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엄마꼭지연 ㅣ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최재숙 글, 김홍모 그림 / 보림 / 2012년 2월
현이는 맞벌이하시는 부모님 때문에 할아버지 댁에서 지내고 있다.
하지만 곧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때문에 부모님 집으로 다시 돌아간다.
그 전에 할아버지는 현이와의 소중한 추억을 쌓고자 하신다.
바로 연만들고 날리는 것으로!
'ㄱ'자형으로 만들어진 단층 집이 정겹다. 욕심을 부리지 않은 자연스러움!
아마도 애주가이실 것 같은 할아버지의 붉은 콧등도 자연스럽게 보인다.
엄마 얼굴을 그려서 꼭지연을 만든 현이.
엄마 생각하는 아이의 마음이 예쁘다.
그리움을 슬프지 않게, 즐겁게~
할아버지는 연이 중국에서 기원했다고 설명해 주셨다.
새처럼 날고 싶은 사람의 욕망이 연을 만들게 했다고.
현이가 떠올리는 새의 모습이 천장을 꽉 채운다.
이순신 장군이 사용한 연 이야기를 해주시자 거북선도 등장했다.
그야말로 늠름하다!
영조 임금은 백성들 사이에서 연날리기가 정착되도록 장려했다고...
그림 속에 등장한 임금님도 구수한 이야기속 주인공이 되어 즐겁기만 하다.
이런 상상력과 재치가 참 좋다.
액막이연을 멀리 보내지 못하는 마을에서는 보름달이 뜨는 날에 달집과 함께 태웠다고....
액받이 무녀가 떠오르는 대목이다.
내 더위 사가~ 내 액도 모두 태워버려~
책 뒤에 부록으로 연날리기의 역사, 풍습 등에 대해서 다뤘다.
어릴 적에 학교 과제로 방패연을 만들었던 기억이 난다. 하늘로 띄우는 게 제법 어려웠고, 남의 연과 맞붙으면 끊어지기 일쑤였다.
가오리 연은 좀 더 자유로워 보였고, 방패연은 보다 씩씩해 보였다.
겨울철에 참 좋은 우리 전통 놀이인데, 많이 못해본 게 아쉽다.
제기차기도 재밌는데 잘은 못했다. 제기를 차면 왜 꼭 왼손이 같이 굽어지는지 지금도 궁금하다.
우리 연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설명이다.
연날리기에 관련된 우리말도 신선하다.
날고 싶은 욕망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인간에게는 영원한가보다.
소망하여 이루어내는 인간의 열정이 아름답다.
갑자기 개인 비행기를 운전하는 진중권 교수의 희열이 부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