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은 평범한데, 사진이 너무 이쁘네요. 특히 윙크하는 사진은 넘넘 귀여워요(>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참여 군중
하워드 라인골드 지음, 이운경 옮김 / 황금가지 / 2003년 5월
평점 :
절판


몇 주전인가 골든벨에서 이 책의 내용이 나왔다. 아, 골든벨이 아니라 일반인 대상 퀴즈 프로그램이었나 보다..;;;;

하여간, 출연자는 인터넷 검색으로 이 문제의 답을 맞췄는데 정답은 smart mobs였다.

보면서, 베시시 웃었다. 기억나는 책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책은 나의 관심사에서 전혀 무관한 책이건만, 친한 지인이 번역을 했기 때문에 얼결에 읽게 되었다.

당시는 참여정부가 막 들어서던 때였고, '참여'라는 말이 유행어처럼 번지던 시기였다.

그래서였을까. 이 책의 제목이 '참여군중'이 된 것은.

사실, 읽어보면 그닥 참여군중스러운 내용은 별로 없다...;;;;;

통신과 대중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담아놓은 책인데, 관심도 없고 그 분야에 대해 아는 바도 없는 나는 읽는 데에 내공이 무척 많이 필요했다ㅠ.ㅠ

여러 챕터 중에서 관심분야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역시 잘 모르는 내용과 관심 없는 내용들은 쉽게 머리 속에서 잊혀졌다.

그래도, 이 책을 읽고 나서 몇몇 전문 용어들이 나중에도 눈에 띄었는데, 매트릭스 복장을 한 사람들이 어느 거리에서 모여서 갑자기 매트릭스 포즈를 취하고는 바로 사라지는 '플래쉬 몹'의 기사를 보았을 때 조금 기뻤다. (그러고 보니 번역가는 '매트릭스로 철학하기'도 번역했다^^ㅎㅎㅎ)

읽은 지 좀 시간이 흘렀는데, 문득 생각이 나서 검색해 보니 품절이다^^;;;;

으하핫, 비인기 책일 게 분명했고, 아마도 재판되기도 힘들 지도 모르겠다.  어디 도서관에는 있을 지두.

그냥, 나도 이런 책 한 번 읽어보았었다... 정도의 추억만 남긴 채.... 내 기억에서 서서히 사라지고 있는 책이여, 애도를 표한다ㅠ.ㅠ

그래도, 통신 혁명은 계속 이루어지고 있고, 대중은 거기에 모두 휩쓸린 채 통신의 반경으로부터 결코 자유롭지도 못하고 예속되어 있는 모습은 저자의 짐작과 전혀 틀리지 않음에 조금 섬뜩한 기분이 든다.  계속해서 발전하는 21세기의 모습은 아마 그보다 더 한 일들도 일어날 테지.

그런데 통신을 주도하는 사람들은 영리할 지 모르지만, 그 속에 매몰되어 버린 군중들은 점점 바보가 되어가는 것 같다.  반어적 제목이던가....ㅡ.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중화요리에 담긴 중국
고광석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02년 6월
평점 :
절판


대만 배우를 좋아하게 되면서 중국의 역사와 문화에 유독 관심을 갖게 되었는데, 그 사실을 알고 후배가 책을 한권 좋았다. 덧붙이는 말,

"재미는 없어요. 그냥 가지세요."

헉, 빌려주는 것도 아니고 가지라면서 재미는 없단다. 결코 기대하고 보지는 말아야지. 그래도 애정을 갖고 보면 재밌지 않을까?

그런 나름의 각오를 갖고 보았는데, 후배의 말이 맞았다. 재미 Ÿ졍?. ㅡㅡ;;;;

일단, 제목이 너무 거창하다. 중화요리에 담긴 각 지방색과 중국의 문화 이야기가 쬐금... 나온다. 표지의 느낌과는 전혀 딴판이다.

유명한 네개 지방의 음식문화 특징에 대해서 나열하고 있는데 그냥 보고서 읽는 기분이다.

(그래도 대학 때 동양사 교수님이 '사천' 지방 음식이 가장 맛나다고 했던 기억이 나서 그부분만 조금 관심이 갔더랬다.)

에피소드 중심 서술 형식으로 짧게 짧게 이어지고 있는데 내게는 내용들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읽히지 않고 모두 뚝뚝 떨어져서 읽혔다.

그렇게 긴 페이지도 아니건만 너무너무 지루하게 읽었다. 별점 두개 주는 일은 정말 흔치 않은 일인데 애석하게도 별점 두개.

지금도 내 책장에서 쓸쓸히 고독을 씹고 있다. 다시 펼쳐 볼 일이... 그래도 한 번 있을라나? 글쎄..ㅡ.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옹정제 이산의 책 17
미야자키 이치사다 지음, 차혜원 옮김 / 이산 / 200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청나라는 이민족이 세운 왕조이지만 중국의 문화를 사랑하고 잘 이해한 황제들의 연이은 집권으로 가장 漢化한 왕조이기도 했다.  그 중 가장 유명했던 초기 황제는 강희-옹정-건륭제로 이어지는데, 이 책은 그 중 상대적으로 각광을 가장 덜 받았던 황제 옹정제에 관한 기록이다.

미야자키 이치사다는 철저한 고증을 거친 내용을 몹시 담담한 어조로 서술하는 것이 특징인데, 나는 이 책을 읽으면서 저자 역시 옹정제와 같은 근검 절약의 깐깐한 노인네가 아니었을까 상상했다.  이 책보다 앞서 읽은 "중국의 시험 지옥 과거"에서도 비슷한 느낌을 받았기 때문이다.

옹정제의 치세는 13년으로 비교적 짧은 편이었다.  어렵게 황좌에 오른 것에 비하면 영광의 순간은 그렇게 긴 편은 아니었다.  그렇다고 영광을 두루두루 즐긴 황제도 아니었다. 일벌레, 워커홀릭이었으니까.

황제가 국가의 전반적인 일을 모두 관장하는 체제... 으, 중국처럼 큰 나라를 환경설정해 두고 상상해 보면 입이 쩍 벌어진다. 때문에 황제는 놀고 있을 틈이 없다. 아주 바쁘다. 일하다 일하다 지쳐 잠드는 게 일상일게다.  새벽같이 일어나서 밤늦게까지 국사를 돌보는 모습은 그 아래 사람들이 피곤할 지 모르지만 인민에게 있어서는 축복일 수도 있다. 물론, 그냥 부지런한 것이 아니라 '독재자'이기도 하다는 점이 문제지만.

그러나, 전근대 사회에서의 황제 체제 하에서 '독재'란 피해갈 수 없는 환경이었다.  그러한 때에 열심히 일하고 깐깐하게 관리들을 평가하는 황제가 있다는 것은, 백성들이 만날 수 있는 것 중에서는 제법 큰 복일 것이다. 

황제께 올리는 보고서에는 빨간 줄이 그어지기 마련이고 불호령을 피할 수 없자, 관리들은 나중에 잔머리를 굴린다.  사소한 것에서 틀려서 관심사를 돌리고, 어려운 부분은 은근슬쩍 넘어가기. 으하핫, 관리들이 황제를 얼마나 어려워했을 지 생각해 보면 무척 재미있다.

고등학교 시절 국사샘이 그런 말씀을 해주셨다.  세종은 무척 부지런한 임금이었다고. 그래서 모시는 내관도 승지도 모두 긴장 상태로 깨어 있어야 했고, 황희 정승은 집에 돌아가서 관복도 벗지 못하고 잠이 들었다고. 왕이 호출하면 벌떡 일어나 후다닥 밥 먹고 등청, 가마꾼도 일찍 일어나야 하고, 집안의 가솔들도 모두 일찍 일어나야 했다고. 그게 나라 전체로 이어져 온 국민이 부지런 떨며 살았더라고...

글쎄, 조금 과장이었을 지도 모르지만 아주 근거없는 소리는 아닌 것 같다.  중국으로 돌려보면 옹정제가 그런 성격이지 않았을까. 완벽주의. 그러나 다른 게 있다면 세종의 왕권은 옹정제의 황권에 비할 바가 못 되지..ㅡ.ㅡ;;;;

잠시 얘기가 새버렸다.

아무튼, 친한 지인이 이 책을 즐겁게 보았다고 소개해주어서 보게 되었는데 나도 만족스러웠다. 페이지도 금방 넘어가는 편이었고, 옹정제라고 하는 깐깐하고 혹은 소심하기도 했던 완벽주의자 황제를 만난 것도 반가웠다.   그렇지만 개인적으로 이런 상사는 결코 만나고 싶지 않다. 피곤해....>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ttp://bbs1.tvpot.media.daum.net/griffin/do/videoLink?bbsId=N003&articleId=2798&pageIndex=1&searchKey=&searchValue

체조경기를 보는 기분이에요.^^ㅎㅎㅎ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