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1005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p14 아무튼 페미니즘이 비아프리카적이라고 하니까, 나는 이제 스스로를 ‘행복한 아프리카 페미니스트’라고 부르기로 했습니다.
p46 또 어떤 사람들은 말합니다. “이봐요, 가난한 남자들도 어렵게 살아간다고요.” 실제로 그렇습니다. 하지만 그 문제는 이 대화의 주제가 아닙니다. 젠더와 계급은 다른 문제입니다.
두 페이지 넘게 작성했던 내용은 그냥 파일로 보관하고 간단하게 알라딘 서재에 포스팅한다. ≪행복한 페미니즘≫의 벨 훅스는 두 가지가 별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마리아 미즈는 젠더와 자본주의 즉 계급이 별개로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적-녹-보라 패러다임을 주장하는 사람(페미니스트)들 역시 두 개 문제를 분리할 수 없다고 주장한다. 마치 시공간이 분리할 수 없다는 아인슈타인 주장에 반하여 뉴턴 역학으로 돌아간 느낌이다. 현재가 여성의 참정권이나 교육권을 쟁취해야 하는 시대라면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의 의견이 옳겠지만.
p40 만일 부모가 처음부터 두 아이 모두에게 라면 끓이는 법을 가르친다면 어떨까요? ; 내가 알라딘에 아들에게 설거지를 시키는 제안에 알라디너 어머니로부터 긍정적인 댓글을 받지 못했다.
* 독서기록 160607 페미니즘의 개념들
http://blog.aladin.co.kr/maripkahn/8545353
≪행복한 페미니즘≫의 글쓴이는 이렇게 말한다. 백인 여성은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해 권력을 행사하는데, 오로지 극복하지 못한 것이 백인 남성이다. (중략) ≪페미니즘의 도전≫에서 정희진 씨는 흑인 인권운동가 및 여성운동가가 백인 여성운동가와 성차별을 논의하지만 인종차별을 논의하지 못한다고 하고, 흑인 남성 인권 운동가와 인종차별을 이야기하지만 성차별을 이야기하지 못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