재론적 희망을 버리지는 않겠지만, 겨울호랑이 님과 같은 희망을 갖기에는 제 삶 경험의 궤적이 인간에 대한 기대가 너무 높았거나 아니면 상처가 너무 깊은 것 같습니다.^^

2018-07-17 08:29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립간 2018-07-18 07:51   좋아요 1 | URL
댓글 감사합니다.

일간베스트 사이트 아직도 존재하는 것으로 보아 일간 베스트 폐쇄 청원에도 불구하고 법리적으로, 또는 기술적으로 폐쇄가 곤란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다면 워마드 역시 폐쇄가 불가능하겠지요.

사이트만의 문제가 아닌 보편적인 혐오 문화의 확산 ; 작게 보면 우리 사회가 가지고 있는 모순의 일면이고 크게 보면 인간이 가지고 있는 모순의 일면으로 생각합니다.

비유해서 생각하자면 애덤 스미스의 완전 고용보다 케인즈 실업률 낮추기처럼 ; 인간의 완전한 도덕성보다는 악덕의 감소에 관심이 있습니다.

2018-07-17 08:34   URL
비밀 댓글입니다.

마립간 2018-07-18 07:52   좋아요 1 | URL
워마드가 ‘초 장왕의 3년간 울지 않는 새‘였다면 일간 베스트 역시 비슷한 역할일 수 있겠지요.

2018-09-04 18:08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8-09-05 12:15   URL
비밀 댓글입니다.

- 2018-10-31 22:38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일간베스트는 혐오표현이 게재되면 운영자가 발견 즉시 삭제하고 국내에 서버를 두고있으며 경찰수사에 협조적인데 반해 워마드는 혐오표현을 장려하고 서버를 외국에두고 되려 사법부를 우롱하는 표현을 사용하고, 운영자가 경찰출석요구에 응하지 않았다는 점이 다르다고 할 수 있죠 둘은 동일선상에 두고 보아서는 안되지 않나요?
 

 

* 身邊雜記 180711

 

- 난민

 

며칠 전 친구가 나에게 제주도 예멘 난민을 받아들이는 것에 어떻게 생각하냐고 물었다. 나는 찬성도 반대도 하지 않는다고 했고, 친구는 왜 받아들이는 것을 반대하지 않느냐고 되물었다.

 

받아들이는 것에 대해 반대를 하는 것은 더 이야기할 거리도 없는 것 같고, 내가 제주도에 살지 않으면서 제주도민이 감당해야 할 부담을 내가 찬성하는 것도 우스웠다.

 

* 정우성과 홍세화, 그리고 예멘 난민

난민을 추방하자는 의견에는 기존 진보와 보수의 구분이 없다. 민주주의와 정의를 이야기 했던 사람도 페미니스트를 자처하는 이들도 무서운(?) 난민들을 내보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인다.

http://www.pressian.com/news/article.html?no=203239&utm_source=naver&utm_medium=mynews

 

나는 우리나라의 정치-사회에 있어 사회적 통념에 의한 진보-보수를 가르고, 내 가치관에 의해 진보-보수를 나누기도 하지만, 그 근본이 되는 기준은 in-group bias.

 

악어 프로젝트; 이 책에 평가가 여러 가지로 있을 수 있지만, 내가 평가하는 바는 female gene-memein-group bias. 여성은 남성보다 안정 욕구가 큰 데 (, 그렇다고 해서 남성에게 안정 욕구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런 의미에서 제주도 예멘 난민 반대, 즉 추방에 찬성하는 심리가 아예 동떨어진 것이 아니다. (이 책이 혐오가 아니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르겠다. 혐오는 배척에서 조금 더 나아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8-07-14 14:0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다른 나라의 경우엔 휴머니즘에 바탕을 두고 판단할 수 있는 난민 문제가 우리나라의 경우가 되고 보니 신중해져서 결정을 못하겠더라고요. ‘입장‘ 차이라는 걸 생각하게 됩니다. 입장은 중요한 변수인 듯.

마립간 2018-07-16 11:07   좋아요 0 | URL
그래서 저는 진보적 주장, 페미니즘의 주장으로 많이 신뢰하지 않습니다.

≪페미니즘의 모순≫에서 엄마인 여성은 여성의 입장을 지지하기 보다 자신의 아들의 입장을 지지한다고 합니다. 저 역시 이 책의 의견에 동의합니다.
 
필링 굿
데이비드 번스 지음, 차익종.이미옥 옮김 / 아름드리미디어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 나라에서의) 영어 공부와 다이어트 (체중 감량)에서 있어 남의 성공한 방법을 일반화에서 나에게 적용했을 때, 꼭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고 해서 남의 성공한 그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 것도 아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페크pek0501 2018-07-14 14: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기에게 적합한 자기만의 방식을 찾는 게 늘 포인트인 것 같아요.

마립간 2018-07-16 11:05   좋아요 0 | URL
그렇죠. 일반적 원리(뵤편성)을 파악하는 것과 각각의 상황에 적용하는 것(특수성)은 항상 존재하는 두 가지 측면이죠.
 

 

* 身邊雜記 180704

 

- 여자 축구와 여자 역도

 

방송에서 축구 선수 지소연 선수를 봤다.

 

중학교 시절 체육 시간에 여자 스포츠 종목으로 가장 나중에 정착하게 될 종목이 무엇일까에 대한 이야기를 주고받은 적이 있다.

 

일부는 축구라고 생각했다. 다른 일부는 역도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여자 축구, 여자 역도 두 종목 모두 친숙한 종목이다. 인터넷 검색에서 확인 것들.

 

* 여자 축구 ; 19178, 북동부 잉글랜드에서 군수품을 만드는 여자 노동자팀이 참가하는 대회가 만들어졌다.

UEFA 여자 축구 선수권대회는 1982년에 만들어졌지만, 이보다 앞선 1975, 아시아에서는 AFC 여자 아시안컵의 첫 대회가 열렸고, 첫 번째 여자 월드컵은 1991년에 중국에서 개최되었다.

 

* 여자 역도 The first Worlds were held in 1987 in Florida.

Karyn was tall and weighed 82 kg. It was widely assumed that nobody in the lighter weight categories would get anywhere near what she had achieved. Nobody expected any woman to ever clean and jerk a weight of 400lbs, it seemed impossible.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 身邊雜記 180702

 

- 운동에서의 상보성

 

* [3분스토리] 시작하는 트레이너를 위한 성장 이야기 "여섯계단" (by 길코치) / 아는 것과 아는 척은 다르다. / 이론/실전/재활/크로스핏/미니멀리즘/스트렝스 기술/내공/겸손

https://www.youtube.com/watch?v=CWWjXBmdBP0

 

0:09 책 데미안에서는 알은 하나의 세계다.” “새로 태어나는 자는 알을 깨고 나와야 한다.”라고 했습니다.

 

* 상보성

1. 이론 (교과서) vs 실천 (현장)

2. 재활 운동 vs 기능성 운동

3. 크로스 핏 Cross fit vs 미니멀니즘 Minimalism

4. 근력 vs 스트렝스 스킬 Strength Skill (기술)

5. 수련 (운동의 질) vs 임계점 (운동의 양)

6. 성장 vs 비교 ... 그리고 겸손

 

* 크로스 핏 10가지 영역

심폐 지구력, 최대 근력, 유연성, 협응력, 민첩성, 균형감각, 정확성, 파워, 스태미나, 속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