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이런 페미니스트들에게 부정적인 생각을 갖는다.

 

아마 10년쯤 똑같은 이야기를 하게 될지 몰라, 정리하고 넘어간다. 아래에 언급할 이들이 페미니스트라고 해야 할지, 말지 ... 역시 페미니스트의 정의에 따라 다르겠지만.

 

1) 정형 stereotype과 편견 prejudice을 혼동하는 사람

나는 정형을 자료가 축적된, 그래서 어느 정도의 과학적 근거가 있는 상식이라면, 편견은 과학적으로 틀린 사실을 상식으로 믿는 것이다. 나의 정의에서 자료가 축적되지 않거나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 대한 정의는 내려지지 않는다.

 

쉽게 이야기하기 위해 예로 설명하겠다.

여자는 자동차 주차를 남자보다 잘 못한다. ; 이 문장이 정형일까, 편견일까. 이와 같은 문장을 대할 때, 어떤 이는 이렇게 반응한다. “어떤 여성이 주차를 잘 못하는 개인적인 경험을 일반화 시킨 것이다. 남자보다 주차를 잘하는 여자를 여러 명 알고 있다.” 이런 주장을 하는 사람은 남자가 여자보다 키가 크다는 명제도 부정할 것이다. ‘어떤집합적 의미를 혼동하고 있다.

 

개념적 차이가 나의 페미니스트에 대한 비판의 핵심이다. 어머니는 분명히 사회적인 것이기도 하지만, 생물학적인 것이기도 하다.

 

2) 문화적 여성주의를 가장한 마초 남성

어떤 남성들은 여성 군 입대에 관해 몹시 흥분하기도 한다. 진중권 선생님은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 페미니스트들은 참전권을 요구했어. (중략) 근데 그 요청 마초들이 거절했지라고 트위에 글을 남긴다. 진중권 선생님은 여성의 군입대에 반대하는 이들에게 왜 문화적 여성주의라고 하지 않고 마초라고 했을까? 나는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고 주장하는 몇 남성들을 볼 때, 이재오, 김문수 국회의원을 떠 올렸다. <페미니즘의 도전>이나 <빨래하는 페미니즘>에서 일관되게 비판하는 것은 가부장제. 그리고 <빨래하는 페미니즘>에서는 통상적으로 진보적이라고 집단에서조차 양성 평등적이지 않다고 말한다.

 

3) 스스로를 약하다고 생각하는 여성

10년 전 따우라는 닉네임을 쓰는 분에게 나는 이런 의견을 밝혔다. ‘여성들은 스스로 보호받아야 되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 따우 님은 내게 (따우) 주위에는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 없습니다라고 답변을 했다. 나는 당시에 반론을 할 수 없었다. 당시 따우 님은 민우회에 연관된 일을 하셨고, 답변이 맞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재미있는 것은 답변에 ‘(대개의) 여성이 아니라 본인 주위에는 있는여성이라는 한정된 의미를 제시했다. 지금은 달라졌을까? 사자가 얼룩말을 사냥할 때, 크고 건장한 얼룩말을 사냥 대상으로 삼지 않는다. 먹을 것이 많고, 질병이 없는 신선한 고기가 더 좋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2)번의 남성과 3)번의 여성은, 삶의 전략적 선택이라는 점에서 1)번보다는 나의 부정적 감정이 약하다.

 

* 결과적으로 시간이 흐름으로써 진보를 할까

남녀 불평등이 현실이 상황에서 양성 평등은 분명 진보한 것이다. 그러나 나의 전망은 희망적이기 보다 회의적이다. 인류 역사가 과거에 비해 진보했는가? 철학자간의 논쟁도 있었다. 철학 전반은 너무 거창하고 미래는 알 수 없다. 주제와 시간을 한정시켜보자. 여성( 알라디너)들에게 이렇게 묻는다. 우리는 지난 10년 동안 (2003년과 2015) 남녀불평등에서 양성평등으로 진보했는가?

 

* 그렇다고 호감이 가는 사람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곰곰생각하는발님이 댓글로 내게 소개해 준 어느 주부.

제 아시는 분은 아들만 둘인데 철저하게 가사 분담을 시킵니다. 그게 고3 아들에게도 시키더라고요. 그분 말씀이 자신은 아들이 설겆이 따위 때문에 좋은 대학을 못 가더라도 설겆이 따위는 여자만 하는 게 아니라는 걸 가르쳐서 결혼했을 때 둘이 반씩 가사 노동을 분담하면 그것으로 만족하신다고 하더라고요.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별족 2015-05-13 13: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음, 그걸 왜 `페미니스트가 아니다`나, `페미니스트`에 대한 이야기로 하시나요.
`이런` 페미니스트,들에 반감을 가지시는 거잖아요. 본문에 따르면, 그 `어떤` 페미니스트는, 정형성을 편견이라고 말하는데, 지금 마립간님이 하시는 발언들도 달라보이지 않아요.
많은 페미니즘, 책을 보셨고, 호감가는 페미니스트,도 있지만, 싫은 `어떤` 페미니스트,라고 자칭하는 사람들때문에, 심지어 본인을 `안티페미니스트`라고 정의하는 것은 이상하지 않나요?
페미니즘,의 주의 주장을 오독하거나, 말과 다르게 행동하거나, 하는 것은 그 `어떤` 페미니스트의 잘못이지 `페미니스트`전체나, `페미니스트`가 그러하다,는 정형성을 갖는다고 보기는 어렵지 않나요?

마립간 2015-05-13 14:20   좋아요 0 | URL
별족 님의 지적이 맞습니다. 앞 선 글에서는 저의 경험이라는 수식어가 붙은 문장도 있고, 제가 `일반화`의 오류를 범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페미니즘의 도전>을 통해 저의 개인적인 경험보다 조금 더 객관적이고 보편성을 가졌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보다 보편성을 가지기 위해 인터넷에 공개를 한 것이구요.

제가 오히려 별족 님께 되묻고 싶군요.
제가, 즉 마립간 가진 의견은 `어떤`에 해당되는 것으로 보다 보편성을 띤 `대개`의 페미니스트들은 그렇게 생각지 않는다고 답을 주시실 수가 있으신가요? 이런 책이 오히려 `대개`의 페미니즘을 보여주는 즉 <페미니즘의 도전>보다 훨씬 보편적인 페미니즘을 보여주는 책으로 제안해 주시실 수 있나요? 저는 저의 편견일지도 모르는 저의 의견과 다른 `대개` 페미니스트, 보다 보편적인 페미니스트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저는 제 의견이 틀렸기를, 편견이기를 바랍니다.

별족 2015-05-14 10:01   좋아요 0 | URL
제가 뭐라고 `보편적인 페미니스트의 생각`을 말할 수 있겠습니까? 겨우, 제 생각입죠.

생각한 것은 사람의 모순, 삶의 모순, 이런 거라서 이상한 말을 하게 될 거 같습니다.
굳이 특정하여 `페미니스트`가 아니더라도, 살아내는 어떤 사람의 면면을 보다 보면 인간을 혐오하지 않기가 굉장히 어렵지 않나요? 말을 개차반처럼 하지만 행동은 신사적인 사람이 말은 번드르르 하지만 행동은 교활한 사기꾼보다 낫다고 판단하기도 하고. 말도 행동이고 그게 그거고 나쁘다고 잘라 말하면서 둘 다 혐오해버리고 나면, 아 자기가 인간이면서, 보편 인간을 혐오하기란 얼마나 무서운가요?

마립간 2015-05-14 10:16   좋아요 0 | URL
별족 님, 알라딘의 댓글에 꼭 뭐가 되어야 의견을 표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저는 보편 사람에 대해 혐오는 아니지만, 성악설에 기초한 가치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개인의 경험을 뛰어넘을 수는 없지만, (이미 말씀드린 바) 보다 보편성과 객관성을 위해 알라딘에 공개했고, 제가 적절한 반론을 받지 못한 상태에서 (편견일 수도 있는) 제 판단은 더욱 강화될 것 같군요.

별족 2015-05-15 10:25   좋아요 0 | URL
`제가 뭐라고`라는 서두는 `제 자신의 자격없음`에 대한 말이 아니라, `님의 요구의 부당함`에 대한 말입니다.

페크pek0501 2015-05-13 14: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1.
여자에 비해 남자들이 주차를 잘하는 이유는 공간지각능력이 여자보다 남자가 우세하기 때문이래요.
예외가 있겠지만 퍼센트를 따져 보면 그럴 것 같아요. 제 친구들 중에도 비좁은 공간에선 주차를 어려워하는
친구들이 있거든요. (그런데 운전 경력이 남자가 여자보다 많아서라는 변수도 생각해야 할 듯...)

그런데 언어 영역에선 여자가 남자보다 우세해요. 국어, 논술 등의 선생님들의 공통된 의견이에요. 수능 시험에서도 그렇고요.
반대로 수학 영역에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우세하죠. 과학적으로도 증명 가능해요.

2.
˝우리는 지난 10년 동안 (2003년과 2015년) 남녀불평등에서 양성평등으로 진보했는가?˝
으음~~ 잘 모르겠지만... 남녀불평등은 제가 직장에서보다 시댁에서 더 많이 느낀 문제예요.
(제가 다닌 직장은 그래도 남녀평등한 편에 속한 듯해요.)
제가 결혼할 당시엔 시댁 식구들이 제가 남편의 이름을 부르지 못하게 하더라고요. 씨 자를 붙여도요.
그런데 그로부터 십 년이 지나서
동서가 들어오니 동서가 자기의 남편 이름을 불러도 되더라고요. 시댁 식구들 중 아무도
문제 제기를 하지 않더라고요. 세상이 달라졌구나 했죠.
그런데 아마 제 딸들이 나중에 직장을 다니게 되면 남녀평등 하지 않다고 불평이 많을 걸로 예상합니다.
아직도 사회에서 남녀평등은 먼 건 같아요.

3.
끝에 소개해 주신 어느 주부 님. 삶에 있어서 학벌보다 더 중요한 걸 가르쳐 주신 것 같네요.

마립간 2015-05-13 15:55   좋아요 0 | URL
2. 양성의 평등의 계량적 방법에 이야기가 있는데, 역시 무엇으로 정의하고 어떻게 측정-생각하느냐의 문제로 귀결되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