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과 무생물 사이
후쿠오카 신이치 지음, 김소연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학계學界
- 생물학과 학계

 <초보엄마들은 모르는 고수엄마들의 맛있는 공부>와 같이 저와 맞지 않는 책도 있지만 <사막을 건너는 여섯가지 방법>이나 <생물과 무생물 사이>와 같은 책을 만났을 때 즐겁습니다. - 큰 기대하지 않고 반값에 구입하였기에

 
2가지 이야기가 서로 얽혀서 흥미진진하게 펼쳐집니다. 먼저 쉬운 이야기부터 하면 생명에 관한 것입니다. 저는 처음에 이 책을 고를 때 이것에 관한 이야기만 있는 것으로 생각했습니다.

 
마립간의 즉흥시詩입니다. 제목은 생명

* 생명
  자기복제
 
물질대사
 
항상성  
 
경계
  자극에 대한 반응

 
다섯 단어로 된 시이지만 여기에 몇 가지 단어를 추가하고 싶은 분도 계실 것입니다. (예를 들면 세포, 핵산, 진화, 성장, 운동 등을 추가할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위 시에서 감동을 받으려면 기초적인 지식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물질대사’라는 시구에서는 동화작용 와 이화작용, 엽록소와 미토콘드리아 등이 연상되어야 합니다.

 
이 책의 저자 후쿠오카 신이치씨는 동적 평형을 이야기합니다. 동적평형은 저의 시의 항상성 및 경계와 관련 있습니다. (경계 ; 나(내적환경)와 환경의 구분이며 (세포)막에 의해서 구분됩니다.) 오히려 새로운 통찰력은 ‘시간이라는 이름의 돌이킬 수 없는 종이접기’에서 보여 준 적응입니다. 저는 진화, 적응 등을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규정하였는데, 그 반응에서 시간의 적절성(timing)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사실 이 책이 재미있었던 것은 생물학적인 이야기와 학계學界라는 사회의 이야기가 교묘하게 얽혀 있습니다.
 
학계에 있는 사람은 장사치를 낮게 보기도 합니다. 돈에 대한 욕심 때문에. 그러나 장사치(사업가)들이 소유욕에 의해 움직인다면, 학계는 명예욕에 의해 움직입니다. (명예욕이 충족되면 권력욕이나 소유욕으로 돌아서기도 하고 동시에 추구하기도 합니다. 장관의 청문회를 떠올리면 됩니다.) 최초의 발견자에서 2등은 없습니다. (1등만 기억하는 더러운 세상이 바로 학계입니다. - 가끔 후배나 제자의 노력을 .......)
 
왓슨과 크릭이 DNA를 발견하여 노벨상을 타기 전에 누군가 DNA 회절 무늬를 찍었다는 이야기를 오래 전부터 알고 있었는데, 저는 학자가 아니고 기술자technician으로 알고 있었습니다.

 
<나쁜 보스>에서 회사 생활에서 ‘나쁜 보스는 절대 ‘남의 새끼’를 키우지 않는다.‘라고 했지만 제 경험으로는 학계가 더 심합니다. <아웃라이서>에서 권력 관계 지수(Power distance index, PDI)가 높은 나라에서 브라질이 1등, 한국이 2등을 했습니다. 업종별도 따지면 학계만큼 PDI 지수가 높은 직종은 없을 것입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단순히 지적 능력만 높은 크리스 랭건(<아웃라이어> p112)은 사회적으로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사막에서 연꽃은 살 수 없지요.

* 밑줄긋기 ;
http://blog.aladin.co.kr/maripkahn/4310235

로잘린드 플랭클린 Rosalind Franklin! 앞으로 제가 당신을 기억하겠습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녀고양이 2010-12-09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생명이란 즉홍시에 덧붙일게 있을까
한참 생각 했답니다.

만일 덧붙인다면, '유전자의 야욕'을 넣고 싶습니다.
우리야 이기적 유전자의 이용 매개체니까요. 어떠셔여?

마립간 2010-12-10 12:54   좋아요 0 | URL
제가 이기적 '유전자의 야욕'을 넣지 않은 이유는 유전자가 '자기복제'와 공통 분모를 같는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문화적 유전자meme이나 컴퓨터 바이러스도 확장된 개념의 생명체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마녀고양이 2010-12-10 13:10   좋아요 0 | URL
사실, 저도 자기 복제에 속하지 않았을까 생각했습니다.
하.지.만. 역시 의도를 가진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어서요. ^^

문화적 유전자는 제 분야와 동떨어져서 모르겠지만,
컴퓨터 바이러스라는 녀석을 본다면, 확실히 생명의 요소를 갖추기는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