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60926
≪틀리지 않는 법≫ - 수학적 사고의 힘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p6 친구는 강남역 사건을 화제로 남자친구와 이야기를 했고, 아주 오랜 대화 끝에 남자친구가 자신이 부족한 점을 깨달았다며 사과를 했다고 하더군요. 이 이야기를 듣고는 와, 보기 드물게 훌륭한 남자라며 당연하게 칭찬하려다 멈칫했습니다. 잠깐만. 부족한 점을 인정하면 훌륭한 남자가 된다. 그런데 괴로운 상태에서 인내를 갖고 설명한 내 친구는? 이상하게 억울했습니다.
내가 그 자리에 있었다면, 나는 그 남자친구를 칭찬해줬을 것이다. 설명한 그 여성 친구는? 그녀에게도 칭찬했을 것이다. 내가 이 글을 좀 이상하게 생각했다. 남자친구를 칭찬하면 여자친구는 칭찬받지 못하거나 아니며 깍아 내리낸다는 느낌을 받게 되나?
간단한 에피소드를 보자. ; 아빠가 초등학교 2학년 딸아이가 구구단을 외운 것에 대해 칭찬을 했다. 옆에 있던 엄마가 아빠에게 묻는다. “나도 구구단을 외는데, 왜 나에게는 칭찬을 안 해?”
아빠가 아이를 칭찬하는 것의 비교 대상은 구구단을 외기 전의 딸이거나 동급생들과 비교하여 구구단을 외운 아이, 또는 구구단을 외기 위해 딸아이가 노력했다는 사실에 대한 칭찬이다. 내가 지어난 에피소드의 해석에 동의한다면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의 남자친구에 대한 칭찬은 설명한 여자친구나 다른 여성이 아니라 설명을 들었음에도 깨닫지 못한 다른 남성들과의 비교라는 것을 알 것이다.
나는 알라디너 S 님에게 ≪페미니즘의 개념들≫를 추천했는데, 비교적 고른 깊이 글이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흥미로운 점은 페미니즘의 개념들에서 ‘여성의 군입대’를 주제로 삼지 않고 ‘양심적 병역거부’를 주제로 삼았다는 것이다.
≪페미니즘의 개념들≫ p239 해외에서는 여성 양심적 병우거부자도 존재하는데 여성이 징병되는 국가인 이스라엘이 가장 대표적이다. 이들은 군사 문화 자체가 성별화된 사고 체계이며 이를 통해 성 평등을 이루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하고, 여성이 징병된다고 해도 군대 내에서 성역할이 나뉘어지는 등의 성차별은 여전하다고 말한다. 군에 들어가면서도 여성적인 이미지가 강조되며 여성으로서 위치지움은 여전하게 되어 평등한 시민권 확보의 실패를 가져온다는 분석도 있다.
‘여성의 군입대’가 군대 내의 성역할이 나뉘어 양성 평등에 기여한 바가 없다고 서술한 부분이다. ‘여성의 (사병) 군입대’가 완벽한 양성 평등을 가져왔냐고 묻는다면 답은 ‘아니다’다. 그렇게 때문에 여성의 군입대를 양성 평등의 입장에서 소용이 없다고 판단하는 것은 우습다. 이 책의 앞부분에는 p77 남녀동수법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남녀동수법이 완벽한 양성 평등을 가져왔나? 만약 답이 아니라고 하고 여성의 군입대의 논리를 적용하면 남녀 동수법은 폐지되어야 한다.
여성의 군입대가 양성 평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느냐를 판단하려면, 여성 군입대 전의 양성 평등 지수와 여성의 군입대 실시 이후의 양성 지수를 비교하거나 아니면 여성 군입대를 실시하고 있는 나라와 그렇지 않은 나라를 비교해야 한다.
내가 알고 있기로 여성의 사병 의무 복무를 실시하는 나라는 이스라엘 밖에 없고, ‘유대교’라는 혼란변수 confounding factor까지 고려한다면 (우등 비교이든 열등 비교이든) 통계적 의의를 산출하기는 어렵다.
연구 결과가 어찌 나왔던 간에 연구 결과의 제시 없이 작위적인 결론은 ‘페미니즘’ 전체의 주장의 신뢰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페미니즘의 개념들≫ p237 한국에서 여성은 병역의 의무·권리가 없기 때문에 법제조하에서 병역을 거부할 수 없다. (여성이 간부로 군입대할 수 있다. 권리가 없다는 말은 사병으로 갈 수 없다는 말이다.) ... 페미니즘의 관점으로 징병제와 군대를 바라보는 시각을 제공함으로써 양심적 병역거부에 동참했다. 성원권 획득으로서의 군대, 병역 기치파와 거부의 차이에 대한 생각의 전환, 남성중심의 안보논리, 병역거부운동이 가지는 남성성에 대한 비판, 성소수자와 군대와의 관계 등은 모두 페미니즘적 성찰의 영향이며 병역거부가 반전 평화와 인권의 관점에서만 논의되는 것을 확장시키는 데 기여했다.
페미니즘이 군사제도와 잘 어울리지 않다는 것은 설명이 필요 없을 것 같다. 인간 사회에서 군사 제도가 없는 것이 이상이 아니고 현실적으로 가능한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