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낱말 수집가 맥스 ㅣ I LOVE 그림책
케이트 뱅크스 지음, 보리스 쿨리코프 그림, 신형건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12월
평점 :
내가 아직 초등학교에 입학하기 전 큰언니는 우표를 수집했다. 당시엔 우표 수집이 많은 아이들 사이의 취미였던 것으로 안다. 그때 잔뜩 모았던 언니의 신기하고 재미난 우표들이 그후 어디로 갔는지는, 모르겠다. 언니는 기억할라나 모르겠다. 다음 기회에 물어봐야겠다. 갑자기 많이 궁금하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75.jpg)
맥스의 형 벤저민도 우표를 모았다. 무려 천 장이나... 스크랩 북으로 치면 여러 권이 나왔을 것이다. 한 장만 달라고 하는 맥스의 요청을 형은 거절했다. 맥스에겐 미안하지만 나도 같은 것 두장 있는 게 아니면 못 줄 것 같다. 수집의 묘미가 있으니... 뭐, 또 구하기 쉬운 거라면 혹 모를까.
또 다른 형인 칼은 동전을 모았다. 몇 개만 더 모으면 500개가 된다고 한다. 우와, 동전도 대단하다! 내가 가본 다른 나라는 중국과 이집트 두곳인데, 그 덕분에 나의 유리병에도 몇 개의 동전과 지폐가 들어 있다. 가보진 못했지만 달러도 하나 들어 있으니 그래도 몇 개국의 돈이 모이긴 했다. 더 다양한 동전이 모였으면 하는 바람이, 솔직히 있다.
칼 역시 동전 한닢 달라는 맥스의 청을 거절했다. 그래서 맥스는 자신만의 새로운 것을 모으기로 결심했다. 그건 다름 아닌 '낱말'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0.jpg)
짧은 낱말에서 긴 낱말, 기분을 좋게 하는 낱말과 좋아하는 음식의 이름들, 좋아하는 색깔, 잘 모르는 낱말, 자주 쓰는 낱말 등등... 맥스가 수집할 수 있는 단어들은 아주 다양했다. 게다가 벤저민과 칼의 수집품들은 배치를 바꿔도 똑같은 우표이며 동전이지만, 맥스의 낱말들은 자리에 따라서 의미가 확연히 달라진다. 파란색 악어가 초록색 이구아나를 잡아먹었다가 초록색 이구아나가 파란색 악어를 잡아먹었다-로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2.jpg)
초반엔 맥스의 단어가 궁금하지만 자신의 우표와 동전과는 여전히 바꿀 수 없었던 형들이, 점차 단어의 매력에 빠져들더니 급기야 맞바꾸는 사태가 벌어졌다. 그만큼 '이야기'를 만들어 낼 수 있는 맥스의 단어들의 잠재력은 무한했던 것이다. 한없이 이야기를 이어갈 수도 있고, 색다른 반전을 끌어낼 수도 있고, 급작스런 끝맺음도 가능한 재미있는 단어 놀이라니! 맥스는 참으로 창조적인 아이다.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5.jpg)
머리가 굳은 나는 저 단어들을 어디서 오렸을까. 설마 멀쩡한 책을 오리진 않았겠지? 하는 걱정부터 들었다는 것을 고백한다. 미안, 맥스! 신문의 단어들은 종이가 지나치게 얇고 글씨도 작으니 잡지의 단어가 가장 적합하다는 생각도 더불어 들었다. 그러고 보니 초등학교와 중학교 시절 미술 시간에 꼴라쥬 그림에 이런 공작을 해봤던 기억이 살풋이 난다. 맥스처럼 긴 이야기를 만들어내진 못했지만...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6.jpg)
약 일주일 전쯤 친구는 디지털 피아노를 구입했다. 초딩 시절에 체르니를 치다가 그만두었다고 하는데, 다시 피아노를 치고 싶은 로망을 이루려는 한발자국을 내딛은 것이다. 친구는 바이엘 정도는 독학으로 끝내고 그 다음 단계는 문화센터 등을 다닐 생각인데, 그래서 20년 전에 내가 사용했던 바이엘 책을 찾아보았다. 생각해 보니 '상권'은 역시 20여 전 전에 다른 친구에게 주었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남아있는 '하권'과 동요소곡집, 그리고 체르니 30번을 묵은 먼지 닦아내고, 떨어져나간 표지를 다시 만들어서 어제 전달해 주었다. 그러면서 오랜만에 '악보집'들을 찾아보았다. 그러니까 역시 약 20년 전에는 을지 악보사 서울 악보사 등에서 500원을 주면 악보를 하나 구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모아놓은 것들이 꽤 되었다. 게 중 중복되어 겹치는 것들과 반주가 쉬운 것들을 추려서 역시 친구에게 함께 전달했다. 그리고 오랜만에 오늘은 그것들을 띵가띵가 반주해 보기도 하였다. 하하핫, 잘 못치겠더라...ㅜ.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7.jpg)
엄마의 수집이랄까 취미는 화초 가꾸기. 크기와 굵기가 다른 화초들이 집안 곳곳에 배치되어 있다. 그중 한 쪽 벽을 찍어보았다. 요 사진 속의 화분은 그나마 좀 작은데, 반대편은 너무 커서 바퀴 선반까지 동원해야 될 때가 많았다. 날씨의 변화와 물 주고 청소할 때마다 옮기는 게 꽤 중노동이지만, 엄니의 취미를 존중해 드려야지....(그래도 제발 힘 쓰는 건 형부에게....ㅜ.ㅜ)
![](http://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12/0226/pimg_787603133738888.jpg)
엽서도 꽤 모았고, 모은다고 하기엔 무리가 있지만 지도도 아주 좋아하고 퍼즐도 꽤 좋아한다. 하지만 양으로 승부를 걸면 역시 책 수집이 넘버 원이다. 다독이 아니라 책을 소장하는 것에서 더 만족을 느끼는 것 같다. 바꿔 말하면 책을 지르는 것을 더 선호한달까. 새해 들어서 좀 조심했는데, 최근 일주일 사이 폭풍 주문을 해서 지금 반성 중이다.
오른쪽 사진은 좋아하는 동화책들 중 일부다. 공간의 여유가 생기면 동화책들이 삐죽삐죽 나오지 않게 큰 책장에 꽂는 게 나의 소박한 로망이다. 그치만 공간의 여유는 좀처럼 생기는 법이 없더라는...
다시 책으로 돌아가서... 나름 대단한 수집을 이룬 형들이 부러웠을 법도 한데, 자신만의 독특한 수집 영역을 만들어낸 맥스에게 박수를 보내고 싶다. 끝끝내 형들에게서 원하는 것들을 가져오는 솜씨도 보통이 아닌 녀석이다. 커서 뭐가 되도 크게 될 것 같다. 내가 모으고 싶은 단어들은 혁신, 변화, 개혁, 승리, 평등, 자유, 안전... 뭐 이런 단어들이 먼저 떠오른다. 지금은 2012년이니까. ^^